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전집

전집은 OCR 스캔 잡업으로 진행되어 오탈자가 있습니다.
오탈자를 발견하면 다음과 같이 등록해 주시면 관리자가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1. 수정 요청을 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2. 본문을 읽는 중에 오탈자가 있는 곳을 발견하면 앞뒤 텍스트와 함께 마우스로 선택합니다.
3. 그 상태에서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하여 나타나는 창에서 수정 후 [수정요청]을 클릭합니다.
4. 각주의 경우에는 각주 번호를 마우스오버하여 나타난 창을 클릭하면 수정요청 창이 열립니다.

※ 컴퓨터 브라우저에서만 가능합니다.
물(物)의 사유화에서 해방

이제 예수의 행태에 눈을 돌려보자. 예수가 활동하던 시대는 로마제국이 온 세계를 점유할 듯이 기세를 부릴 때다. 이 신흥세력은 희랍세력에 대치된 것이다. 저들은 군사력으로 점유한 땅을 자기들의 것으로 하고 그 안의 모든 것, 심지어 사람들까지도 자기들 것으로 치부하여 마음대로 혹사하였다. 이런 판국은 그 안에 있는 모든 것의 균형을 깨뜨린다. 소유권을 주장하는 편에 가까이 서는 자들은 소유권을 분배받는다. 따라서 권력과 경제에서 계급이 생긴다. 팔레스틴도 물론 예외가 아니었다.

갈릴래아 지방은 특히 이 소유권 주장으로 인한 쟁탈전에 시달린 땅이다. 그러므로 이스라엘에서 잘려나가, 신흥세력이 일어날 때마다 그 주인이 바뀌어 비리가 난무하는 현장이었다.10)넷째 마당 '갈릴래아로'를 참조. 로마가 새 주인권을 발동했을 그때, 그 그늘 아래서 소유권 주장자들이 많이 생겨났다. 이 마당에 예수는 부유한 자들과 가난한 자들을 주목하여 부자들을 깨우치는 일에서 출발한다. 예수는 부자가 하느님 나라에 들어갈 수 없다고 단호히 말하는데 그것은 어떤 부자 청년과 접촉한 다음에 한 말이다(마르 10, 25). 이 부자 청년에게 예수는 그가 가진 모든 재산을 팔아 가난한 자에게 주라고 명한다(마르 10, 21). 그 청년에게는 이것이 불가능했다. 그는 사유화한 재산이 영원히 자기 것이어야 한다는 생각에서 풀려나지 못하고 있었다. 그 재산이 공이라는 것을 모르고 있었다.

수확을 많이 한 한 부자가 곳간을 더 크게 짓고 그것을 보관한 다음 "내 영혼아 여러 해 동안 쓰기에 넉넉한 좋은 물건들을 많이 쌓아 두었으니 너는 안심하고 먹고 마시고 즐기라"(루가 12, 19)고 했다. 이 부자는 재산을 사유화할 수 있다고 보고, 소유가 삶을 보장한다고 믿고 있는 사람이다. 이에 대해 하느님은 "이 어리석은 사람아, 바로 오늘 밤에 네 영혼을 도로 찾을 것이다. 그러면 네가 장만한 것이 누구의 것이 되겠느냐?"(루가 12, 20)라고 했다. 이것은 소유와 삶은 별개라는 말이며, 소유는 삶을 보장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 어리석은 자는 수확한 곡물이 자기 것이라고 생각한 데 대해 하느님은 그가 오늘 밤 죽으면 그것이 모두 누구의 소유가 되겠느냐고 반문한다. 예수는 마침내 저들을 심판한다.

너희 부요한 사람들은 화가 있다.
받을 위안11)παρακλσίς(돈이 주는 위안).을 이미 받았다.
너희 지금 배부른 사람들은 화가 있다.
굶주리게 될 것이다.(루가 6, 24~25)

왜? 저들은 자기가 향유하는 것이 영원히 자기의 것이라고 착각한다. 저들의 부는 하느님의 것을 유린한 것이다. 그러므로 그만큼 분배에 차질이 생겨 한 쪽에는 가난한 자들이 생기는 것이다. 저들은 저 가난의 원인이 자신들의 독점에 있다는 것을 생각지 않는다. 저들은 공(公)을 침범한 자들이기에 화가 있다.

한 부자가 저주를 받게 되었다. 그는 자신이 왜 저주를 받아야 하는지 모르고 산 자였다. 그는 자신의 삶을 만끽했다. 그의 집 문전에 나자로라는 거지가 있어 상 아래 떨어진 부스러기로 연명하며 그 집 개들이 그의 종기를 핥는 처참함을 보여주었다(루가 16, 20~21). 그 거지는 바로 그에게 계속 경종을 울리기 위해 보내진 셈이다. 그러나 그 부자는 그것을 몰랐다. 자신의 소유를 당연한 '권리'로 알 뿐, 바로 그의 독점이 가난한 자들을 만들어 냄으로써 하느님의 질서 즉 공을 침범한다는 사실을 몰랐으며, 자신이 왜 저주를 받아야 하는 지도 알 수 없었다. 까닭은 그가 부자라는 것 외에 그리고 나자로에게 전혀 무관심한 것 외에 그의 잘못을 나타내지 않았기 때문이다(루가 16, 19 이하).12)안병무, 「가난한 자」, 앞의 책 참조.

어떤 왕이 1만 달란트나 되는 재산을 축낸 종에게 그의 몸과 처자와 그 밖에 그가 가지고 있는 것을 모두 팔아 갚으라는 단호한 명령을 내린다. 그러나 다음 순간 이 왕은 아무런 조건도 제시하지 않고 그를 빚에서 해방시켜준다. 참 소유권자로서의 자유를 보여준다(마태 18, 27). 그런데 이렇게 빚에서 해방된 그는 자기가 졌던 빚에 비해서 극히 미미한 빚을 진 그의 동료가 자기가 왕에게 간청했던 것과 똑같이 간청했어도 용서하지 않고 옥에 가두었다(마태 18, 30). 그는 자기의 소유권을 절대적인 것으로 생각한 것이다. 이 소식을 들은 왕은 그를 다시 체포하여 옥에 가두고 그 빚을 다 갚을 때까지 석방하지 말라고 지시한다(마태 18, 34). 이 왕은 우리가 말하는 공에 해당하며 이 종은 공을 사유화한 전형적인 경우다. 그러므로 그의 죄는 용서받을 수 없다. 이것은 하느님 나라에 대한 예수의 비유이다(마태 18, 23~35).

들에 핀 꽃 한 송이를 보고 예수는 "온갖 영화를 누린 솔로몬도 이 꽃 하나만큼 입지 못하였다"(마태 6, 29)고 말한다. 솔로몬, 그는 이스라엘 역사에서 모든 권력을 한 손에 쥐고 가장 화려하게 산 행복한 사람의 상징이다. 그러나 그는 하느님의 것, 공을 침범한 대표적 상징이기도 하다. 공중에 나는 새, 들에 핀 꽃, 그것은 위의 구약 여러 본문에서 보았듯이 하느님의 땅과 하늘에서 아무런 사유함도 없이 하느님의 것을 먹고 입는 구체적인 예로서 먹을 것과 입을 것 때문에 걱정하는 사람들에게 참 삶의 모범으로서 제시되며, 안심하고 살도록 격려한다. 즉 가짐에서가 아니라 공에서 살라는 것이다.

예수 자신은 자신의 삶의 양식에 대해서 "여우는 굴이 있고 공중에 나는 새도 깃들일 곳이 있는데 인자는 머리 둘 곳도 없다"(마태 8, 20)고 한 것처럼 집도 가정도 아무 소유도 없이 글자 그대로 무소유의 방랑객처럼 살았다. 이것은 사유화와 독점화로 공을 침범하는 타락한 세대를 향한 상징적인 저항행위로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와 같은 생활로 문제는 해결되지 않는다.


List of Articles
    1) 피리를 불어도 춤추지 않고
    2) 이 때를 모르는 세대
    3) 악마가 악마라는 죄목으로 박해하는 세상
    4) 어둠에서 썩어가는 세대
2. 잃어버린 자를 찾아서
    1) 목동과 잃어버린 한 마리의 양
    2) 잃은 돈 찾은 여인
    3) 돌아온 아들의 아버지
3. 가치의 전도
    1) 누가 ‘그’의 이웃이냐?
    2) 오! 하느님!
    3) 부자의 돈과 과부의 돈
    4) 말만 하는 자와 실천하는 자
    5) 자신을 철저히 비운(空) 자
4. 집요한 투쟁(간구)
    1) 참는 데도 한계가 있다
    2) 닫힌 문
    3) 빚진 자의 엉뚱한 마무리
    4) 한 과부의 투쟁
    5) 친구를 위한 투쟁
5. 심판
    1) 공존의 때와 심판의 때
    2) 그물 안에 든 고기
    3) 심판과 맡은 분깃
    4) 심판과 대비
    5) 너무도 어리석은 부자
    6) 한 부자와 거지
    7) 뜻밖의 심판의 기준
    8) 심판은 바로 관용의 한계
    9) 이미 문이 영원히 닫혔을 때
6. 하느님 나라에 관한 이야기
    1) 제 손으로 심은 씨가 어떻게 자라는지 알지 못하는 농
    2) 겨자씨 이야기
    3) 조용한 혁명(누룩의 이야기)
    4) 그만이 아는 숨겨진 보화
    5) 한 장사꾼의 모험
    6) 해방의 기쁨
    7) 밥상공동체
    8) 손익계산이 없는 세계
    9) 절망과 희망(씨 뿌리는 농부)
   
제3부 성서해석권은 민중에게
   
1. 한 책에 대한 두 가지 이름
2. 성서의 열쇠는 주머니 속에
3. 성서의 전승을 위한 노력들
4. 종교개혁시대와 성서해석
5. 다시 빼앗긴 성서해석의 권리
6. 성서해석권을 되찾으려는 평신도운동
7. 성서의 전승모체
8. 신약성서 성립
    1) 민중과 '지도층'의 상충
    2) 마르코복음의 성립
9. 제 것을 지키지 못하는 주인
   
제4부 역사의 예수
   
1. 역사의 예수
    1) 역사의 예수 추구
    2) 자료
2. 예수의 시대상
    1) 정치적 상황
    2) 유다 사회상
3. 공생애의 출발
    1) 세례자 요한
    2) 세례자 요한이 잡힌 후
    3) 갈릴래아로
4. 갈릴래아의 예수
    1) 민중과 더불어
    2) 제자 선택
    3) 예수의 시선이 머문 대상
    4) 자유를 위한 투쟁
    5) 하느님 나라의 선포
5. 예루살렘의 예수
    1) 예루살렘
    2) 예루살렘행
    3) 예루살렘 입성
    4) 죽음의 전야
    5) 심문과 처형
6. 그는 누구인가?
   
판권
표지
예수를 예수로 만든 힘의 담지자
머리말
   
첫째 마당 一 예수의 수수께끼
    예수를 향한 추구
    너무도 평범한 사람
    예수의 수수께끼
    전권을 이양받은 자
둘째 마당 一 예수의 시대상
    마카베오의 봉기와 하스몬왕권
    로마·헤로데 왕조시대
    헤로데왕가
    총독정치
    경제적 상황
셋째 마당 一 세례자 요한과 예수
    세례자 요한은 누구인가
    세례자 요한과 예수의 관계
넷째 마당 一 갈릴래아로:예수의 소명
    석가와 공자와 예수
    갈릴래아로!
다섯째 마당 一 하느님 나라
    하느님의 나라
    하느님 나라 도래를 위한 투쟁
여섯째 마당 一 예수와 민중
    유다 사회의 민중
    예수가 만난 사람들
    오클로스
    하느님 나라와 민중
일곱째 마당 一 사탄과의 투쟁
    치유
    민중사건으로서의 기적
    반로마 민중운동의 한 예
여덟째 마당 一 예수와 여인
    유다 사회에서 여성의 위상
    여인에 대한 예수의 관심
    예수를 움직인 여인들
아홉째 마당 一 하느님의 것은 하느님에게(公) : 회개
    땅은 하느님의 것
    물(物)의 사유화에서 해방
    권력의 사유화로부터 해방
    카이사르의 것과 하느님의 것
    예수를 따라서
열째 마당 一 체제와의 충돌
    예수운동의 적대자들
    예루살렘세력
    예루살렘세력과의 대결
    정치권력과의 충돌
열한째 마당 一 수난사
    그리스도교와 십자가
    복음서와 예수의 수난
    예수의 수난의 맥락
    예수의 민중운동
    처형
열두째 마당 一 민중은 일어나다:부활이야기
    죽은 자 가운데서 살아난 예수
    부활이야기 분석
    부활의 의미
    예수의 고난에서 찾은 부활의 현실
    우리의 수난, 우리의 부활
   
판권
표지
나의 체험 민중의 신학
변명
   
‘민중’을 발견하기까지
    간도에서 보낸 어린 시절 一민족과 그리스도의 발견
    민중신학의 뿌리
    독일 신학과 ‘역사적 예수’
    민중현실에 바탕을 둔 신학
    ‘사건의 신학’과 신학을 위한 신학
    예수는 민중이고, 민중은 예수다
    ‘성문 밖’에 현존하는 예수
    민중의 염원과 민족통일의 길
    한국 그리스도인의 과제
민중의 책 성서
    한국 교회의 재래의 성서이해
    성서의 통일성 一그 민중신학적 의미
    예수一‘야훼만’을 지켜온 예언자 전통의 절정
    전통적 성서해석 방법의 이데올로기적 성격
    ‘컨텍스트’와 ‘텍스트’의 긴장
    민중신학의 컨텍스트는?
    성서는 우리에게 결단을 요구할 뿐
    민중신학이 본 성서의 맥
민중 예수
    극복되어야 할 서구 신학의 그리스도론
    고난의 종 그리스도
    구원은 민중을 통해서 온다
    예수는 오늘의 민중현장에 계신다
    제도적 교회는 민중현장에 계신 그리스도를 포기
    민중사건은 예수사건이다
    ‘구원’은 물질적 언어로 표현되어야
    성령의 역할은 인류해방에 있다
민중의 하느님
    신이 죽었다?
    서구 신학의 신관(神觀)
    동양인의 신관
    성서는 신을 어떻게 말하나
    해방의 신
    성전종교의 포로가 된 신
    예수 이후의 하느님
    민중의 하느님
    하느님 사건의 전거
민중의 공동체 一 교회
    교회의 주인공은 민중이다
    예수공동체는 밥을 나누어 먹는 공동체였다
    생활공동체에서 예배공동체로 전락
    교회의 본래 모습을 되찾아야
    민중신학이 꿈꾸는 교회상
    제도적 교회론을 넘어서자
    해방공동체 구현과 교회의 계층성 극복
    교회의 이상一하느님 백성의 평등공동체
죄와 체제
    죄의 뿌리
    기존의 죄이해는 교권을 강화시킨다
    유다교는 죄를 어떻게 보았나
    바울로는?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
위로
텍스트를 수정한 후 아래 [수정요청] 버튼을 클릭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