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전집

전집은 OCR 스캔 잡업으로 진행되어 오탈자가 있습니다.
오탈자를 발견하면 다음과 같이 등록해 주시면 관리자가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1. 수정 요청을 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2. 본문을 읽는 중에 오탈자가 있는 곳을 발견하면 앞뒤 텍스트와 함께 마우스로 선택합니다.
3. 그 상태에서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하여 나타나는 창에서 수정 후 [수정요청]을 클릭합니다.
4. 각주의 경우에는 각주 번호를 마우스오버하여 나타난 창을 클릭하면 수정요청 창이 열립니다.

※ 컴퓨터 브라우저에서만 가능합니다.
3) 사도행전에 나타난 케리그마

디벨리우스는 사도행전에서 원초적인 케리그마의 원형들을 지적하고 있다. 그것들은 2장 22절 이하, 3장 13절 이하, 10장 37절 이하, 13장 23절 이하이다.25)M. Dibelius, Die Formgeschichte des Evangeliums, S. 15. 디벨리우스는 사도 5, 30 이하도 유사하다고 지적하고 이방인에게 행한 설교인 14, 15 이하와 17, 33 이하도 언급하고 있으나, 그 구절을 일반 케리그마와 구별하고 있다. 불트만 역시 사도행전에서 케리그마의 원형을 사도 222~243, 13~1510, 37~4113, 26~31에서 본다(R. Bultmann, Die Geschichte der synoptischen Tradition, Göttingen, 1957, S. 396). 도드는 대체로 그를 추종하면서 여기에다 4장 10절 이하를 첨가하고 있다.26)C. H. Dodd, The Apostolic Preaching and Its Development, p. 22. 이들이 지적한 케리그마의 성격을 한마디로 집약하면, 예수의 죽음과 하느님이 그를 다시 살려 일으켰다는 데에 초점이 있다. 그러나 바울로가 전승한 케리그마와 비교하여 특유한 점을 몇 가지 지적할 수 있다.

첫째, 예수의 생애의 일부를 비록 포괄적인 표현으로나마 언급한 것이 있다는 것이다. 가령 도식적인 케리그마 외에 예수가 "권능과 기이한 일과 표정을 행했다"는 것(2, 22), 그의 선교무대가 갈릴래아였으며 거기에서 두루 다니며 귀신을 쫓았다는 것(10, 37~38) 등이다. 13장 23절 이하는 예수의 생애에 관해 좀더 첨가하고 있다. 그것은 예수가 다윗의 자손이라는 것, 세례자 요한의 세례 선포, 예루살렘의 지도자들이 그를 정죄하고 처형했다는 것이다. 이 점과 관련하여 사도행전에 나타난 케리그마에는 복음서에서 볼 수 있는 아람적(Aramaic) 요소가 많이 반영되어 있는 것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27)ibid., p. 19.

둘째, 그 케리그마는 예수의 십자가사건을 언급하는 데 있어서 빌라도의 책임을 변호하고 유다 지도자들에게 그 책임을 돌림으로써 예수의 처형 책임자를 분명하게 지적하고 있다. 가령 유다인들이 그를 십자가에 처형했다는 것(2, 233, 1410, 394, 10)과 한걸음 더 나아가서 빌라도는 그를 무죄로 인정하고 그를 놓아주려고 했으나 유다 사람들이 끝끝내 이것을 거부하고 오히려 예수 대신 다른 살인자를 놓아주려 했다(3, 13)는 점이다.

셋째로는 사도행전에 나타난 케리그마에는 '하느님의 아들'이라는 칭호 대신 '다윗의 자손'이라는 칭호가 사용되고 있다는 것을 들 수 있다.28)ibid., p. 25.

사도행전에 나타난 케리그마의 단편들 중에 케리그마의 원형이 있다는 것은 부정할 수 없다. 그러나 역사적 예수의 편모들을 비록 포괄적으로나마 언급한 것은 종말론적 여건 때문29)ibid., p. 31.이 아니라 마르코복음 또는 다른 것에 의해서 예수의 행적과 역사적 사건을 알고 있던 루가가 첨가한 것이라고 보여진다.30)E. Haenchen, Die Apostelgeschichte, Göttingen, 1957, S. 152f. 사도행전의 저자인 루가는 초기의 케리그마에다가 그가 알 수 있었던 예수의 행적행태를 가미한 것이다. 이런 전제들을 안정할 때 사도행전에 나타난 케리그마와 바울로가 전하는 케리그마 사이에 일관성이 있다는 주장은 긍정할 수 있다.

이외에 특히 바울로문서에서 전승된 케리그마의 단편들을 많이 찾을 수 있다.31)로마 1, 3 이하6, 310, 9; 고전 11, 23~26이 이에 해당한다. 그러나 그 어느 것도 위에서 열거한 케리그마의 내용과 다를 바가 없다. 이런 현상은 바울로가 역사의 예수의 전기적 내용이나 말씀에 관해서 침묵하고 있는 사실과 상동하는 것이다. 바울로는 거의 개념화된 예수의 십자가 또는 그의 죽음을 자주 언급하였을 뿐, 단 한 번(갈라 4, 4 : 그의 아들을 보내셔서 여자에게 나게 하시고……) 외에는 역사적 예수에 관한 언급을 찾아볼 수 없다. 따라서 "이제부터 육으로 그리스도를 알려고 하지 않는다"(고후 5, 16)는 그의 모호한 발언은 이와 같은 맥락에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32)무엇보다도 '그의 교리'를 형성함에 있어서 바울로가 이미 역사적 예수를 알고 있었기 때문에 그렇게 말했다는 주장은 받아들일 수 없다. 적대자에 대하여 자신의 권위를 세우는 데 지원이 그렇게 필요했음에도 불구하고 바울로가 예수의 말씀을 원용한 일이 없는 경우는 회귀한 일이다.

이상에서 본 케리그마의 성격에 근거해서 다음과 같이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예수의 역사적 사건을 서술하는 대신 재빨리 그 의미만을 표시하는 케리그마의 형태로 옮겨짐으로써, 예수의 사건은 사실상 추상화되었다. 그러면 그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첫째, 정치적사회적 조건들이 중요한 역할을 했을 것이다. 로마제국에 대한 반란자로 십자가에 처형된 예수를 주(主)로 내세워 그리스도교 공동체를 이끌어나가려고 하던 지도층은 예수의 죽음의 실태를 추상화해버림으로써 그 충돌을 회피하려 했다는 것은 쉽게 이해할 수 있는데 그런 노력이 케리그마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그 지도층들은 폭력으로 로마제국에 대항해서 싸운 젤롯당과 동일시되는 것을 회피하려고 했을 수 있다. 그러므로 그들은 예수가 로마제국과 유다 지도층에 의해 처형된 것을 표면에 내세우려고 하지 않았다.

셋째, 둘째 여건과 관련해서 지도층은 예수의 처형자들에 대해 예수의 민중이 가지는 적개심을 차원 높은 단계로 유도함으로써 민중의 폭력적 충돌을 피하려고 했다. 이런 점은 예수의 죽음에 대해서 어느 누구에게도 책임을 묻지 않고, 단지 하느님의 뜻이라고 강조한 데서 나타난다.

넷째, 공동체의 지도층은 예수의 사건을 유다교의 틀 안에서 해석 함으로써 유다교로부터 인정을 받으려고 했으며, 동시에 로마제국으로부터 유다교의 한 일파로 간주되기를 원했다. 까닭은 로마는 유다교를 공인했기 때문이다.

결국 그리스도교 공동체의 보존을 위한 이러한 변증적인 노력이 역사적 사건을 재빨리 케리그마의 형태로 옮기게 한 것이다. 그러한 노력은 다음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예수의 역사적 사건에 대해서 침묵한 데 그친 것이 아니고 그것이 왜곡되는 결과를 초래했으며, 더욱이 공동체 다수의 뜻을 수렵하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그것에 반(反)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었다.

이제는 복음서의 예수사건 전승을 관찰할 단계에 이르렀다. 그것을 위한 전초작업으로 민중언어의 일반적인 성격을 규명하는 데서 출발하기로 하겠다.


List of Articles
바알 (열상 19, 18)
남은 칠천 명 (19, 7-18)
민중의 손으로 통일되는 날 (아모 9, 11-15)
겨울은 가고 (에제 37장)
에제키엘이 무등산에서 절규한다 (에제 24, 6-8)
포로에서의 탈출 (이사 66, 1-8)
위정자와의 대결 (이사 7, 10-14)
   
제5부 새로운 존재
일상성과 비일상성 (루가 10, 38-42)
그래도 다시 낙원에로 환원시키지 않았다 (창세 3, 1-10)
새로운 인간상 (창세 12, 1-9)
믿음의 조상 (창세 22, 17-18)
두 사이 에 손을 얹을 판결자 (욥기 9, 25-35)
하느님으로부터의 도피 (시편 139편)
하느님의 웃음 (시편 2편)
잠과 신앙 (시편 127편)
교회란 무엇인가 (로마 8, 9-30)
인간을 말한다 (마르 12, 28-34)
존재 근거 (시편 42편)
우주의 품으로 (시편 8,3 이하)
   
판권
표지
예수의 민중사건 : 『민중과 성서』를 내면서
   
제1부 복음서와 민중
   
예수와 민중 : 마르코복음을 중심으로
    1. 전제
    2. 마르코복음 안의 오클로스
    3. 마르코복음에 나타난 오클로스의 성격
        1) 오클로스의 성격
        2) 오클로스에 대한 예수의 행태
        3) 종합
    4. 예수를 따른 자들
    5. 마르코복음 안에 있는 어록
    6. 오클로스의 언어학적 의미
        1) 라오스와 오클로스
        2) 오클로스와 암 하 아레츠
    7. 종합
마르코복음에서 본 역사의 주체
    1. 전제
    2. 마르코의 삶의 자리
    3. 마르코의 민중신학의 기조
        1) 세례자 요한이 잡힌 후(14a절)
        2) 갈릴래아로 가다
        3) 하느님 나라의 도래 선포
    4. 민중의 행태
예수사건의 전승 모체
    1. 문제 제기
    2. 케리그마의 성격
        1) 고린토전서 15장 3~8절
        2) 필립비서 2장 6~11절
        3) 사도행전에 나타난 케리그마
    3. 민중언어의 성격
    4. 수난사
    5. 예수의 행태 일반
        1) 기적 이야기와 예수의 행태
        2) 아포프테그마와 예수의 행태
        3) 로기온(Logion, 어록)과 예수의 행태
    6. 결론
가난한 자 : 루가의 민중 이해
    1. 가난한 자
        1) 통계적 고찰
        2) 루가의 특수자료
        3) 예수의 탄생설화와 나자렛 선언
        4) 마르코와 Q자료
    2. 루가복음서의 청중
    3. 결론
마태오의 민중적 민족주의
    1. 문제 제기
        1) 마태오의 신학적 주제에 대한 논의들
        2) 문제 제기
    2. 마태오가 처한 현실
        1) 마태오와 그의 시기
        2) 민족적 와해 위기
    3. 마태오의 현실인식
        1) 이스라엘 : 길 잃은 양들
        2) 길 잃은 양이 놓여 있는 현실
    4. 민족동일성 재확립
        1) 뿌리 찾기
        2) 바리사이파가 주도하는 라삐 유다교와의 대결
    5. 마태오의 민중 이해
        1) 언어적 성격
        2) 의식화된 민중
    6. 맺는 말
민중신학의 성서적 근거 : 마르코복음을 중심으로
    1. 예수사건의 재발견
    2. 마르코복음과 민중
    3. 민중은 수단이 아니다
    4. 민중은 객체일 수 없다
    5. 십자가는 민중수난의 극치다
민중신학의 어제와 오늘
    1. 독재와 대항하므로
    2. 민중을 만나므로
    3. 민중과 더불어
   
제2부 민중운동사
   
민중사건과 언어사건
    1. 성서에서 본 말의 성격
        1) 그 말의 현장은 어떤 것이었나
        2) 예수의 경우
        3) 예수사건에 관한 전승
        4) 오순절의 말 사건
    2. 무엇으로 말하는 것인가
    3. 해야 할 말은 무엇인가
    4. 우리가 해야 할 말
미래는 가난한 자의 것 : 루가 6장 20~26절
    1. 축복과 저주
    2. 가난한 자와 부요한 자
    3. ‘지금’과 ‘장차’
    4. 우리의 선택
나라가 임하옵소서
    1. 예수의 기도
    2. 그의 기도를 전달받은 자들
    3. 하느님의 나라
고향 잃은 민중
    1. 피난민
    2. 성서에서 본 피난민문제
    3. 게르(GER) 문제 해결의 시도
    4. 이방인에 대한 관용의 한계
    5. 당면한 과제
        1 ) 새로운 인식을 위한 운동
        2) 실천에 대한 몇 가지 제언
이스라엘 민중사
    1. 머리말
    2. 출애굽
    3. 고대 이스라엘 종족동맹
    4. 민중을 배반하고 세워진 왕권
    5. 분단시대의 고난
    6. 민중운동의 여러 계열
    7. 예수의 민중운동
    8. 맺는 말
   
제3부 민중과 체제
   
민중사실의 증언
    1. 민중신학의 전제들
    2. 민중사실의 증언
고난과 고백
    1. 수난자와의 일치
    2. 마르코의 민중
    3. 수난사와 고난
    4. 더불어의 고난
    5. 맺는 말
갈릴래아 민중에 항복한 바울로
    1. 바울로의 위치
    2. 사울은 어떤 사람인가
    3. 그리스도교 박해
    4. 예수를 만남
    5. 전향
    6. 맺는 말
소명(召命)
    1. 바울로의 소명
    2. 사도 됨과 소명
    3. 이방인에게로
바울로와 역사의 예수 I
    1. 머리말
    2. 예수에 대한 바울로의 말
    3. 예수냐 바울로냐
    4. 왜 예수가 아니고 케리그마인가
선택받은 민중: 고린토전서 1장 26~31절
    1. 고린토교회 구성원의 사회계층
    2. 공동체원의 가치 판단 기준
    3. 민중을 보는 눈
    4. 택함을 받은 민중
   
제4부 예수의 희망
   
하늘도 땅도 공(公)이다
    1. 낙원 이야기
    2. 아담一인간
    3. 실락원은 공을 사유화함으로
갈릴래아에서 만나자: 마르코 16장 1~8절
    1. 제3의 자리
    2. 갈릴래아
    3. 갈릴래아에서 만나자
예수의 희망
    1. 새 세계에의 희망
    2. 희망과 세계혁명
    3. 바른 인간공동체의 희망
    4. 맺는 말
   
판권
표지
예수는 논하지 않았다
   
제1부 민중의 언어, 이야기
   
1. 성서라는 책의 성격
2. 성서의 서술양식
    1) 구약성서
    2) 신약성서
    3) 민중언어
   
제2부 예수의 이야기(비유)
   
1. 만성병에 걸린 세대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
위로
텍스트를 수정한 후 아래 [수정요청] 버튼을 클릭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