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전집

전집은 OCR 스캔 잡업으로 진행되어 오탈자가 있습니다.
오탈자를 발견하면 다음과 같이 등록해 주시면 관리자가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1. 수정 요청을 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2. 본문을 읽는 중에 오탈자가 있는 곳을 발견하면 앞뒤 텍스트와 함께 마우스로 선택합니다.
3. 그 상태에서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하여 나타나는 창에서 수정 후 [수정요청]을 클릭합니다.
4. 각주의 경우에는 각주 번호를 마우스오버하여 나타난 창을 클릭하면 수정요청 창이 열립니다.

※ 컴퓨터 브라우저에서만 가능합니다.
열한째 마당
수난사
열한째 마당
수난사
그리스도교와 십자가

십자가는 이미 2세기 중엽부터 그리스도교의 상징으로 사용되어 오다가1)RGG, 제3판, Bd. II, 8. 6. 마침내 정착되었다. 이것은 결코 당연한 귀결은 아니다. 로마제국의 처형대인 십자가틀이 어떻게 한 종교의 상징이 될 수 있었을까. 무엇보다도 콘스탄티누스 대제(313년) 이래로 로마제국의 지배이데올로기 역할을 한 긴 역사를 가진 그리스도교가 이것을 고수해 왔다는 것은 기적에 가까운 일이다. 까닭은 그리스도교가 권좌에서 영광을 향유하는 동안 예수상은 날로 영광의 승리자로 승격되어 갔기 때문이다.2)초기의 예수상에는 수염이 없었는데 점점 그 수염이 길어졌다. 그것은 권력자들에 상응하는 권위를 나타내기 위해서였다. 그러므로 한때는 십자가보다 무덤을 박차고 손에 승리의 깃발을 들고 나오는 승리의 예수상이 그리스도교의 상징처럼 그 중심에 등장했던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십자가틀이 여전히 그리스도교의 상징으로 관철된 것은 바울로의 주장에서 힘입은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바울로는 역사의 예수에 대해 거의 침묵한 것으로 유명하나 역사적 사건으로 가장 확실한 예수의 죽음만은 절대 중요시했으며, 이 사건 위에 자신의 신학을 정립했다. 그런데 그는 예수의 '죽음'을 말하는 대신 예수의 죽음의 역사적 사건성(정치적으로 '죽음당함')을 가장 잘 나타내는 십자가를 말했다.3)σταυρός(고전 1, 17~18; 갈라 5, 116, 12; 필립 2, 83, 18). 동사형 σταυρόω(고전 1, 232, 22, 8; 고후 13, 4; 로마 6, 6; 갈라 2, 203, 15, 246, 14 등). 그는 자신의 사상의 중심에 십자가 사건을 두고 있었다는 것을 다음과 같이 말한다. "내가 여러분과 함께 지내는 동안 예수그리스도, 특히 십자가에서 죽으신 그리스도 이외에는 아무것도 알지 않기로 결심했기 때문입니다"(고전 2, 2). 이것으로 그는 예수 그리스도마저도, 십자가에 처형되었다는 사건을 통해서 파악했다는 것을 나타낸다.

그런데 우리를 의아하게 하는 것은 십자가에 처형되었다는 것은 너무도 역사적인 사건임에도 불구하고 그 십자가 사건의 역사적 조건 등을 일체 규명하려 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우리는 그에게서 예수는 언제 어디서 왜 누구에게 어떻게 십자가에 처형되었는지 알 길이 없다. 그는 이러한 사실을 불문에 부치고 곧 그 의미를 제시할 뿐이다. 십자가에 달리신 그리스도라고 하면서도 그말 바로 전에 "십자가의 말씀"(ό λόγος ό τού σταυρού/ 고전 1, 18)이라고 말하고, 그것이 유다인들에게는 거리낌이 되고 이방인들에게는 어리석은 것이지만 하느님의 능력이요, 지혜라고 한다(23~24절). 그는 예수의 죽음당함의 의미를 이렇게 표현한다. "그리스도께서 성서에 기록된 대로 우리의 죄를 위해서 죽으셨다"(고전 15, 3) 또는 "자기를 낮추어 죽기까지 복종하셨으니 곧 십자가에 죽으셨습니다"(필립 2, 8). 이 둘은 그가 명시한 대로 이미 초대교회 안에서 형성된 신조를 수용한 것이기 때문에 바울로에게만 책임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그는 이러한 입장을 수용해서 철저화한 장본인이다. 왜 십자가라는 구체적 이름을 고수하면서 그것의 역사적 내용에 대해 침묵했을까? 여기에서 바울로의 상황적 고민을 짐작할 수도 있다. 그 유명한 옥중서신(필립비서)에서 왜 그가 투옥되었는지를 일언반구 말하지 않고 사건의 의미4)바울로는 그것을 '복음의 전진'으로 본다.만을 말하고 있음에 놀라는데(필립 1, 12 이하 참조), 이로 미루어 볼 때 로마제국의 정치상황 아래서 그리스도교 선교를 제 일차 목적으로 한 데서 온 그의 한계라고 볼 수밖에 없다.

그것이 어떤 이유에서였든 간에 십자가 사건의 케리그마화는 십자가 사건의 사건성을 은폐함으로써 날로 교리화 일변도로 풀이되었으며, 정치적 현실과 상관없는 상징으로 남아 그리스도교의 비정치화를 정당화하는 구실을 주게 된 것이다. 이러한 것에 대치되는 것이 복음서에 전승된 예수의 수난에 대한 민중의 증언이다.


List of Articles
    1) 피리를 불어도 춤추지 않고
    2) 이 때를 모르는 세대
    3) 악마가 악마라는 죄목으로 박해하는 세상
    4) 어둠에서 썩어가는 세대
2. 잃어버린 자를 찾아서
    1) 목동과 잃어버린 한 마리의 양
    2) 잃은 돈 찾은 여인
    3) 돌아온 아들의 아버지
3. 가치의 전도
    1) 누가 ‘그’의 이웃이냐?
    2) 오! 하느님!
    3) 부자의 돈과 과부의 돈
    4) 말만 하는 자와 실천하는 자
    5) 자신을 철저히 비운(空) 자
4. 집요한 투쟁(간구)
    1) 참는 데도 한계가 있다
    2) 닫힌 문
    3) 빚진 자의 엉뚱한 마무리
    4) 한 과부의 투쟁
    5) 친구를 위한 투쟁
5. 심판
    1) 공존의 때와 심판의 때
    2) 그물 안에 든 고기
    3) 심판과 맡은 분깃
    4) 심판과 대비
    5) 너무도 어리석은 부자
    6) 한 부자와 거지
    7) 뜻밖의 심판의 기준
    8) 심판은 바로 관용의 한계
    9) 이미 문이 영원히 닫혔을 때
6. 하느님 나라에 관한 이야기
    1) 제 손으로 심은 씨가 어떻게 자라는지 알지 못하는 농
    2) 겨자씨 이야기
    3) 조용한 혁명(누룩의 이야기)
    4) 그만이 아는 숨겨진 보화
    5) 한 장사꾼의 모험
    6) 해방의 기쁨
    7) 밥상공동체
    8) 손익계산이 없는 세계
    9) 절망과 희망(씨 뿌리는 농부)
   
제3부 성서해석권은 민중에게
   
1. 한 책에 대한 두 가지 이름
2. 성서의 열쇠는 주머니 속에
3. 성서의 전승을 위한 노력들
4. 종교개혁시대와 성서해석
5. 다시 빼앗긴 성서해석의 권리
6. 성서해석권을 되찾으려는 평신도운동
7. 성서의 전승모체
8. 신약성서 성립
    1) 민중과 '지도층'의 상충
    2) 마르코복음의 성립
9. 제 것을 지키지 못하는 주인
   
제4부 역사의 예수
   
1. 역사의 예수
    1) 역사의 예수 추구
    2) 자료
2. 예수의 시대상
    1) 정치적 상황
    2) 유다 사회상
3. 공생애의 출발
    1) 세례자 요한
    2) 세례자 요한이 잡힌 후
    3) 갈릴래아로
4. 갈릴래아의 예수
    1) 민중과 더불어
    2) 제자 선택
    3) 예수의 시선이 머문 대상
    4) 자유를 위한 투쟁
    5) 하느님 나라의 선포
5. 예루살렘의 예수
    1) 예루살렘
    2) 예루살렘행
    3) 예루살렘 입성
    4) 죽음의 전야
    5) 심문과 처형
6. 그는 누구인가?
   
판권
표지
예수를 예수로 만든 힘의 담지자
머리말
   
첫째 마당 一 예수의 수수께끼
    예수를 향한 추구
    너무도 평범한 사람
    예수의 수수께끼
    전권을 이양받은 자
둘째 마당 一 예수의 시대상
    마카베오의 봉기와 하스몬왕권
    로마·헤로데 왕조시대
    헤로데왕가
    총독정치
    경제적 상황
셋째 마당 一 세례자 요한과 예수
    세례자 요한은 누구인가
    세례자 요한과 예수의 관계
넷째 마당 一 갈릴래아로:예수의 소명
    석가와 공자와 예수
    갈릴래아로!
다섯째 마당 一 하느님 나라
    하느님의 나라
    하느님 나라 도래를 위한 투쟁
여섯째 마당 一 예수와 민중
    유다 사회의 민중
    예수가 만난 사람들
    오클로스
    하느님 나라와 민중
일곱째 마당 一 사탄과의 투쟁
    치유
    민중사건으로서의 기적
    반로마 민중운동의 한 예
여덟째 마당 一 예수와 여인
    유다 사회에서 여성의 위상
    여인에 대한 예수의 관심
    예수를 움직인 여인들
아홉째 마당 一 하느님의 것은 하느님에게(公) : 회개
    땅은 하느님의 것
    물(物)의 사유화에서 해방
    권력의 사유화로부터 해방
    카이사르의 것과 하느님의 것
    예수를 따라서
열째 마당 一 체제와의 충돌
    예수운동의 적대자들
    예루살렘세력
    예루살렘세력과의 대결
    정치권력과의 충돌
열한째 마당 一 수난사
    그리스도교와 십자가
    복음서와 예수의 수난
    예수의 수난의 맥락
    예수의 민중운동
    처형
열두째 마당 一 민중은 일어나다:부활이야기
    죽은 자 가운데서 살아난 예수
    부활이야기 분석
    부활의 의미
    예수의 고난에서 찾은 부활의 현실
    우리의 수난, 우리의 부활
   
판권
표지
나의 체험 민중의 신학
변명
   
‘민중’을 발견하기까지
    간도에서 보낸 어린 시절 一민족과 그리스도의 발견
    민중신학의 뿌리
    독일 신학과 ‘역사적 예수’
    민중현실에 바탕을 둔 신학
    ‘사건의 신학’과 신학을 위한 신학
    예수는 민중이고, 민중은 예수다
    ‘성문 밖’에 현존하는 예수
    민중의 염원과 민족통일의 길
    한국 그리스도인의 과제
민중의 책 성서
    한국 교회의 재래의 성서이해
    성서의 통일성 一그 민중신학적 의미
    예수一‘야훼만’을 지켜온 예언자 전통의 절정
    전통적 성서해석 방법의 이데올로기적 성격
    ‘컨텍스트’와 ‘텍스트’의 긴장
    민중신학의 컨텍스트는?
    성서는 우리에게 결단을 요구할 뿐
    민중신학이 본 성서의 맥
민중 예수
    극복되어야 할 서구 신학의 그리스도론
    고난의 종 그리스도
    구원은 민중을 통해서 온다
    예수는 오늘의 민중현장에 계신다
    제도적 교회는 민중현장에 계신 그리스도를 포기
    민중사건은 예수사건이다
    ‘구원’은 물질적 언어로 표현되어야
    성령의 역할은 인류해방에 있다
민중의 하느님
    신이 죽었다?
    서구 신학의 신관(神觀)
    동양인의 신관
    성서는 신을 어떻게 말하나
    해방의 신
    성전종교의 포로가 된 신
    예수 이후의 하느님
    민중의 하느님
    하느님 사건의 전거
민중의 공동체 一 교회
    교회의 주인공은 민중이다
    예수공동체는 밥을 나누어 먹는 공동체였다
    생활공동체에서 예배공동체로 전락
    교회의 본래 모습을 되찾아야
    민중신학이 꿈꾸는 교회상
    제도적 교회론을 넘어서자
    해방공동체 구현과 교회의 계층성 극복
    교회의 이상一하느님 백성의 평등공동체
죄와 체제
    죄의 뿌리
    기존의 죄이해는 교권을 강화시킨다
    유다교는 죄를 어떻게 보았나
    바울로는?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
위로
텍스트를 수정한 후 아래 [수정요청] 버튼을 클릭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