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전집

전집은 OCR 스캔 잡업으로 진행되어 오탈자가 있습니다.
오탈자를 발견하면 다음과 같이 등록해 주시면 관리자가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1. 수정 요청을 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2. 본문을 읽는 중에 오탈자가 있는 곳을 발견하면 앞뒤 텍스트와 함께 마우스로 선택합니다.
3. 그 상태에서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하여 나타나는 창에서 수정 후 [수정요청]을 클릭합니다.
4. 각주의 경우에는 각주 번호를 마우스오버하여 나타난 창을 클릭하면 수정요청 창이 열립니다.

※ 컴퓨터 브라우저에서만 가능합니다.

이것은 바로 정치적 상황을 말한다. 이런 상황이 곧 예수가 하느님 나라의 도래를 선포한 장이다. 세례자 요한을 체포한 안티파스의 지배영역인 갈릴래아에서 예수가 이런 선포를 했다는 것은 벌써 하느님 나라가 후퇴하고, 비시간적인 '하느님의 의'가 대신하는 경향(바울로)이 지배적일 때에 그런 경향과는 달리 중요한 다른 사실을 말하려는 것이다.

마르코에 있어서 예수가 갈릴래아로 간 것은 마태오의 경우와는 전혀 다르다. 마태오는 다윗의 고향인 베들레헴이 예수의 본향이라고 한다. 그리고 헤로데의 박해를 피해서 에집트로 갔다가 헤로데가 죽은 후 귀향하려고 하지만 헤로데의 아들 아르켈라오 역시 위험하다는 정보를 듣고 갈릴래아로 피해갔다고 한다. 그러나 마태오와는 정반대로 마르코는 예수가 오히려 위험지대를 위험한 시기에 들어가는 것으로 보도한다. 민중이란 일차적으로 지배자에 대하여 피지배자를 말하는 것이라면20)서남동, 「민중의신학」, 『신학사상』 제24호, 1979년 봄호 참조. 이러한 보도를 통하여 마르코는 예수의 민중적 위치를 분명히 한다.

마르코는 세례자 요한이 체포된 현실 안으로 예수를 포함시킴으로써 예수의 운명을 미리 암시하려 하고 있다. 그것은 무엇보다도 세례자 요한이 '잡힌다'고 할 때 사용된(παραδοθηναι)가 예수의 수난예고의 단어와 꼭 같은 데서 알 수 있다(9, 3110, 3314, 41). 마르코는 안티파스가 세례자 요한을 체포한 동기와 처형과정을 전승하는 데 비교적 많은 지면을 할애한다. 한편 그런 설화에는 정치적 동기가 별로 반영되어 있지 않다고 보는 사람들이 있다. 아마도 마르코는 세례자 요한파의 자료를 그대로 전승했으리라.21)Bultmann(op. cit., S. 328f, )은 헬레니즘 영역에 세례자 요한파의 다른 흔적이 있다고 하며, Dibelius와 Haenchen은 헤로데에 대한 일화일 것이라고 본다(E. Haenchen, Der Weg Jesus, S. 241). 그런데 중요한 것은 이러한 전승들을 소개하는 마르코의 생각 속에는 안티파스가 예수의 활동에 대한 정보를 듣고 "내가 목을 벤 그 요한이 살아난 것이다"22)이와 같은 전승을 8장 28절에서도 본다.라고 한 말을 연관시키려는 편집적 의도가 숨어 있다는 점이다. 이로써 지배자와의 관계에서 예수를 이미 처형된 세례자 요한과 동일한 역사적 상황에 위치시킨다.

마르코의 기록에서는 세례자 요한이 안티파스의 불륜행위를 힐책한 것이 죄가 되어 처형된 것으로되어 있는데, 유다의 어용역사가인 요세푸스의 기록에는 요한이 반로마 선동 정치범으로 처형되었으며 그는 민중을 귀신(δαμίονιον)처럼 현혹하는 능력을 가진 '거짓 예언자'라고 한다.23)JB 2, S. 259. 이런 보도는 마르코의 것과 상치되는 것은 아니다. 집권자를 비판한다는 것은 이유야 어떻든 현실적으로 정치적 행위이다. 마르코는 그가 민중에게 큰 영향력이 있었다는 사실도 지적한다(11, 32). 또 하나 주목할 것은 그가 귀신이 들렸다(δαιμονιον έχει)는 세론(世論)을 Q자료(마태 11, 18)가 전하는데, 그것을 요세푸스의 용법 그대로 이해하면 민중을 선동했다는 뜻이다. 즉 세례자 요한은 정치범으로 처형된 것이다.24)J. Wellhausen, Israeliten und Jüdische Geschichte, Berlin, 1958, S. 341; E. Meyer, Ursprung und Anfange des Christentums I, S. 851, II, S. 406; E. Lohmeyer, Urchristentums, S. 59f.; F. F. Bruce, Zeit-geschichte des N.T von Babylon bis Golgotha I, S. 166, 32.

예수의 공생애 출발의 장은 마르코의 삶의 장과 정치적 측면에서 유사하다. 세례자 요한이 처형된 뒤의 예수의 그것처럼 마르코의 삶의 자리는 이스라엘이 로마제국에 의해 '처형'된 다음이다. 그런데 예수가 갈릴래아로 간 것이 반드시 세례자 요한의 투쟁의 배턴을 넘겨받은 것이라는 의미를 부각시키지는 않는다. 다만 그곳은 그의 현장(고향)이기 때문에 돌아가는 것이다(1, 9 참조).25)마태오는 예수의 고향을 베들레헴으로 안다. 그런 전제를 갖는다면 예수의 갈릴래아행이 투쟁적 대체로 해석될 수 있으리라. 그러나 마르코는 그렇지 않다. '마르코의 민중'도 선택한 고난의 길에 들어선 것이 아니라 그렇게 매도되었다(παραδίωμι). 헬레니즘 영역의 지식층에게는 육의(κάτα σάρκα) 예수보다는 신격화되고 초역사화된 그리스도상이 바람직했을지 몰라도 정치적 박해의 사정거리에 들어선 갈릴래아의 민중은 그같은 예수가 친밀해질 수 있었을 것이다. 이 점은 이 글에서 계속 반영될 것이다.


List of Articles
바알 (열상 19, 18)
남은 칠천 명 (19, 7-18)
민중의 손으로 통일되는 날 (아모 9, 11-15)
겨울은 가고 (에제 37장)
에제키엘이 무등산에서 절규한다 (에제 24, 6-8)
포로에서의 탈출 (이사 66, 1-8)
위정자와의 대결 (이사 7, 10-14)
   
제5부 새로운 존재
일상성과 비일상성 (루가 10, 38-42)
그래도 다시 낙원에로 환원시키지 않았다 (창세 3, 1-10)
새로운 인간상 (창세 12, 1-9)
믿음의 조상 (창세 22, 17-18)
두 사이 에 손을 얹을 판결자 (욥기 9, 25-35)
하느님으로부터의 도피 (시편 139편)
하느님의 웃음 (시편 2편)
잠과 신앙 (시편 127편)
교회란 무엇인가 (로마 8, 9-30)
인간을 말한다 (마르 12, 28-34)
존재 근거 (시편 42편)
우주의 품으로 (시편 8,3 이하)
   
판권
표지
예수의 민중사건 : 『민중과 성서』를 내면서
   
제1부 복음서와 민중
   
예수와 민중 : 마르코복음을 중심으로
    1. 전제
    2. 마르코복음 안의 오클로스
    3. 마르코복음에 나타난 오클로스의 성격
        1) 오클로스의 성격
        2) 오클로스에 대한 예수의 행태
        3) 종합
    4. 예수를 따른 자들
    5. 마르코복음 안에 있는 어록
    6. 오클로스의 언어학적 의미
        1) 라오스와 오클로스
        2) 오클로스와 암 하 아레츠
    7. 종합
마르코복음에서 본 역사의 주체
    1. 전제
    2. 마르코의 삶의 자리
    3. 마르코의 민중신학의 기조
        1) 세례자 요한이 잡힌 후(14a절)
        2) 갈릴래아로 가다
        3) 하느님 나라의 도래 선포
    4. 민중의 행태
예수사건의 전승 모체
    1. 문제 제기
    2. 케리그마의 성격
        1) 고린토전서 15장 3~8절
        2) 필립비서 2장 6~11절
        3) 사도행전에 나타난 케리그마
    3. 민중언어의 성격
    4. 수난사
    5. 예수의 행태 일반
        1) 기적 이야기와 예수의 행태
        2) 아포프테그마와 예수의 행태
        3) 로기온(Logion, 어록)과 예수의 행태
    6. 결론
가난한 자 : 루가의 민중 이해
    1. 가난한 자
        1) 통계적 고찰
        2) 루가의 특수자료
        3) 예수의 탄생설화와 나자렛 선언
        4) 마르코와 Q자료
    2. 루가복음서의 청중
    3. 결론
마태오의 민중적 민족주의
    1. 문제 제기
        1) 마태오의 신학적 주제에 대한 논의들
        2) 문제 제기
    2. 마태오가 처한 현실
        1) 마태오와 그의 시기
        2) 민족적 와해 위기
    3. 마태오의 현실인식
        1) 이스라엘 : 길 잃은 양들
        2) 길 잃은 양이 놓여 있는 현실
    4. 민족동일성 재확립
        1) 뿌리 찾기
        2) 바리사이파가 주도하는 라삐 유다교와의 대결
    5. 마태오의 민중 이해
        1) 언어적 성격
        2) 의식화된 민중
    6. 맺는 말
민중신학의 성서적 근거 : 마르코복음을 중심으로
    1. 예수사건의 재발견
    2. 마르코복음과 민중
    3. 민중은 수단이 아니다
    4. 민중은 객체일 수 없다
    5. 십자가는 민중수난의 극치다
민중신학의 어제와 오늘
    1. 독재와 대항하므로
    2. 민중을 만나므로
    3. 민중과 더불어
   
제2부 민중운동사
   
민중사건과 언어사건
    1. 성서에서 본 말의 성격
        1) 그 말의 현장은 어떤 것이었나
        2) 예수의 경우
        3) 예수사건에 관한 전승
        4) 오순절의 말 사건
    2. 무엇으로 말하는 것인가
    3. 해야 할 말은 무엇인가
    4. 우리가 해야 할 말
미래는 가난한 자의 것 : 루가 6장 20~26절
    1. 축복과 저주
    2. 가난한 자와 부요한 자
    3. ‘지금’과 ‘장차’
    4. 우리의 선택
나라가 임하옵소서
    1. 예수의 기도
    2. 그의 기도를 전달받은 자들
    3. 하느님의 나라
고향 잃은 민중
    1. 피난민
    2. 성서에서 본 피난민문제
    3. 게르(GER) 문제 해결의 시도
    4. 이방인에 대한 관용의 한계
    5. 당면한 과제
        1 ) 새로운 인식을 위한 운동
        2) 실천에 대한 몇 가지 제언
이스라엘 민중사
    1. 머리말
    2. 출애굽
    3. 고대 이스라엘 종족동맹
    4. 민중을 배반하고 세워진 왕권
    5. 분단시대의 고난
    6. 민중운동의 여러 계열
    7. 예수의 민중운동
    8. 맺는 말
   
제3부 민중과 체제
   
민중사실의 증언
    1. 민중신학의 전제들
    2. 민중사실의 증언
고난과 고백
    1. 수난자와의 일치
    2. 마르코의 민중
    3. 수난사와 고난
    4. 더불어의 고난
    5. 맺는 말
갈릴래아 민중에 항복한 바울로
    1. 바울로의 위치
    2. 사울은 어떤 사람인가
    3. 그리스도교 박해
    4. 예수를 만남
    5. 전향
    6. 맺는 말
소명(召命)
    1. 바울로의 소명
    2. 사도 됨과 소명
    3. 이방인에게로
바울로와 역사의 예수 I
    1. 머리말
    2. 예수에 대한 바울로의 말
    3. 예수냐 바울로냐
    4. 왜 예수가 아니고 케리그마인가
선택받은 민중: 고린토전서 1장 26~31절
    1. 고린토교회 구성원의 사회계층
    2. 공동체원의 가치 판단 기준
    3. 민중을 보는 눈
    4. 택함을 받은 민중
   
제4부 예수의 희망
   
하늘도 땅도 공(公)이다
    1. 낙원 이야기
    2. 아담一인간
    3. 실락원은 공을 사유화함으로
갈릴래아에서 만나자: 마르코 16장 1~8절
    1. 제3의 자리
    2. 갈릴래아
    3. 갈릴래아에서 만나자
예수의 희망
    1. 새 세계에의 희망
    2. 희망과 세계혁명
    3. 바른 인간공동체의 희망
    4. 맺는 말
   
판권
표지
예수는 논하지 않았다
   
제1부 민중의 언어, 이야기
   
1. 성서라는 책의 성격
2. 성서의 서술양식
    1) 구약성서
    2) 신약성서
    3) 민중언어
   
제2부 예수의 이야기(비유)
   
1. 만성병에 걸린 세대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
위로
텍스트를 수정한 후 아래 [수정요청] 버튼을 클릭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