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전집

전집은 OCR 스캔 잡업으로 진행되어 오탈자가 있습니다.
오탈자를 발견하면 다음과 같이 등록해 주시면 관리자가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1. 수정 요청을 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2. 본문을 읽는 중에 오탈자가 있는 곳을 발견하면 앞뒤 텍스트와 함께 마우스로 선택합니다.
3. 그 상태에서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하여 나타나는 창에서 수정 후 [수정요청]을 클릭합니다.
4. 각주의 경우에는 각주 번호를 마우스오버하여 나타난 창을 클릭하면 수정요청 창이 열립니다.

※ 컴퓨터 브라우저에서만 가능합니다.
5. 예수의 행태 일반
1) 기적 이야기와 예수의 행태

예수의 기적행위에 대한 보도는 네 복음서 전체에서 29회에 달한다. 특히 마르코복음에는 예수의 말씀보다는 기적이야기에 초점을 모으고 있다. 양식사 연구에서는 이 이야기들이 각기 독립되어 전승된 것이라고 하는 견해가 통념이 되어버렸다. 그러나 기적이야기가 원시 그리스도교회의 설교에서 그 삶의 자리를 가진다는 견해(디벨리우스)나, 원시교회의 변증적인 동기에서 형성되었다는 견해(불트만)에는 동의할 수 없다.

케리그마 신학의 입장에서 보면, 초대교회의 설교에서 그 핵심은 '예수의 십자가의 죽음과 부활'이다. 그리고 그러한 근거 위에서 신앙의 촉구가 불가결한 요소로 되어왔다. 그러나 많은 기적이야기는 극히 제한된 일부의 예외를 제외하면 그렇지 않다.56)타이센은 마르 2, 5; 루가 5, 8; 요한 5, 14이 예외에 해당한다고 지적한다(G. Theissen, "Synoptische Wundergeschichten im Lichte unseres Sprachverständnisses", Wissenschaft und Praxis in Kirche und Gesellschaft, S. 292). 또 기적이야기 중 일부에는 부활사건이 반영되어 있다는 견해에 긍정할 수는 있으나57)타이센은 기적사화 가운데 세 군데에 예수의 부활이 반영되어 있다고 지적한다. 즉 죽은 자를 일으킨 것(루가 7, 11~17), 물 위로 걸은 것(마르 4, 28~31), 떡을 뗀 것(마르 14, 22~26)이다(Theissen, ibid., S. 293; G. Montefiole, The Synoptic Gospel, vol. I, 1927, p. 43). 예수의 고난에 대해서는 어떠한 암시도 찾아볼 수 없다. 뿐만 아니라 기적사건에 신앙이 조건으로 결부된 것은 기적사건 전체에서 단지 세 군데뿐이다.58)마르 5, 349, 2310, 52이 여기에 해당한다. 이외에 마태오복음에 두 곳이 있는데 둘 다 이방인들의 신앙을 취급한 것으로 후대에 속한 것이다. 따라서 몇 가지 예외를 가지고 기적이야기를 일관되게 해석할 수는 없으며, 전체의 기적이야기들을 그리스도 케리그마에 흡수시킬 수가 없다.59)G. Theissen, op. cit., S. 292.

기적이야기들은 그리스도론적 신앙이 주요조건이 아니라, 병든 자, 배고픈 자, 귀신들린 자 또는 어떤 곤경 속에 처한 사람들을 그런 것들에서 해방시켜준다는 데 초점이 있지, 예수가 기적행위를 행함으로써 그리스도임을 과시하려는 데 있지 않다. 따라서 위에서 언급한 극히 제한된 예외에서 보는 신앙도 결국 그리스도 케리그마적인 신앙과는 전혀 다른 것들이다. 그러므로 어떤 각도에서 보더라도 이 기적이야기의 모체가 설교(케리그마)라는 주장은 타당하지 않다.

그러면 이 이야기들을 누가 전승했을까? 이 물음에 대해서 먼저 지적해야 할 사실은 기적사건 자체가 이야기체로 되어 있다는 것이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야기는가장 민중적인 언어이다. 기적이야기는 하류층에 의해서 쉽게 수용되며, 그들의 신앙내용이 된다고 하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다. 이미 오리게네스(Origenes)는 기적은 교육받지 못한 민중에게서 주로 믿어졌다는 것을 말했으며, 타이센은 초기에는 기적신앙이 주로 민중 사이에 머물러 있었고, 3세기경에야 비로소 그것이 상류층에까지 확대되기 시작했다고 보고 있다.60)G. Theissen, op. cit., S. 294.

우리는 이 기적이야기들에 가난한 자의 경제적 동기, 소외된 자의 사회적 동기, 나아가서는 정치적 염원 같은 것이 반영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우리는 이 기적이야기들에서 지적 욕구나 선교적 관심 또는 그리스도교에 대한 변증적 동기보다는 민중의 애환과 그들이 놓인 처절한 상황에서의 희망이 이 기적이야기를 압도하고 있음을 부정할 수 없을 것이다. 특히 마르코복음에는 귀선들린 자의 치유(Exorcismus) 이야기가 많은데, 사람들은 이것을 종교사학파의 주장대로 종말론적인 동기와 결부시켰을 뿐 사회적 조건과 관련해서는 별로 고려하지 않았지만, 귀신들린 자(정신병자)는 정치적 상황과 깊은 관계가 있다. 이방 민족에 의한 정치적 박해 현장은 귀신들린 자를 낳는 온상이라고 한다.61)W. E. Mühlmann, Chiliasmus und Nativismus, Berlin, 1961, S. 252; 타이센의 위의 논문 S. 294에서 재인용.

종말론, 그리스도론 나아가서는 구원론 등 종교적인 동기를 절대화함으로써 예수와 수난당하는 민중의 관계에 전혀 주목하지 않는 것은 바로 예수의 이야기를 그 현장으로부든터 유리시켜 관념화하는 것이다. 공관복음서의 기적이야기는 요한복음과는 달리 예수가 누구냐라는 데 대한 관심은 별로 없고, 그가 민중에게 무엇을 했는가 하는 것에 초점을 모으고 있다. 고난의 현장에 있는 사람들에게 중요한 것은 일차적으로 그 고난으로부터의 해방이다. 여기서 해방자에 대한 물음은 여유를 가진 자에게나 가능하다. 더구나 해방자에 대한 형이상학적 사변 따위는 그 사건을 객관화시킨 자들이나 하는 일이다.

양식사학자들은 문서화된 기적이야기에서 일정한 양식을 찾아내고 있지만, 그것을 일원화하려는 데에는62)가령 디벨리우스는 기적이야기의 결어에는 항상 송영결어(Chor-Schluss)가 따른다고 보고 있다(M. Dibelius, Die Formgeschichte des Evangeliums, S. 50). 그의 이적사화가 갖는 전형적 형식에 대해서는 R. Bultmann, Die Geschichle der synoptischen Tradition, S. 236~241/ 허혁 역, 『공관복음서 전승사』, 272~282면 참조. 큰 무리가 있다. 그리고 양식화되기 이전의, 즉 구전 전승의 원형이 그 양식에 의존하지 않는 목격자의 진술에 근거한 민중의 전승이라는 점을 간과하는 것은 큰 잘못이다. "예수가 기적을 행했을 수도 있다"63)R. Bultmann, Die Geschichle des synoptichen Tradition, S. 244/ 허혁 역, 라고 만전제하고 기적이야기의 분석에서 그 역사성을 전혀 묻지 않는 것은 신학적 편견에 근거한 것이다.


List of Articles
바알 (열상 19, 18)
남은 칠천 명 (19, 7-18)
민중의 손으로 통일되는 날 (아모 9, 11-15)
겨울은 가고 (에제 37장)
에제키엘이 무등산에서 절규한다 (에제 24, 6-8)
포로에서의 탈출 (이사 66, 1-8)
위정자와의 대결 (이사 7, 10-14)
   
제5부 새로운 존재
일상성과 비일상성 (루가 10, 38-42)
그래도 다시 낙원에로 환원시키지 않았다 (창세 3, 1-10)
새로운 인간상 (창세 12, 1-9)
믿음의 조상 (창세 22, 17-18)
두 사이 에 손을 얹을 판결자 (욥기 9, 25-35)
하느님으로부터의 도피 (시편 139편)
하느님의 웃음 (시편 2편)
잠과 신앙 (시편 127편)
교회란 무엇인가 (로마 8, 9-30)
인간을 말한다 (마르 12, 28-34)
존재 근거 (시편 42편)
우주의 품으로 (시편 8,3 이하)
   
판권
표지
예수의 민중사건 : 『민중과 성서』를 내면서
   
제1부 복음서와 민중
   
예수와 민중 : 마르코복음을 중심으로
    1. 전제
    2. 마르코복음 안의 오클로스
    3. 마르코복음에 나타난 오클로스의 성격
        1) 오클로스의 성격
        2) 오클로스에 대한 예수의 행태
        3) 종합
    4. 예수를 따른 자들
    5. 마르코복음 안에 있는 어록
    6. 오클로스의 언어학적 의미
        1) 라오스와 오클로스
        2) 오클로스와 암 하 아레츠
    7. 종합
마르코복음에서 본 역사의 주체
    1. 전제
    2. 마르코의 삶의 자리
    3. 마르코의 민중신학의 기조
        1) 세례자 요한이 잡힌 후(14a절)
        2) 갈릴래아로 가다
        3) 하느님 나라의 도래 선포
    4. 민중의 행태
예수사건의 전승 모체
    1. 문제 제기
    2. 케리그마의 성격
        1) 고린토전서 15장 3~8절
        2) 필립비서 2장 6~11절
        3) 사도행전에 나타난 케리그마
    3. 민중언어의 성격
    4. 수난사
    5. 예수의 행태 일반
        1) 기적 이야기와 예수의 행태
        2) 아포프테그마와 예수의 행태
        3) 로기온(Logion, 어록)과 예수의 행태
    6. 결론
가난한 자 : 루가의 민중 이해
    1. 가난한 자
        1) 통계적 고찰
        2) 루가의 특수자료
        3) 예수의 탄생설화와 나자렛 선언
        4) 마르코와 Q자료
    2. 루가복음서의 청중
    3. 결론
마태오의 민중적 민족주의
    1. 문제 제기
        1) 마태오의 신학적 주제에 대한 논의들
        2) 문제 제기
    2. 마태오가 처한 현실
        1) 마태오와 그의 시기
        2) 민족적 와해 위기
    3. 마태오의 현실인식
        1) 이스라엘 : 길 잃은 양들
        2) 길 잃은 양이 놓여 있는 현실
    4. 민족동일성 재확립
        1) 뿌리 찾기
        2) 바리사이파가 주도하는 라삐 유다교와의 대결
    5. 마태오의 민중 이해
        1) 언어적 성격
        2) 의식화된 민중
    6. 맺는 말
민중신학의 성서적 근거 : 마르코복음을 중심으로
    1. 예수사건의 재발견
    2. 마르코복음과 민중
    3. 민중은 수단이 아니다
    4. 민중은 객체일 수 없다
    5. 십자가는 민중수난의 극치다
민중신학의 어제와 오늘
    1. 독재와 대항하므로
    2. 민중을 만나므로
    3. 민중과 더불어
   
제2부 민중운동사
   
민중사건과 언어사건
    1. 성서에서 본 말의 성격
        1) 그 말의 현장은 어떤 것이었나
        2) 예수의 경우
        3) 예수사건에 관한 전승
        4) 오순절의 말 사건
    2. 무엇으로 말하는 것인가
    3. 해야 할 말은 무엇인가
    4. 우리가 해야 할 말
미래는 가난한 자의 것 : 루가 6장 20~26절
    1. 축복과 저주
    2. 가난한 자와 부요한 자
    3. ‘지금’과 ‘장차’
    4. 우리의 선택
나라가 임하옵소서
    1. 예수의 기도
    2. 그의 기도를 전달받은 자들
    3. 하느님의 나라
고향 잃은 민중
    1. 피난민
    2. 성서에서 본 피난민문제
    3. 게르(GER) 문제 해결의 시도
    4. 이방인에 대한 관용의 한계
    5. 당면한 과제
        1 ) 새로운 인식을 위한 운동
        2) 실천에 대한 몇 가지 제언
이스라엘 민중사
    1. 머리말
    2. 출애굽
    3. 고대 이스라엘 종족동맹
    4. 민중을 배반하고 세워진 왕권
    5. 분단시대의 고난
    6. 민중운동의 여러 계열
    7. 예수의 민중운동
    8. 맺는 말
   
제3부 민중과 체제
   
민중사실의 증언
    1. 민중신학의 전제들
    2. 민중사실의 증언
고난과 고백
    1. 수난자와의 일치
    2. 마르코의 민중
    3. 수난사와 고난
    4. 더불어의 고난
    5. 맺는 말
갈릴래아 민중에 항복한 바울로
    1. 바울로의 위치
    2. 사울은 어떤 사람인가
    3. 그리스도교 박해
    4. 예수를 만남
    5. 전향
    6. 맺는 말
소명(召命)
    1. 바울로의 소명
    2. 사도 됨과 소명
    3. 이방인에게로
바울로와 역사의 예수 I
    1. 머리말
    2. 예수에 대한 바울로의 말
    3. 예수냐 바울로냐
    4. 왜 예수가 아니고 케리그마인가
선택받은 민중: 고린토전서 1장 26~31절
    1. 고린토교회 구성원의 사회계층
    2. 공동체원의 가치 판단 기준
    3. 민중을 보는 눈
    4. 택함을 받은 민중
   
제4부 예수의 희망
   
하늘도 땅도 공(公)이다
    1. 낙원 이야기
    2. 아담一인간
    3. 실락원은 공을 사유화함으로
갈릴래아에서 만나자: 마르코 16장 1~8절
    1. 제3의 자리
    2. 갈릴래아
    3. 갈릴래아에서 만나자
예수의 희망
    1. 새 세계에의 희망
    2. 희망과 세계혁명
    3. 바른 인간공동체의 희망
    4. 맺는 말
   
판권
표지
예수는 논하지 않았다
   
제1부 민중의 언어, 이야기
   
1. 성서라는 책의 성격
2. 성서의 서술양식
    1) 구약성서
    2) 신약성서
    3) 민중언어
   
제2부 예수의 이야기(비유)
   
1. 만성병에 걸린 세대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
위로
텍스트를 수정한 후 아래 [수정요청] 버튼을 클릭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