메뉴 건너뛰기

전집

전집은 OCR 스캔 잡업으로 진행되어 오탈자가 있습니다.
오탈자를 발견하면 다음과 같이 등록해 주시면 관리자가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1. 수정 요청을 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2. 본문을 읽는 중에 오탈자가 있는 곳을 발견하면 앞뒤 텍스트와 함께 마우스로 선택합니다.
3. 그 상태에서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하여 나타나는 창에서 수정 후 [수정요청]을 클릭합니다.
4. 각주의 경우에는 각주 번호를 마우스오버하여 나타난 창을 클릭하면 수정요청 창이 열립니다.

※ 컴퓨터 브라우저에서만 가능합니다.
2. 세진이의 부활을 경험한 어머니

나는 세진이를 직접 만난 일이 없습니다. 그러나 나는 그의 어머니에게서 부활한 세진이를 만났습니다. 그 어머니는 아들의 돌연한 죽음을 인정하지 않으려고 했답니다. 그 어머니는 그저 한 어머니로서 비동하게 죽은 아들을 슬퍼하며 몸부림쳤을 것입니다. 일반의 어머니들과 같이! 그러던 그 어머니가 참에서 깨듯 새로운 인식을 했는 데, 그것은 "내 아들의 아픔, 또 이를 당해내야 했던 나의 아픔이 결코 우리 가족들만의 고통이 아니다"라는 것입니다. 그 어머니는 자신이 경험하는 아픔, 그아들의 죽음의 '연대성'을 인식한 것입니다. 그 어머니는 '홀로'에서 '우리'에게로 옮겨진 것입니다. 그러므로 자기 아들의 죽음을 자기의 품에서 역사의 현장에 내놓은 것입니다. 세진이를 독점하는 어머니라는 한계를 넘어선 것입니다. 이제부터 그 어머니는 세진이의 죽음을 품에 안고 울기나하는 패배적인 어머니가 아니라, 그의 죽음의 의미를 역사화하는 사건을 일으키는 것이 자기가할 일이라고 깨달은 것입니다. 그로부터 그 어머니에게는 세진이의 죽음 때문에 아파하는 자기를 위로 하는 소리 따위는 무의미해진 것입니다. 세진이의 죽음은 이미 그 어머니에게는 의미가 없고, 죽었다 살아난 세진이를 찾게 된 것입니다.

그러나 이 살아난 세진이는 이미 어느 개인이 독점할 수 있는 사건이 아니고, 함께 경험해야 할 역사의 사건이 된 것입니다. 그때부터 그 어머니는 세진이의 죽음을 슬퍼하는 소리 따위 그리고 세진이를 미화하는 칭찬 따위를 거부하게 되었습니다. 그 이유로서 그는 "세진이가 목숨을 끊으면서까지 외쳐야 했던 바로 그 사실을 외면한 채 세진이 개인의 이야기만 부각시키기 때문이었다"고 합니다. 이로부터 그 어머니의 시선은 세진이와 함께 죽은 재호에게로, 5월 20일에 같은 방법으로 죽은 이동수, 또 바로 그 달에 역시 같은 방법으로 죽은 여학생 박혜정의 죽음과 연결시켜 그 아들의 죽음의 연대성, 그 맥을 더듬게 됐습니다. 그러한 연대적 죽음에서 그 어머니는 현재 살아 움직이는 세진이를 경험한 것입니다. 부활한 세진이 말입니다. 그 어머니는 이렇게 서술합니다.

나는 그간 가끔 초청을 받아 여러 모임에 참석하여보았습니다. 그때마다 모임의 성격은 다르고 또 나에게 주는 느낌도 달랐습니다. 그러나 하나 똑같은 것은 젊은이들이 있는 곳에서는 나는 꼭 세진이를 만나는 느낌입니다. 길거리의 가두장에서, 학교 운동장에서, 이러한 교회의 집회에서, 특히 지난 4월 8일 수유리에 있는 4월혁명 기념식장에서 세진이를 보았고 그리고 오늘 이 자리에서 나는 여러분 하나하나에서 세진이를 보고 있습니다. 오늘의 주님은 우리에게 직접 부활하십니다.

마침내 그 어머니는 이렇게 증언합니다.

여러분, 고통받는 땅에서 고난받는 자에게 우리 주님은 부활하시며, 이 땅에는 이미 부활한 많은 작은 예수님들이 감옥에서, 길거리에서, 노동현장에서, 또 이 자리에서 많은 고난받는 민중 사이에 계십니다.

그 어머니는 이미 자기 자식을 위해 우는 본능에 사로잡힌 엄마가 아니라, '너', 아니 '우리'를 위해 우는 이 땅의 엄마가 된 것입니다. 그보다 중요한 것은 그 어머니의 신학적인 견지입니다. 그 어머니가 도달한 인식은 수십 년 신학연구에 몰두한 사람들도 못 낸 결론에 이른 것입니다.


List of Articles
표지
역사의 담지자
   
제1부 민중의실체
   
민족ᆞ민중ᆞ·교회
    1. 민중이 없었던 역사
    2. 그리스도교회는 무엇을 했는가
    3. 한국 그리스도교의 기본자세
민중과 더불어 I
    1. 가치의 붕괴
    2. 가치의 기준
    3. 이웃이 누구인가
    4. 민중과 예수
    5. 예수와 어린이
    6. 혼동의 현장
풀과 씨알과 돌
    1. 민의 두 얼굴
    2. '기적'을 일으키는 민중
    3. 소리를 지르는 돌이 되는 민중
민중언어와 그리스도교
    1. 민중언어
    2. 한국 혼의 전승자
    3. 서구 문화와 성서언어
    4. 한국 교회와 민중언어
민중의 힘
    1. 성서 안의 민중운동의 맥
    2. 민중운동의 태
    3. 민중운동의 태동
고난하는 한국의 민중 : 독일 신학계에 하는 말
    1. 독일 신학의 피할 수 없는 함정
    2. 육의 자기초월
    3. 반(反) 두 나라설
    4. 비그리스도인들과의 연대
   
제2부 민중, 역사의 주체
   
민중신학은 무엇인가
    1. 민중신학의 주제들
    2. 질문과 대답—성서해석의 시각
    3. 민중신학의 축
민중적 신앙고백
    1. 우리의 현장
    2. 우리 교회사적 반성
    3. 현재와 미래의 과제
민중과 교회
    1. 민중신학과 교회론
    2. 고린토교회의 문제
    3. 교회 밖의 문제와 바울로의 케리그마
    4. 교회론이 없는 마르코복음
    5. 루가의 교회론
    6. 맺는 말
새 역사의 주인
    1. 역사의 담지자
        1) 예수의 경우
        2) 가난한 자의 공동체(바울로)
        3) 야고보의 경우
    2. '가난한 자'가 주인 되는 때
    3. 맺는 말
민중이 주도하는 민족통일
    1. 분단상태의 성격
    2. 민족통일을 위한 움직임
    3. 민족통일운동의 거점
    4. 통일문제 해결의 성서적 거점
예수와 민중
    1. 케리그마의 그리스도와 역사의 예수
    2. 예수와 민중
    3. 그리스도론의 핵심으로서의 예수의 고난
예수와 해방
    1. 머리말
    2. 예수시대의 민족해방의 노력들
    3. 예수의 해방운동
        1) 병에서의 해방
        2) 체제에서 해방
        3) 증오, 복수에서의 해방
    4. 결론(마리아 찬가)
   
제3부 민중운동과 민중신학
   
민중사전 속의 그리스도
    1. 충격
    2. 신학적 문제 정리
    3. 민중사건 속의 그리스도
세상 죄를 지고 가는 하느님의 어린양
    1. 속죄양
    2. 세진이의 부활을 경험한 어머니
    3. 예수와 석가의 만남
    4. 보라, 이 사람을
민중과 더불어 II
    1. 거울이 유죄?
    2. 허상과 실상
    3. 논어를 읽으며
    4. 역사적 시점
    5. 민중과 더불어
민중사와 교회사
    1. 그리스도교회로 몰려든 자들의 사회적 성분
    2. 교회는 저들에게 무엇을 주었는가
    3. 그리스도교와 사회주의
    4. 성서에서 본 한국 교회사
민중운동과 민중신학
    1. 민중운동에서 민중신학으로
    2. 민중신학의 눈으로 본 성서
        1) 민중신학 이전의 신학
        2) 구약은 민중해방의 사건이다
        3) 예수의 민중이야기—'우리'
    3. 한국 역사 속에서 민중신학의 과제
    4. 민중운동의 그리스도적 의미
   
제4부 민중과 민족
   
옳은 백성 옳은 민족
    1. 민심이 곧 천심
    2. 잘난 백성 못난 백성
    3. 산 백성으로 서는 길
우리에게 일용할 배고픔을!
    1. 배고픔
    2. 그날 그날 먹을 양식을!
    3. 우리에게 그날 그날의 배고픔을 주소서
민중은 '환생'한 예수
    1. 예수는 '영웅'이 아닙니다
    2. 왜 마르코는 '만나자'는 약속만 남기고 붓울 놓는가
    3. 민중으로 환생한 예수?
    4. 오늘도 이어지는 '환생' 사건
민중적 민족주의 : 한완상 『민중과 지식인』 서평
    1. 개복(開腹)된 병상
    2. 민중은 누구인가
    3. 민중에게 의한 민족 세우기
   
제5부 민중과 예복
   
민중과 예복
    1. 객이 주인 되는 이야기
    2. 폭력으로 기득권 수호
    3. 수호자에 대한 심판
한국적 그리스도인상의 모색
    1. 문제 제기
    2. '한국적'이란 어떤 것인가
    3. '한국적'인 것과 그리스도교
    4. 한국 문화와 그리스도교 유산의 합류
    5. 근대화의 모순과 민족통일의 과제 앞에서
    6. 한국적 그리스도상의 맹아
민족문제와 민중신학
    1. 민족문제에 눈을 뜰 때까지
    2. 오늘의 민족문제를 보면서
    3. 민중적 민족
    4. 민중의 강인한 생명력, 민중은 생명의 근원이다
    5. 민족적인 것에 대한 예수의 태도—선 자리에 대한 강한 책임의식
    6. 민족문제를 어떤 원칙에서 풀어나가야 하나
    7. 민주에 대한 영원
탈서구신학과 민중신학 : 독일신학자들과의 논쟁
    1. 여러분들이 제기한 질문의 전반적인 구조
    2. 하나하나의 질문에 대하여
  
판권
표지
 
제1부 부활의 아침
어느 부활절 아침 (요한 21, 1)
오늘의 부활현장 (사도 2, 22-24)
부활의 그리스도와 그 현장 (사도 2, 22-24)
받은 것을 땅에 묻어두지 말라 (마태 25, 14-20)
사람을 낚는 어부 (마르 1,16-20)
부활 신앙 (고전 13, 12)
공포에서의 해방 (마태 10, 26-33)
"와서 보라" (요한 1, 35-39)
민중은 '환생'한 예수? (마르 6, 14-16)
 
제2부 하느님과 우상
두 질서 (마태 20, 1-16)
빛의 아들들 이 세대의 아들들 (루가 16, 1-8)
악에서의 구원 (마태 6, 13)
성서의 구원론 (요한 17, 13-16)
민중의 설교자 (루가 9, 3)
우상과 하느님 (고전 8, 1-6)
뱀처럼 들리운 예수 (요한 3, 14-16)
누가 네 이웃인가? (루가 10, 29-37)
믿음과 결단 (마태 4, 1-11)
구하라, 찾으라, 두드리라 (마태 7, 7-11)
기도 (마태 14, 22-23)
저항과 복종 (마태 21, 28)
단(斷)! (마르 9, 42-48)
살림운동은 죽임의 세력과 투쟁이다 (요한 1, 4; 6, 53)
 
제3부 새 세계의 건설자
자유에의 길 (갈라 4, 1-10)
일어나라 (사도 3, 1-10)
새 세계의 건설자 (에페 2, 11-22)
죽음보다 더 확실한 것 (로마 8, 38-39)
바울의 인간관 (로마 8, 18-30)
바울의 현존 이해 (필립 3, 1-14)
문(門) (요한 10, 7-16)
나를 따르라 (루가 9, 57-62)
'그리스도 안에서'라는 현실 (갈라 3, 26-29)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 (고전 12, 12-27)
자유에의 길과 그리스도 (루가 4, 18-19)
표지
 
제1부 구걸하는 초월자
앎의 두 면 (고전 8, 1-13)
져야 할 십자가 (마르 8, 3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
위로
텍스트를 수정한 후 아래 [수정요청] 버튼을 클릭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