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전집

전집은 OCR 스캔 잡업으로 진행되어 오탈자가 있습니다.
오탈자를 발견하면 다음과 같이 등록해 주시면 관리자가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1. 수정 요청을 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2. 본문을 읽는 중에 오탈자가 있는 곳을 발견하면 앞뒤 텍스트와 함께 마우스로 선택합니다.
3. 그 상태에서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하여 나타나는 창에서 수정 후 [수정요청]을 클릭합니다.
4. 각주의 경우에는 각주 번호를 마우스오버하여 나타난 창을 클릭하면 수정요청 창이 열립니다.

※ 컴퓨터 브라우저에서만 가능합니다.
휴머니즘의 한계
김은국 씨의 『 순교자』를 읽고

벌써부터 읽으려고 한 김은국 씨의 『순교자』를 최근에야 읽었다. 그 소설이 독어로 번역된 것을 읽고 감격한 편지를 보낸 독일의 한 친구에게 자극받고 곧 다른 일을 제쳐놓고 읽었다. 한국 사람에게서 이만한 작품이 나은 것은 자랑이 아닐 수 없다. 그의 구상이나 사상은 빈틈없어 보인다. 무엇보다도 625동란이라는 민족적 비극을 겪은 한국 사람으로 절실한 물음을 던진 것이다. 그는 이 전쟁의 참상을 부조리로서 성격화 한다. 따라서 '섭리하는 하느님'이란 없다는 전제를 가진다.

신 목사는 하느님이 없음을 절감한다. 그러면 사람은 이 부조리를 어떻게 극복하며 살아갈 것인가? 그것을 위해서는 삶의 의욕과 용기가 필요하다. 그러한 의욕과 용기는 어디서 오나? 그것은 희망을 안겨줄 때만 가능하다. 그런데 이러한 부조리 속에서 어떻게 희망을 가질 수 있나? 그는 대답을 발견하지 못했다. 그는 하느님은 없다는 사실을 밝히고 싶었으나 그것은 곧 절망만을 가져올 따름인 것을 본다. 이것은 쟌 파울이나 니체가 무신선언과 함께 다른 허무, 혼란에 직면한 것과 같다. 신 목사는 희망을 안겨줄 길은 하느님을 내세우는 길 외에 다른 길을 발견하지 못했다. 여기서 그는 니체처럼 '신이 죽었다'는 선언과는 달리 '하나님은 살아 있다'는 거짓 증언자로 둔갑한다. 그의 거짓은 사랑의 표현을 위한 불가피한 도구가 된 것이다. 그는 수난을 당하면서도 거짓으로 일관한다.

이 작자가 말하려는 것은 바로 휴머니즘이다. 거짓말하면서도 인간에게 희망을 주어야 하겠다는 그 거짓 위에 세워진 성실함은 거짓을 오히려 거룩한 것에 아르는 통로로 변하게 한다. 그는 거짓 증인이라는 점에서는 위선자이다. 그러나 그의 인간애가 이 위선자를 '성인'으로 둔갑하게 한다.

그런데 문제는 도대체 이러한 '성인'이 가능한가하는 것이다. 이 성인도 도대체 거짓과 성실이라는 모순율에서 있다. 처음부터 부정된 성실 위에 발을 디딘다. 그의 이 휴머니즘이 그의 거짓마저 정당화할 연속선을 가졌는가? 결국 이 신 목사도 부조리 아닌가? 또 이러한 '성인'의 실재를 염원하는 것이 인간의 리얼리티에서 볼 때 가능한가? 이것도 결과적으로 니체의 초인처럼 인간 아닌 인간이 되고 만 것이 아닌가? 그런 초인의 실재의 믿는다는 것이 하느님을 믿는다는 것과 그 어려움에 있어서 무슨 차이가 있을 것인가? 인간에게 그 만한 초인적인 휴머니티가 있다면 세상에 비극이 일어날 리 없으며, 절망할 필요도 없었을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625도 안 일어났을 것이다.

작자도 이 사실을 안 모양이다. 그러기에 인간 신 목사는 이 모순 속에서 얼마 지탱하지 못하고 죽어버린다. 그 대신 죽은 그가 여기저기서 나타나고 있다는 후문으로 끝마침으로써 지금의 그 인간 신 목사로서는 한계가 있고, 죽었다가 새롭게 탄생하는 신 목사에게 기대를 걸게 한다. 이러한 서술법은 아마도 예수의 부활설화에서 얻어 왔으리라. 인간 예수는 거짓이 아니라 성실한 신념 위에서 사랑하고 사랑을 부르짖었다. 그는 부조리 속에서 신음하는 인간에게 오고 있는 미래(하느님의 나라)를 선포함으로써 희망과 용기를 주었다. 그러나 그러한 그도 죽어야만 했다.

그것은 인간성의 한계를 말한다. 그러나 그의 죽음은 하느님을 향한 '믿음'을 탄생하게 했다. 그 믿음 위에서 그의 '휴머니즘'이 가능했던 것이다.

문제는 철저한 휴머니즘이 신앙(하느님) 없이 가능한가 하는 것이다. 딴말로 하면 인간의 능력과 그의 존엄성에 거점을 둔 휴머니즘의 수명이 얼마나 길 수 있느냐 하는 것이다. 이 작자가 부활한 신 목사를 말하는 것은 그런 휴머니즘의 부정을 말하는 것이 아닌가?

'신은 죽었다'는 소리는 결코 악마의 소리거나 인간의 교만에서 나온 것이라고는 보지 않는다. 아니! 오히려 인간의 한계성을 실감한 부르짖음이다. 그러나 무신론에서 반신론 마침내는 살신론에까지 들어간다고 해도 잊어서는 안 될 것은 그것은 신을 낳게 하는 첨병 역할 이상 더할 수 없을 것이라는 사실이다. 그러나 그 새로운 신은 더 무서운 부조리의 신이 될 위험성도 있는 것이다.


List of Articles
우물가의 대화 (요한 4, 3-42)
구걸하는 초월자 (요한 19, 28)
심는 자 와 거두는 자 (요한 4, 31-38)
나를 먹어라 (요한 6, 34-40)
약자 예수 (고후 13, 4)
남은 고난 (골로 1, 24)
제물 (히브 11, 17-19)
죽어야 산다? (마태 16, 24-25)
십자가의 의미 (마르 15, 27-39)
어머니 (마르 7, 24-30)
"그 사람에게서 나오라" (마르 5, 1-15)
 
제2부 신, 당신은 누구요?
너희는 나를 누구라 하느냐 (마가 8, 27)
모순과 은혜 (로마 9, 19-24)
신의 주권만이 (누가 11, 1-4)
이 사람을 보라 (요한 19, 6)
하느님의 눈 (마태 6, 2-4)
앞선 자와 뒷선 자 (마가 10, 31)
예수의 눈 (마르 5, 25-34)
이 분이 누구인가? (마르 4, 35-41)
 
제3부 인간, 너는 누구냐?
삶의 좌표 (빌립 2, 12-18)
바울의 실존 (빌립 3장)
소명에서 산다 (빌립 1, 18-26)
복음의 생명력 (마가 1, 15)
바리새 사람과 세리 (누가 18, 9-14)
어떤 아버지와 두 아들 (누가 15, 11-32)
부모와 자녀들 (누가 15, 11-32)
두 인간형 (누가 18, 9-14)
보물이 담긴 질그릇 (고후 4, 7-18)
사람으로서의 삶 (마태 6, 25-34)
 
제4부 돌들이 소리를 지르리라
사건을 통한 구원 (고후 11, 23-33)
돌들이 소리지르기 전에 (누가 19, 37-41)
이 성전을 헐라 (요한 2, 13-22)
하루살이는 걸러내고 낙타는 삼키는 놈들 (마태 23, 16-26)
핍박을 받는 자에게 복이 있나니 (마태 5, 11-12)
무대에서 춤추는 꼭두각시와 무대 뒤에 숨은 주인 (마태 6, 1-8)
 
제5부 나를 따르라
그리스도를 따라서(imitatio Christi) (고전 11, 1)
역경과 복음의 전진 (빌립 1, 12-17)
그리스도의 공동체 (로마 12, 1-8)
복권(復權) (마르 1, 40-41)
제가 무엇인데 감히 (출애 3, 1-12)
소명 (사도 7, 23-35)
하느님의 선교 (마르 1, 40-45)
예수의 낙인 (갈라 6, 11-17)
그리스도를 본받아 (빌립 2,1-11)
무위와 신앙 (마태 6, 24-34)
 
제6부 영원한 현재
하느님 나라 (마태 13, 44)
휴식에의 초대 (마가 6, 31)
영원한 현재 (계시 21, 6-8)
전야 (계시 22, 10-16)
오늘의 성탄 (누가 2, 1-7)
바울 사도의 기도
새 세계에의 초대 (누가 14, 16-24)
단 둘 (요한 8, 1-11)
결단은 수난의 각오다 (마르 3, 1-6)
성 윤리의 기준 (요한 8, 1-11)
갈릴리 교회는 왜 세워졌나? (마태 4, 12-25)
표지
 
재1부 이천 년 동안 십자가에서 못 내려오는 저 사나이
이천 년 동안 십자가에서 못 내려오는 저 사나이
십자가를 지고?
십자가의 수난
베일에 싸인 십자가
화려한 십자가
부활은 십자가의 표면
부활의 뜻
부활절 새벽
부활절 아침에 드리는 기도
4월과 부활절
부활과 4ᆞ19
부활을 믿느냐?
부활절의 십자가
Advent
생명을 잉태한 여인
오늘의 성탄절
구유에 누운 아기
영원한 평화
그는 흥해야 하고
누가 내 이웃이냐!
예수는 정치범?
수난의 각오
종말사상의 힘
민중신학의 성서적 근거
사건화하는 손
 
재2부 성서가 사람을 죽여?
성서가 사람을 죽여?
성서
두 가지 물음
성서 절대주의
성서를 찾는 마음과 눈
그리스도는 우주인인가
이미 늦었다
우상화
삶의 모순율
자유와 예속
무상과 영원
살인과 분노
죽음에 이르는 병
어린이 같지 않으면!
보물을 담은 질그릇
휴식에의 초대
편리라는 유혹
기술사회의 도전
전체주의와의 투쟁
현대의 욥
자다가 깰 때
 
제3부 축제
축제
하나님이 만물을 새롭게 한다는 의미
이 때는 잠에서 깰 때
사람은 떡으로만 살 수 없다
물질은 하느님의 것
봄의 찬가
고백
증인
의식은 죽음인가?
사랑의 저항
민주주의 제일장
거짓증거
양심
은어
해결해
탈우상화
반복
시간과 영원
휴머니즘의 한계
죄란 무엇인가?
정치적?
계룡산
'상도'(常道)
현존의 의미
야도(夜禱)
공성이불거(功成而不居)
회개의 의미
고난의 의미
오 주여!
성문 밖으로
 
제4부 남은자의 윤리
종교적 창기
그리스도인
그리스도인상
어떤 의미에서 그리스도인인가?
오늘의 그리스도론
정치신학
평등추구의 기독교사
기성교회의 꼴
그리스도교가 잘못된 날(?)
한국 교회의 암?
한국의 교회
종은 누구를 위해 우나!
수도자들의 수난사를 들으며
수도원을 찾아서
학문의 자유
'우리 신학' 추구
현대와 그리스도교
교회일치운동
교회 분화론
그리스도 교회의 진통
그리스도교적 교육
남은 자의 윤리
목사 후보생들에 준 말
젊은 목사에게
신학의 길
인간은 관념의 노예?
하느님의 동역자
역사의 핏줄을 만드는 마술사
그리스도교의 목표
어떻게 살 것인가
표지
 
표지
 
표지
 
표지
 
제1부 혁명과 예수
역사적 예수와 신앙상의 그리스도
무신론과 기독교 신앙
무신론자의 예수
자유와 예수
혁명과 예수
 
제2부 서구신학을 넘어서
신학한다는 일
성서와 대결 못하는 신학
기독교화와 서구화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
위로
텍스트를 수정한 후 아래 [수정요청] 버튼을 클릭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