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전집

전집은 OCR 스캔 잡업으로 진행되어 오탈자가 있습니다.
오탈자를 발견하면 다음과 같이 등록해 주시면 관리자가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1. 수정 요청을 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2. 본문을 읽는 중에 오탈자가 있는 곳을 발견하면 앞뒤 텍스트와 함께 마우스로 선택합니다.
3. 그 상태에서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하여 나타나는 창에서 수정 후 [수정요청]을 클릭합니다.
4. 각주의 경우에는 각주 번호를 마우스오버하여 나타난 창을 클릭하면 수정요청 창이 열립니다.

※ 컴퓨터 브라우저에서만 가능합니다.
마태오의 민중적 민족주의
1. 문제 제기
1) 마태오의 신학적 주제에 대한 논의들

'마태오복음의 편십자가 집중한 신학적 관심이 무엇이냐?'에 대해서 여러 견해들이 있다. 그것들은 각기 그 나름대로의 근거가 있다.

첫째는 마태오를 교회주의자로 보는 시각이다. 그것은 무엇보다도 마태오가 다른 복음서에서 볼 수 없는 '에클레시아'(ἒκκλησια, 교회)라는 개념을 사용(마태 16, 1818, 17)했을 뿐만 아니라, 교회의 위상과 권위를 절대화했기 때문이다.1)H. C. Kee, Understanding the New Testament/ 서중석 역, 『신약성서이해』, 한국신학연구소, 1990, 209면; 서중석, 『복음서해석』, 대한기독교서회, 1991. 136~37면; Simon LegassePère Le Poittevin, Lecture de l’Euangile selon saint Matthieu, Cahiers EVANGILEe 9, Service Biblique Evangile et Vie Editions du CERF, 1974/ 김건태 역, 『마태오복음』, 카톨릭출판사, 1988, 104~105면; 정양모 역주, 『마태오복음』, 한국천주교회 200주년 신약성서 1, 분도출판사, 146-147면.

둘째는 마태오가 그리스도교 공동체를 이스라엘의 계승자로서 모세와 그의 이름으로 된 토라(Tohra)의 수호자이며, 새 계약의 주체라는 인식에 기조를 두었다는 주장이다.2)정양모 역주, 위의 책, 18-19, 22~23면. 마태오는 구약을 압도적으로 많이 인용하고 있으며(12회)3)"저자는 적어도 130개의 구절에서 구약성서를 직접 참조하고 있으며, 그 가운데 43개 구절은 성서를 그대로 인용한 구절이다"(S. LegasseP. L. Poittevin, op. cit. pp. 23~24)., 토라를 절대화하는 전승 편에 선다. 그중에서도 5장 17~18절이 그런 입장을 천명한다. 그러므로 마태오는 예수를 제2 모세로 보았다는 주장이 오래 전부터 있어왔다.4)W. G. Kümmel, Einleitung in das neue Testament, 1963, S. 60 참조; H. C. Kee, op. cit. pp. 189~90, 192~202.

셋째는 이스라엘의 입장에 서서 후기 유다교를 대표하는 바리사이파 등 유다교 지도층과의 대결을 목적으로 했다는 주장이다.5)김득중, 『복음서신학』, 컨콜디아사, 1986, 52~53면; S. LegasseP. L. Poittevin, op. cit. pp. 17~20/ 정양모 역주, 앞의 책, 23, 45, 90~91, 94, 110~111, 115, 119~120, 143, 193~196, 199~200면; E. Schweitzer, Das Evangelium nach Matthäus, 1976, S. 4~5. 그것은 그가 토라와 예언자의 글을 그대로 유효한 것으로 선언하고,6)마태 7, 1222, 40. 유다교의 가르침을 수용하라고 하면서도(23, 2~3) 줄곧 라삐들과 바리사이파를 예수의 적대자들로 상정할 뿐 아니라, 23장에서 보는 대로 저들의 위선성을 집중 공격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견해들은 계속 논쟁의 여지를 안고 있으나 각기 그 나름의 근거를 갖고 있다. 그러나 이 논문은 마태오의 관심의 중심이 '이스라엘 민족의 문제'에 있으며, 그 시각에서 위에 예거한 주제들이 전개되고 있다는 가정 밑에서 마태오를 해석하려고 한다.

이는 위에서 예거한 관심사들을 포괄하는 것이지 전혀 다른 문제라거나 대치되는 문제로 전제한 것은 아니다. 그러나 그런 것들과 상호 모순되거나 충돌되는 부분이 있을 수 있다. 그것에 대해서는 앞으로 구체적으로 다루겠으나, 우선 '교회'란 세계적 보편성을 지니고 있어야 하는 데 반해서 한 민족의 문제는 이에 상충될 수 있으며, 유다교 내지는 모세의 문제 역시 그리스도교에서는 아직 미해결의 과제로 남아 있을지 모르나 민족적으로 볼 때는 이미 전혀 다른 상황에 있을 때이니 만큼 상충될 수 있기 때문이다. 만약 그의 관심이 민족에 있다면, 그는 단지 '유다 민족주의'를 내세우려는 것인지 아니면 어떤 새로운 민족의식을 정립하려는 것인지를 물어야 할 것이다.


List of Articles
바알 (열상 19, 18)
남은 칠천 명 (19, 7-18)
민중의 손으로 통일되는 날 (아모 9, 11-15)
겨울은 가고 (에제 37장)
에제키엘이 무등산에서 절규한다 (에제 24, 6-8)
포로에서의 탈출 (이사 66, 1-8)
위정자와의 대결 (이사 7, 10-14)
   
제5부 새로운 존재
일상성과 비일상성 (루가 10, 38-42)
그래도 다시 낙원에로 환원시키지 않았다 (창세 3, 1-10)
새로운 인간상 (창세 12, 1-9)
믿음의 조상 (창세 22, 17-18)
두 사이 에 손을 얹을 판결자 (욥기 9, 25-35)
하느님으로부터의 도피 (시편 139편)
하느님의 웃음 (시편 2편)
잠과 신앙 (시편 127편)
교회란 무엇인가 (로마 8, 9-30)
인간을 말한다 (마르 12, 28-34)
존재 근거 (시편 42편)
우주의 품으로 (시편 8,3 이하)
   
판권
표지
예수의 민중사건 : 『민중과 성서』를 내면서
   
제1부 복음서와 민중
   
예수와 민중 : 마르코복음을 중심으로
    1. 전제
    2. 마르코복음 안의 오클로스
    3. 마르코복음에 나타난 오클로스의 성격
        1) 오클로스의 성격
        2) 오클로스에 대한 예수의 행태
        3) 종합
    4. 예수를 따른 자들
    5. 마르코복음 안에 있는 어록
    6. 오클로스의 언어학적 의미
        1) 라오스와 오클로스
        2) 오클로스와 암 하 아레츠
    7. 종합
마르코복음에서 본 역사의 주체
    1. 전제
    2. 마르코의 삶의 자리
    3. 마르코의 민중신학의 기조
        1) 세례자 요한이 잡힌 후(14a절)
        2) 갈릴래아로 가다
        3) 하느님 나라의 도래 선포
    4. 민중의 행태
예수사건의 전승 모체
    1. 문제 제기
    2. 케리그마의 성격
        1) 고린토전서 15장 3~8절
        2) 필립비서 2장 6~11절
        3) 사도행전에 나타난 케리그마
    3. 민중언어의 성격
    4. 수난사
    5. 예수의 행태 일반
        1) 기적 이야기와 예수의 행태
        2) 아포프테그마와 예수의 행태
        3) 로기온(Logion, 어록)과 예수의 행태
    6. 결론
가난한 자 : 루가의 민중 이해
    1. 가난한 자
        1) 통계적 고찰
        2) 루가의 특수자료
        3) 예수의 탄생설화와 나자렛 선언
        4) 마르코와 Q자료
    2. 루가복음서의 청중
    3. 결론
마태오의 민중적 민족주의
    1. 문제 제기
        1) 마태오의 신학적 주제에 대한 논의들
        2) 문제 제기
    2. 마태오가 처한 현실
        1) 마태오와 그의 시기
        2) 민족적 와해 위기
    3. 마태오의 현실인식
        1) 이스라엘 : 길 잃은 양들
        2) 길 잃은 양이 놓여 있는 현실
    4. 민족동일성 재확립
        1) 뿌리 찾기
        2) 바리사이파가 주도하는 라삐 유다교와의 대결
    5. 마태오의 민중 이해
        1) 언어적 성격
        2) 의식화된 민중
    6. 맺는 말
민중신학의 성서적 근거 : 마르코복음을 중심으로
    1. 예수사건의 재발견
    2. 마르코복음과 민중
    3. 민중은 수단이 아니다
    4. 민중은 객체일 수 없다
    5. 십자가는 민중수난의 극치다
민중신학의 어제와 오늘
    1. 독재와 대항하므로
    2. 민중을 만나므로
    3. 민중과 더불어
   
제2부 민중운동사
   
민중사건과 언어사건
    1. 성서에서 본 말의 성격
        1) 그 말의 현장은 어떤 것이었나
        2) 예수의 경우
        3) 예수사건에 관한 전승
        4) 오순절의 말 사건
    2. 무엇으로 말하는 것인가
    3. 해야 할 말은 무엇인가
    4. 우리가 해야 할 말
미래는 가난한 자의 것 : 루가 6장 20~26절
    1. 축복과 저주
    2. 가난한 자와 부요한 자
    3. ‘지금’과 ‘장차’
    4. 우리의 선택
나라가 임하옵소서
    1. 예수의 기도
    2. 그의 기도를 전달받은 자들
    3. 하느님의 나라
고향 잃은 민중
    1. 피난민
    2. 성서에서 본 피난민문제
    3. 게르(GER) 문제 해결의 시도
    4. 이방인에 대한 관용의 한계
    5. 당면한 과제
        1 ) 새로운 인식을 위한 운동
        2) 실천에 대한 몇 가지 제언
이스라엘 민중사
    1. 머리말
    2. 출애굽
    3. 고대 이스라엘 종족동맹
    4. 민중을 배반하고 세워진 왕권
    5. 분단시대의 고난
    6. 민중운동의 여러 계열
    7. 예수의 민중운동
    8. 맺는 말
   
제3부 민중과 체제
   
민중사실의 증언
    1. 민중신학의 전제들
    2. 민중사실의 증언
고난과 고백
    1. 수난자와의 일치
    2. 마르코의 민중
    3. 수난사와 고난
    4. 더불어의 고난
    5. 맺는 말
갈릴래아 민중에 항복한 바울로
    1. 바울로의 위치
    2. 사울은 어떤 사람인가
    3. 그리스도교 박해
    4. 예수를 만남
    5. 전향
    6. 맺는 말
소명(召命)
    1. 바울로의 소명
    2. 사도 됨과 소명
    3. 이방인에게로
바울로와 역사의 예수 I
    1. 머리말
    2. 예수에 대한 바울로의 말
    3. 예수냐 바울로냐
    4. 왜 예수가 아니고 케리그마인가
선택받은 민중: 고린토전서 1장 26~31절
    1. 고린토교회 구성원의 사회계층
    2. 공동체원의 가치 판단 기준
    3. 민중을 보는 눈
    4. 택함을 받은 민중
   
제4부 예수의 희망
   
하늘도 땅도 공(公)이다
    1. 낙원 이야기
    2. 아담一인간
    3. 실락원은 공을 사유화함으로
갈릴래아에서 만나자: 마르코 16장 1~8절
    1. 제3의 자리
    2. 갈릴래아
    3. 갈릴래아에서 만나자
예수의 희망
    1. 새 세계에의 희망
    2. 희망과 세계혁명
    3. 바른 인간공동체의 희망
    4. 맺는 말
   
판권
표지
예수는 논하지 않았다
   
제1부 민중의 언어, 이야기
   
1. 성서라는 책의 성격
2. 성서의 서술양식
    1) 구약성서
    2) 신약성서
    3) 민중언어
   
제2부 예수의 이야기(비유)
   
1. 만성병에 걸린 세대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
위로
텍스트를 수정한 후 아래 [수정요청] 버튼을 클릭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