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전집

전집은 OCR 스캔 잡업으로 진행되어 오탈자가 있습니다.
오탈자를 발견하면 다음과 같이 등록해 주시면 관리자가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1. 수정 요청을 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2. 본문을 읽는 중에 오탈자가 있는 곳을 발견하면 앞뒤 텍스트와 함께 마우스로 선택합니다.
3. 그 상태에서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하여 나타나는 창에서 수정 후 [수정요청]을 클릭합니다.
4. 각주의 경우에는 각주 번호를 마우스오버하여 나타난 창을 클릭하면 수정요청 창이 열립니다.

※ 컴퓨터 브라우저에서만 가능합니다.
1) 언어적 성격

마르코와의 비교 : 마태오는 마르코의 오클로스라는 말을 대부분 그대로 수용할 뿐 아니라 이 단어를 추가로 사용하며,69)마태 4, 25; 5, 1; 7, 28; 8, 1; 9, 823253336; 11, 7; 12, 233436; 14, 513151923; 15, 30; 20, 2931; 21, 8911; 22, 33; 26, 56; 27, 1524. 그 개념을 그대로 전수하고 있다. 가령 목자 없는 양(9, 36), 불쌍한 무리(14, 15), 배고픈 무리(14, 19), 병든 무리(15, 30) 등등이 그런 것이다.

마태오는 마르코에 나오는 오클로스의 적극적인 의미를 그대로 전승하는데 그것은 루가와 비교하면 더 확실해진다. 마르코 3장 31절 이하에는 "무리(오클로스)가 그를 둘러앉았다"는 전제 다음에 예수가 "자기를 둘러앉은 사람들을 둘러보고 '보라, 여기 내 어머니와 형제들이 있다'"고 말한 것으로 되어 있다. 문맥상으로 볼 때, 여기서는 바로 오클로스가 그의 어머니요 형제들이라고 지칭한 것이며, 그들은 언제나 하느님의 뜻을 행하는 자들이라고 한다. 이에 대해서 루가(8, 19~21)는 오클로스를 예수의 어머니와 형제들이 만나는 데 있어서 장애물처럼 표현했을 뿐만 아니라 그들과는 "내 어머니요 형제"라는 중대한 선언을 결부시키지 않은 데 대해서 마태오(12, 46~49)는 오클로스를 제자와 동일시하면서 마르코의 의미를 그대로 살리고 있다.70)양식사적 시각에서는 46절의 오클로스와 49절의 제자들을 구별할 수 있다. 그러나 마태오를 편집사적 시각에서 볼 때, 그들을 구별할 의도를 찾아볼 수 없다. 가령 마태오 5장 1절에서 오클로스와 제자가 병행되나 오클로스가 청중에서 제외됐다고 볼 수 없는 것과 같다. 마태오에는 민중과 제자를 같은 청중으로 병행시키는 경우가 여러 곳이다(예 23장 1절).

마태오 21장 26절에서는 오클로스들이 세례자 요한을 예언자로 여기기 때문에 예수의 적대자들이 그를 무서운 존재로 보았다는 마르코(11, 32)의 내용을 그대로 보존하여 전승한 반면에, 루가는 오클로스를 라오스로 바꾸었다.

마태오 21장 24절에서는 기득권자들이 본 오클로스의 위력을 드러내는 것으로 마르코(12, 12)와 꼭 같은 뜻으로 전승하지만, 역시 루가는 이 무리를 라오스로 바꾸고 있다(20, 19).

 

루가와의 비교(Q자료) : 위에서 이미 마르코 자료를 루가와 비교했는데, Q자료 사용에서도 루가와 차이를 보이고 있다.

루가 3장 7절에서 세례자 요한은 자기에게 세례를 받으러 온 무리(오클로스)를 향하여 "독사의 자식들아……"라고 한 데 대해서, 마태오는 오클로스를 빼고 "많은 바리사이파 사람들과 사두가이파 사람들이 세례를 받으러 오는 것을 보고……"(3, 7)로 바꾸고 있다.

루가 13장 17절에서는 예수의 행적에 감탄하는 이들을 라오스라고 한 데 대해서, 마태오는 오클로스로 명기하고 있다(9, 8).

루가 20장 45절에서 예수의 청중을 라오스라고 하고 그들을 제자들과 구별하고 있다. 그러나 마태오는 "오클로스와 제자들에게 이렇게 말했다."(23, 1)고 하며 사실상 둘을 구별하지 않고 있다.

 

오클로스와 이스라엘 : 9장 23절에서 마태오는 오클로스를 바리사이파 사람들과 대조시키면서 이스라엘과의 관련 속에서 서술하고 있다. 또한 15장 31절에서 오클로스가 예수의 기적행위에 놀라면서 "이스라엘의 하느님께" 영광을 돌렸다고 함으로써 '하느님'과 '예수'와 오클로스를 '이스라엘'과 결부시키고 있다. 이와 꼭 같은 서술법이 9장 33b~34절에도 나온다.

한편 마태오는 구약을 많이 인용하는 것으로 유명한데, 그 경우 70인역(LXX)에 따라 민중을 라오스로 표기하고 있다(1, 212, 64, 1613, 1515, 8). 그런데 주목되는 점은 라오스를 예외 없이 이스라엘 백성이라는 뜻으로 사용한다는 점이다.

1장 21절에서 예수의 이름을 설명하면서 "자기 백성(라오스)을 죄에서 구원할 자"라고 하는 것과 2장 6절에서 "내 백성(라오스) 이스라엘의 목자가 될 것이다"는 말을 "이스라엘 백성 중의 잃은 양만을 위해 보냄을 받았다"는 말과 연결시켜볼 때, 마태오는 '이스라엘' '라오스' '예수'를 한 맥에서 보고 있다는 단면을 드러낸다.

끝으로 종합보고(4, 23~25)에서 예수가 고쳐준 여러 가지 병자들을 라오스(ἐν τῳ λαῳ, 23절)라고 하고, 뒤이어 바로 그들을 오클로스라고 함으로써(25절) 라오스와 오클로스를 같은 뜻으로 쓰고 있음을 나타낸다.

이상에서 볼 때, 마태오의 언어적 사용에서는 라오스와 오클로스가 성격상 동일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그가 중요시하는 '이스라엘'과 직결시키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오클로스 또는 라오스에게 무엇을 기대하고 있는지는 이스라엘민의 동일성을 찾으려는 목표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그것은 다음에서 더 분명해질 것이다.


List of Articles
바알 (열상 19, 18)
남은 칠천 명 (19, 7-18)
민중의 손으로 통일되는 날 (아모 9, 11-15)
겨울은 가고 (에제 37장)
에제키엘이 무등산에서 절규한다 (에제 24, 6-8)
포로에서의 탈출 (이사 66, 1-8)
위정자와의 대결 (이사 7, 10-14)
   
제5부 새로운 존재
일상성과 비일상성 (루가 10, 38-42)
그래도 다시 낙원에로 환원시키지 않았다 (창세 3, 1-10)
새로운 인간상 (창세 12, 1-9)
믿음의 조상 (창세 22, 17-18)
두 사이 에 손을 얹을 판결자 (욥기 9, 25-35)
하느님으로부터의 도피 (시편 139편)
하느님의 웃음 (시편 2편)
잠과 신앙 (시편 127편)
교회란 무엇인가 (로마 8, 9-30)
인간을 말한다 (마르 12, 28-34)
존재 근거 (시편 42편)
우주의 품으로 (시편 8,3 이하)
   
판권
표지
예수의 민중사건 : 『민중과 성서』를 내면서
   
제1부 복음서와 민중
   
예수와 민중 : 마르코복음을 중심으로
    1. 전제
    2. 마르코복음 안의 오클로스
    3. 마르코복음에 나타난 오클로스의 성격
        1) 오클로스의 성격
        2) 오클로스에 대한 예수의 행태
        3) 종합
    4. 예수를 따른 자들
    5. 마르코복음 안에 있는 어록
    6. 오클로스의 언어학적 의미
        1) 라오스와 오클로스
        2) 오클로스와 암 하 아레츠
    7. 종합
마르코복음에서 본 역사의 주체
    1. 전제
    2. 마르코의 삶의 자리
    3. 마르코의 민중신학의 기조
        1) 세례자 요한이 잡힌 후(14a절)
        2) 갈릴래아로 가다
        3) 하느님 나라의 도래 선포
    4. 민중의 행태
예수사건의 전승 모체
    1. 문제 제기
    2. 케리그마의 성격
        1) 고린토전서 15장 3~8절
        2) 필립비서 2장 6~11절
        3) 사도행전에 나타난 케리그마
    3. 민중언어의 성격
    4. 수난사
    5. 예수의 행태 일반
        1) 기적 이야기와 예수의 행태
        2) 아포프테그마와 예수의 행태
        3) 로기온(Logion, 어록)과 예수의 행태
    6. 결론
가난한 자 : 루가의 민중 이해
    1. 가난한 자
        1) 통계적 고찰
        2) 루가의 특수자료
        3) 예수의 탄생설화와 나자렛 선언
        4) 마르코와 Q자료
    2. 루가복음서의 청중
    3. 결론
마태오의 민중적 민족주의
    1. 문제 제기
        1) 마태오의 신학적 주제에 대한 논의들
        2) 문제 제기
    2. 마태오가 처한 현실
        1) 마태오와 그의 시기
        2) 민족적 와해 위기
    3. 마태오의 현실인식
        1) 이스라엘 : 길 잃은 양들
        2) 길 잃은 양이 놓여 있는 현실
    4. 민족동일성 재확립
        1) 뿌리 찾기
        2) 바리사이파가 주도하는 라삐 유다교와의 대결
    5. 마태오의 민중 이해
        1) 언어적 성격
        2) 의식화된 민중
    6. 맺는 말
민중신학의 성서적 근거 : 마르코복음을 중심으로
    1. 예수사건의 재발견
    2. 마르코복음과 민중
    3. 민중은 수단이 아니다
    4. 민중은 객체일 수 없다
    5. 십자가는 민중수난의 극치다
민중신학의 어제와 오늘
    1. 독재와 대항하므로
    2. 민중을 만나므로
    3. 민중과 더불어
   
제2부 민중운동사
   
민중사건과 언어사건
    1. 성서에서 본 말의 성격
        1) 그 말의 현장은 어떤 것이었나
        2) 예수의 경우
        3) 예수사건에 관한 전승
        4) 오순절의 말 사건
    2. 무엇으로 말하는 것인가
    3. 해야 할 말은 무엇인가
    4. 우리가 해야 할 말
미래는 가난한 자의 것 : 루가 6장 20~26절
    1. 축복과 저주
    2. 가난한 자와 부요한 자
    3. ‘지금’과 ‘장차’
    4. 우리의 선택
나라가 임하옵소서
    1. 예수의 기도
    2. 그의 기도를 전달받은 자들
    3. 하느님의 나라
고향 잃은 민중
    1. 피난민
    2. 성서에서 본 피난민문제
    3. 게르(GER) 문제 해결의 시도
    4. 이방인에 대한 관용의 한계
    5. 당면한 과제
        1 ) 새로운 인식을 위한 운동
        2) 실천에 대한 몇 가지 제언
이스라엘 민중사
    1. 머리말
    2. 출애굽
    3. 고대 이스라엘 종족동맹
    4. 민중을 배반하고 세워진 왕권
    5. 분단시대의 고난
    6. 민중운동의 여러 계열
    7. 예수의 민중운동
    8. 맺는 말
   
제3부 민중과 체제
   
민중사실의 증언
    1. 민중신학의 전제들
    2. 민중사실의 증언
고난과 고백
    1. 수난자와의 일치
    2. 마르코의 민중
    3. 수난사와 고난
    4. 더불어의 고난
    5. 맺는 말
갈릴래아 민중에 항복한 바울로
    1. 바울로의 위치
    2. 사울은 어떤 사람인가
    3. 그리스도교 박해
    4. 예수를 만남
    5. 전향
    6. 맺는 말
소명(召命)
    1. 바울로의 소명
    2. 사도 됨과 소명
    3. 이방인에게로
바울로와 역사의 예수 I
    1. 머리말
    2. 예수에 대한 바울로의 말
    3. 예수냐 바울로냐
    4. 왜 예수가 아니고 케리그마인가
선택받은 민중: 고린토전서 1장 26~31절
    1. 고린토교회 구성원의 사회계층
    2. 공동체원의 가치 판단 기준
    3. 민중을 보는 눈
    4. 택함을 받은 민중
   
제4부 예수의 희망
   
하늘도 땅도 공(公)이다
    1. 낙원 이야기
    2. 아담一인간
    3. 실락원은 공을 사유화함으로
갈릴래아에서 만나자: 마르코 16장 1~8절
    1. 제3의 자리
    2. 갈릴래아
    3. 갈릴래아에서 만나자
예수의 희망
    1. 새 세계에의 희망
    2. 희망과 세계혁명
    3. 바른 인간공동체의 희망
    4. 맺는 말
   
판권
표지
예수는 논하지 않았다
   
제1부 민중의 언어, 이야기
   
1. 성서라는 책의 성격
2. 성서의 서술양식
    1) 구약성서
    2) 신약성서
    3) 민중언어
   
제2부 예수의 이야기(비유)
   
1. 만성병에 걸린 세대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
위로
텍스트를 수정한 후 아래 [수정요청] 버튼을 클릭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