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전집

전집은 OCR 스캔 잡업으로 진행되어 오탈자가 있습니다.
오탈자를 발견하면 다음과 같이 등록해 주시면 관리자가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1. 수정 요청을 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2. 본문을 읽는 중에 오탈자가 있는 곳을 발견하면 앞뒤 텍스트와 함께 마우스로 선택합니다.
3. 그 상태에서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하여 나타나는 창에서 수정 후 [수정요청]을 클릭합니다.
4. 각주의 경우에는 각주 번호를 마우스오버하여 나타난 창을 클릭하면 수정요청 창이 열립니다.

※ 컴퓨터 브라우저에서만 가능합니다.
2) 문제 제기

마태오는 '에콜레시아'라는 말을 쓴 유일한 복음서 편자인, 동시에 '이스라엘만'을 내세운 것도 그뿐이다. 마태오는 제자들을 파견하는 자료를 마르코복음에서 전승하면서 "이방 사람의 길로도 가지 말고 또 사마리아 사람들의 도시에도 가지 마라. 다만 이스라엘 백성 중의 길 잃은 양에게로 가라"(마태 10, 5~6)는 말을 첨가했다. 이것은 다른 복음서에는 없는 마태오 고유의 것이다. 사람들 중에는 이것은 '이스라엘 민족만'이라는 뜻보다는 '잃어버린 양'에 역점이 있다고 보려고 하나, 그 위에 '이방 사람'과 나아가서는 유다교에서 이방으로 취급하였던 '사마리아'까지도 대조시키고 있는 것이 뚜렷한 한 그런 주장에는 무리가 있다. 더욱이 "너희가 이스라엘의 모든 도시를 다 다니기 전에 인자가 올 것이다"(10, 23)라는 마태오의 추가문은 선교활동을 '이스라엘 민족'에 국한하라는 이해를 지원한다.

이런 이해를 뒷받침하는 또 한 구절이 있다. 이것도 마태오에만 나오는 자료로서, 자기 딸의 병을 고쳐달라고 요청하는 이방 여인에게 "나는 오직 '이스라엘 집의 잃은 양'을 위해서'만' 보내심을 받았다"7)"ὀ δέ ἀποκριθεὶς εἰπεν οὐκ ἀπεσλην <εἰ μή> <εἰς τὰ πρόβατα τὰ ἀπολωλότὀίκου Ἱσραήλ>"(마태 15, 24).고 하는 구절인데, 여기서 '만' 혹은 '외에는'으로 번역되는 'εἰμή'는 '아니라면'이라는 단호한 부정이 선제된 제한성을 내포한 말이다. 그러나 이 말 속에서 마르코가 그 여인을 '이방인'으로 전제하고 "자녀들을 먼저 배부르게 해야 한다. 자녀들의 떡을 집어 강아지에게 던져주는 것은 옳지 않다"(7, 27)8)"ἅ φες <πρωτον> χορταθηναι τὰ τέκνα οὐ γάρ ἐστιν καλὸν λαβεἲν τὸν ἅρτον των τέκνων καὶ τοις κυναρίοις βαλειν"(마르 7, 27).고 하는 것은 여전히 반(反) 이방인적 전제가 있으나 마르코는 '먼저'(πρὢτον)라는 말로써 이스라엘의 우선성을 말하는 것이지 '이방' 배제를 말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런데 마르코를 대본으로 한 마태오는 마르코의 27a절을 삭제하고 '이스라엘……만'을 강조함으로써 폐쇄적 이스라엘주의로 받아들일 수 있게 되었다.

한편 마태오가 '이스라엘만' 혹은 '이스라엘'이라는 말을 빈번하게 사용하고 있지 않으며, 특히 28장 19절9)"너희는 가서 '모든 민족들'(παντα τα ἕθνη)을 제자로 삼아라"(마태 28, 19).을 논거로 마태오는 '모든 민족'(παντα τα ἕθνη)을 대상으로 하는 보편성을 내세운다10)김득중, 앞의 책, 61~62면; 정양모 역주, 앞의 책, 250면; S. LegasseP. L. Poittevin, op. cit., p. 21.는 주장이나, 이사야 49장 6~7절을 근거로 하여 보편성을 주장하는 사람들은 마태오의 '이스라엘만'의 특이성을 간과하려고 한다.11)J. Schniewind, Das Evangelium nach Mattäus, Göttingen, 1960, S. 128. 그러나 그것은 '역사의 예수시대'와 '부활 이후'라는 단절을 간과한 견해이며, 그 내용을 정확히 파악하지 못한 비약이다. 이 문제는 후에 다시 논의될 것이다.

이미 이스라엘시대는 지나가고 특히 솔로몬의 지방 차별정치, 분단 그리고 이스라엘의 멸망을 거쳐 남유다만이 살아남아 '이스라엘'을 기억에서조차 배제하려는 마당에 마태오는 이스라엘이란 용어를 여러 차례 쓸 뿐만 아니라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그것은 파악하기에 따라서 아주 큰 비중을 가질 수 있다. 가령 일제가 광분할 때, 어떤 이가 어떤 공개된 글에 '한국민족 독립을 위해서만'이라는 말을 단 한 번이라도 썼다면 그 글이 차지하는 전체의 무게보다 그 말 한 구절이 독자들에게 더 클 수 있다. 그와 그가 쓴 글 전체를 정확히 이해하려면 바로 그 한 구절이 열쇠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마태오는 무엇 때문에 '이스라엘만'이라는 배타적이고 이스라엘 중심적인 사고를 나타내는 것일까? 이것이 이 논문이 다루고자 하는 질문인데, 그 민족주의를 상세히 취급하기 전에 그럴 수 있는 그때의 상황을 먼저 살피는 것이 순서일 것이다.


List of Articles
바알 (열상 19, 18)
남은 칠천 명 (19, 7-18)
민중의 손으로 통일되는 날 (아모 9, 11-15)
겨울은 가고 (에제 37장)
에제키엘이 무등산에서 절규한다 (에제 24, 6-8)
포로에서의 탈출 (이사 66, 1-8)
위정자와의 대결 (이사 7, 10-14)
   
제5부 새로운 존재
일상성과 비일상성 (루가 10, 38-42)
그래도 다시 낙원에로 환원시키지 않았다 (창세 3, 1-10)
새로운 인간상 (창세 12, 1-9)
믿음의 조상 (창세 22, 17-18)
두 사이 에 손을 얹을 판결자 (욥기 9, 25-35)
하느님으로부터의 도피 (시편 139편)
하느님의 웃음 (시편 2편)
잠과 신앙 (시편 127편)
교회란 무엇인가 (로마 8, 9-30)
인간을 말한다 (마르 12, 28-34)
존재 근거 (시편 42편)
우주의 품으로 (시편 8,3 이하)
   
판권
표지
예수의 민중사건 : 『민중과 성서』를 내면서
   
제1부 복음서와 민중
   
예수와 민중 : 마르코복음을 중심으로
    1. 전제
    2. 마르코복음 안의 오클로스
    3. 마르코복음에 나타난 오클로스의 성격
        1) 오클로스의 성격
        2) 오클로스에 대한 예수의 행태
        3) 종합
    4. 예수를 따른 자들
    5. 마르코복음 안에 있는 어록
    6. 오클로스의 언어학적 의미
        1) 라오스와 오클로스
        2) 오클로스와 암 하 아레츠
    7. 종합
마르코복음에서 본 역사의 주체
    1. 전제
    2. 마르코의 삶의 자리
    3. 마르코의 민중신학의 기조
        1) 세례자 요한이 잡힌 후(14a절)
        2) 갈릴래아로 가다
        3) 하느님 나라의 도래 선포
    4. 민중의 행태
예수사건의 전승 모체
    1. 문제 제기
    2. 케리그마의 성격
        1) 고린토전서 15장 3~8절
        2) 필립비서 2장 6~11절
        3) 사도행전에 나타난 케리그마
    3. 민중언어의 성격
    4. 수난사
    5. 예수의 행태 일반
        1) 기적 이야기와 예수의 행태
        2) 아포프테그마와 예수의 행태
        3) 로기온(Logion, 어록)과 예수의 행태
    6. 결론
가난한 자 : 루가의 민중 이해
    1. 가난한 자
        1) 통계적 고찰
        2) 루가의 특수자료
        3) 예수의 탄생설화와 나자렛 선언
        4) 마르코와 Q자료
    2. 루가복음서의 청중
    3. 결론
마태오의 민중적 민족주의
    1. 문제 제기
        1) 마태오의 신학적 주제에 대한 논의들
        2) 문제 제기
    2. 마태오가 처한 현실
        1) 마태오와 그의 시기
        2) 민족적 와해 위기
    3. 마태오의 현실인식
        1) 이스라엘 : 길 잃은 양들
        2) 길 잃은 양이 놓여 있는 현실
    4. 민족동일성 재확립
        1) 뿌리 찾기
        2) 바리사이파가 주도하는 라삐 유다교와의 대결
    5. 마태오의 민중 이해
        1) 언어적 성격
        2) 의식화된 민중
    6. 맺는 말
민중신학의 성서적 근거 : 마르코복음을 중심으로
    1. 예수사건의 재발견
    2. 마르코복음과 민중
    3. 민중은 수단이 아니다
    4. 민중은 객체일 수 없다
    5. 십자가는 민중수난의 극치다
민중신학의 어제와 오늘
    1. 독재와 대항하므로
    2. 민중을 만나므로
    3. 민중과 더불어
   
제2부 민중운동사
   
민중사건과 언어사건
    1. 성서에서 본 말의 성격
        1) 그 말의 현장은 어떤 것이었나
        2) 예수의 경우
        3) 예수사건에 관한 전승
        4) 오순절의 말 사건
    2. 무엇으로 말하는 것인가
    3. 해야 할 말은 무엇인가
    4. 우리가 해야 할 말
미래는 가난한 자의 것 : 루가 6장 20~26절
    1. 축복과 저주
    2. 가난한 자와 부요한 자
    3. ‘지금’과 ‘장차’
    4. 우리의 선택
나라가 임하옵소서
    1. 예수의 기도
    2. 그의 기도를 전달받은 자들
    3. 하느님의 나라
고향 잃은 민중
    1. 피난민
    2. 성서에서 본 피난민문제
    3. 게르(GER) 문제 해결의 시도
    4. 이방인에 대한 관용의 한계
    5. 당면한 과제
        1 ) 새로운 인식을 위한 운동
        2) 실천에 대한 몇 가지 제언
이스라엘 민중사
    1. 머리말
    2. 출애굽
    3. 고대 이스라엘 종족동맹
    4. 민중을 배반하고 세워진 왕권
    5. 분단시대의 고난
    6. 민중운동의 여러 계열
    7. 예수의 민중운동
    8. 맺는 말
   
제3부 민중과 체제
   
민중사실의 증언
    1. 민중신학의 전제들
    2. 민중사실의 증언
고난과 고백
    1. 수난자와의 일치
    2. 마르코의 민중
    3. 수난사와 고난
    4. 더불어의 고난
    5. 맺는 말
갈릴래아 민중에 항복한 바울로
    1. 바울로의 위치
    2. 사울은 어떤 사람인가
    3. 그리스도교 박해
    4. 예수를 만남
    5. 전향
    6. 맺는 말
소명(召命)
    1. 바울로의 소명
    2. 사도 됨과 소명
    3. 이방인에게로
바울로와 역사의 예수 I
    1. 머리말
    2. 예수에 대한 바울로의 말
    3. 예수냐 바울로냐
    4. 왜 예수가 아니고 케리그마인가
선택받은 민중: 고린토전서 1장 26~31절
    1. 고린토교회 구성원의 사회계층
    2. 공동체원의 가치 판단 기준
    3. 민중을 보는 눈
    4. 택함을 받은 민중
   
제4부 예수의 희망
   
하늘도 땅도 공(公)이다
    1. 낙원 이야기
    2. 아담一인간
    3. 실락원은 공을 사유화함으로
갈릴래아에서 만나자: 마르코 16장 1~8절
    1. 제3의 자리
    2. 갈릴래아
    3. 갈릴래아에서 만나자
예수의 희망
    1. 새 세계에의 희망
    2. 희망과 세계혁명
    3. 바른 인간공동체의 희망
    4. 맺는 말
   
판권
표지
예수는 논하지 않았다
   
제1부 민중의 언어, 이야기
   
1. 성서라는 책의 성격
2. 성서의 서술양식
    1) 구약성서
    2) 신약성서
    3) 민중언어
   
제2부 예수의 이야기(비유)
   
1. 만성병에 걸린 세대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
위로
텍스트를 수정한 후 아래 [수정요청] 버튼을 클릭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