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전집

전집은 OCR 스캔 잡업으로 진행되어 오탈자가 있습니다.
오탈자를 발견하면 다음과 같이 등록해 주시면 관리자가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1. 수정 요청을 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2. 본문을 읽는 중에 오탈자가 있는 곳을 발견하면 앞뒤 텍스트와 함께 마우스로 선택합니다.
3. 그 상태에서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하여 나타나는 창에서 수정 후 [수정요청]을 클릭합니다.
4. 각주의 경우에는 각주 번호를 마우스오버하여 나타난 창을 클릭하면 수정요청 창이 열립니다.

※ 컴퓨터 브라우저에서만 가능합니다.
예수는 민중이고, 민중은 예수다

▶ 오늘 다시 선생님의 이른바 '사건의 신학'의 성서해석학적 방법을 듣고 보니 그 발상이 매우 참신하고 인상적이군요. 선생님의 그러한 해석학은 서구 신학의 양식비평적 방법에 정면으로 도전하여 그들의 신학이 서 있는 토대 자체를 근저에서 뒤흔들어버린 해석학적 혁명이라고까지 말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예수와 민중이 배가 고파서 밀이삭을 잘라 먹은 그 이야기를 서구신학에서는 배고픈 민중의 현장에서 일어난 사건으로 이해를 못하고—저들은 배고파보지 않았으므로—예수의 말만 붙들고 늘어진 데 대해서, 선생님께서는 그것을 배고픈 민중과 일체가 된 예수사건의 현장으로 파악하셨단 말씀이지요. 거기서는 예수가 곧 민중이고 민중이 곧 예수여서, 그 양자가 서로 분리가 안 되는 완전한 일체인 것을 보신거지요.

선생님께서 '예수=민중'이라는 등식을 늘 말씀하시면서 요한복음 1장 29절에 있는 "세상 죄를 지고 가는 하느님의 어린양"이라는 세례자 요한의 말을 자주 드시는데, 그것이 선생님의 민중론을 매우 심오하게 드러내주는 성서구절이라고 저는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것은 내가 독일의 신학자 몰트만과 논쟁하면서 얘기했던 것인데, 그것은 아직 숙제예요. 사실 세례자 요한이 "보라! 세상 죄를 지고 가는 하느님의 어린양이로다"라고 예수에게 그랬거든요. "이 예수가 바로 민중이다!"라고 내가 그랬더니, 몰트만은 "아니다!"라고 펄펄 뛰어요. 민중 역시 예수 그리스도의 구원을 받아야 할 존재인데 세상 죄를 지고 가는 속죄의 양=예수 그리스도와 민중을 일치(identify)시키다니 말이나 되는 소리냐는 거지요. 여기서 몰트만과 내가 대결이 돼서 그가 두 번이나 내게 편지를 보내왔어요. 그 문제에 대해 좀더 분명히 해 달라, 논문을 쓰든 편지로든 꼭 대답을 해 달라는 겁니다. 언젠가 기회가 오면 몰트만과 그 문제를 놓고 얘기하게 될거예요.

몰트만과의 논쟁에서 기본적으로 중요한 것은, '예수가 민중이다'라는 것은 받아들일 수 있으나 '민중이 예수다'라는 것은 거부한다는 것입니다. 그들에게 내가 묻고 싶은 것은, 그러면 '예수는 메시아다'라고 하는 말은 맞는가, '예수는 하느님의 아들이다' 이것은 말이 되는가, 산 예수를 그 무엇과 유비(analogie)시키면 되는가 하는 거예요. 사실 예수를 뭐든 다른 것으로 바꿔놓으면 안 맞아요.

"민중은 예수가 아니다"라고 몰트만이 주장하는데, 그것은 그가 벌써 민중을 알았다는 것을 전제하고 하는 말이에요. 민중을 알았다고 전제하는 것은 예수를 알았다고 전제하는 것과 조금도 다르지 않아요. 나는 민중을 모르면 예수를 모르고 예수를 모르면 민중을 모론 다고 보고 있어요. 내 입장은 그래요. 이것은 불트만의 논리와 같은 데 "하느님을 모르면 사람을 모르고 사람을 모르면 하느님을 모른다"고 그가 그랬거든요. 나는 불트만의 이 논리를 민중의 경우에 적용시키고싶어요.

"보라! 세상 죄를 지고 가는 하느님의 어린양이로다." 이 말을 오늘 우리 한국 땅에서 고난당하고 있는 사람들을 향해서 말하는 것이 왜 안 된다는 거지요? 그것을 거부하는 자들이 어떤 자들입니까? 나로서는 이해가 안 돼요. '세상 죄를 지고 간다'는 말은 종교적 의미로 쓴 말이 아닙니다. 그저 말 그대로 세상 죄지요. 이것은 비단 독재자의 죄만이 아니고, 그 독재자를 막지 못하는 사람들의 죄이기도 해요. 비리와 부정을 행하는 놈만의 죄가 아니고, 그 비리를 허용하는 자들의 죄도 돼요. 나는 죄를 별다른 것으로 보지 않아요. 정치경제적인 모순도 다 죄라고 보아요. 세상의 모순된 구조에서 오는 고통을 우리 모두가 다 받아야 될 터인데, 그 피해를 당하는 사람들이 오늘날 이 땅의 민중이 아닙니까? 감옥에 가고, 쫓겨나고, 매맞고, 굶주리고…… 이 모두가 그들이 당할 일입니까? 한국 사회가 잘못돼서 당하는 고통이 아닙니까? 이것을 짊어지고 가는 민중이 희생자 아닙니까? '세상 죄를 지고 가는 하느님의 어린양' 아닙니까? 이 말을 바로 이 희생자들에게 못 붙일 이유가 어디 있단 말입니까? 이렇게 자명한 것을 보려하지 않고, 무슨 신학적 관념 따위를 가지고 예수는 특별하고 예외적인 존재라고 생각하고, 민중을 이미 알았다고 생각하고……. 이것은 바로 '죄'를, 그리고 하느님의 어린양이라는 것을 종교적인 영역에만 국한시켜 해석하려는 고정관념 때문에 생겨나는 거지요.

내가 유학을 마치고 독일에서 돌아올 때 그림 한 장을 가지고 왔어요. 폴란드 화가인가, 루마니아 화가인가가 그린 건데, 노동자 한 사람이 커다란 십자가를 지고 무거워서 허리를 꾸부정하게 하고 걸어가는데, 배경에는 시커먼 도시의 실루엣이 그려져 있고, 그 십자가 위에 신부가 앉아서 졸고 있고, 배가 나온 회사 사장도 앉아 있고, 학자가 책을 읽고 있고, 젊은 남녀가 사랑을 하고 있고…… 그들이 모두 노동자가 지고 가는 십자가에 올라앉아 있어요. 그 무거운 십자가를 노동자가 지고 걸어가는 그림이었어요. 그 그림은 골고타로 걸어 가는 젊은 예수를 그린 것이었는데, 이 경우에는 쉽게 말하면 그가 노동자예요. 그가 이 세상의 모든 죄를 지고 가요. 그가 생산의 주체로서 노동하고, 모두가 그의 등에 앉아 먹고살아가요. 그 그림이 어찌나 인상적이었던지 독일에 있을 때 내 공부방에 내내 걸어두고 있던 것을 돌아오면서 가지고 왔는데, 그만 서남동 목사님에게 뺏기고 말았지……그 그림을 얻은 것이 1961년이었으니까 그때 이미 내가 민중의식을 가지고 있었던가봐요.

▶ 그 그림 이야기, 저는 선생님한데서 벌써 여러 번 들어요. 들을 때마다 감동적인데, 그 그림에 나타난 청년의 이미지가 바로 오늘날 민중의 이미지이고, 또한 그것이 바로 세상 죄를 지고 가는 '하느님의 어린양'이라는 성서의 예수 이미지와 맞아 떨어지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어요.

그렇지요.그렇게 보는 것이 왜 문제가 되느냐 말이오? 그 청년이 세상 죄를 지고 가지 않소? 그것처럼 성서의 말씀과 일치하는 말이 또 어디에 있소?


List of Articles
    1) 피리를 불어도 춤추지 않고
    2) 이 때를 모르는 세대
    3) 악마가 악마라는 죄목으로 박해하는 세상
    4) 어둠에서 썩어가는 세대
2. 잃어버린 자를 찾아서
    1) 목동과 잃어버린 한 마리의 양
    2) 잃은 돈 찾은 여인
    3) 돌아온 아들의 아버지
3. 가치의 전도
    1) 누가 ‘그’의 이웃이냐?
    2) 오! 하느님!
    3) 부자의 돈과 과부의 돈
    4) 말만 하는 자와 실천하는 자
    5) 자신을 철저히 비운(空) 자
4. 집요한 투쟁(간구)
    1) 참는 데도 한계가 있다
    2) 닫힌 문
    3) 빚진 자의 엉뚱한 마무리
    4) 한 과부의 투쟁
    5) 친구를 위한 투쟁
5. 심판
    1) 공존의 때와 심판의 때
    2) 그물 안에 든 고기
    3) 심판과 맡은 분깃
    4) 심판과 대비
    5) 너무도 어리석은 부자
    6) 한 부자와 거지
    7) 뜻밖의 심판의 기준
    8) 심판은 바로 관용의 한계
    9) 이미 문이 영원히 닫혔을 때
6. 하느님 나라에 관한 이야기
    1) 제 손으로 심은 씨가 어떻게 자라는지 알지 못하는 농
    2) 겨자씨 이야기
    3) 조용한 혁명(누룩의 이야기)
    4) 그만이 아는 숨겨진 보화
    5) 한 장사꾼의 모험
    6) 해방의 기쁨
    7) 밥상공동체
    8) 손익계산이 없는 세계
    9) 절망과 희망(씨 뿌리는 농부)
   
제3부 성서해석권은 민중에게
   
1. 한 책에 대한 두 가지 이름
2. 성서의 열쇠는 주머니 속에
3. 성서의 전승을 위한 노력들
4. 종교개혁시대와 성서해석
5. 다시 빼앗긴 성서해석의 권리
6. 성서해석권을 되찾으려는 평신도운동
7. 성서의 전승모체
8. 신약성서 성립
    1) 민중과 '지도층'의 상충
    2) 마르코복음의 성립
9. 제 것을 지키지 못하는 주인
   
제4부 역사의 예수
   
1. 역사의 예수
    1) 역사의 예수 추구
    2) 자료
2. 예수의 시대상
    1) 정치적 상황
    2) 유다 사회상
3. 공생애의 출발
    1) 세례자 요한
    2) 세례자 요한이 잡힌 후
    3) 갈릴래아로
4. 갈릴래아의 예수
    1) 민중과 더불어
    2) 제자 선택
    3) 예수의 시선이 머문 대상
    4) 자유를 위한 투쟁
    5) 하느님 나라의 선포
5. 예루살렘의 예수
    1) 예루살렘
    2) 예루살렘행
    3) 예루살렘 입성
    4) 죽음의 전야
    5) 심문과 처형
6. 그는 누구인가?
   
판권
표지
예수를 예수로 만든 힘의 담지자
머리말
   
첫째 마당 一 예수의 수수께끼
    예수를 향한 추구
    너무도 평범한 사람
    예수의 수수께끼
    전권을 이양받은 자
둘째 마당 一 예수의 시대상
    마카베오의 봉기와 하스몬왕권
    로마·헤로데 왕조시대
    헤로데왕가
    총독정치
    경제적 상황
셋째 마당 一 세례자 요한과 예수
    세례자 요한은 누구인가
    세례자 요한과 예수의 관계
넷째 마당 一 갈릴래아로:예수의 소명
    석가와 공자와 예수
    갈릴래아로!
다섯째 마당 一 하느님 나라
    하느님의 나라
    하느님 나라 도래를 위한 투쟁
여섯째 마당 一 예수와 민중
    유다 사회의 민중
    예수가 만난 사람들
    오클로스
    하느님 나라와 민중
일곱째 마당 一 사탄과의 투쟁
    치유
    민중사건으로서의 기적
    반로마 민중운동의 한 예
여덟째 마당 一 예수와 여인
    유다 사회에서 여성의 위상
    여인에 대한 예수의 관심
    예수를 움직인 여인들
아홉째 마당 一 하느님의 것은 하느님에게(公) : 회개
    땅은 하느님의 것
    물(物)의 사유화에서 해방
    권력의 사유화로부터 해방
    카이사르의 것과 하느님의 것
    예수를 따라서
열째 마당 一 체제와의 충돌
    예수운동의 적대자들
    예루살렘세력
    예루살렘세력과의 대결
    정치권력과의 충돌
열한째 마당 一 수난사
    그리스도교와 십자가
    복음서와 예수의 수난
    예수의 수난의 맥락
    예수의 민중운동
    처형
열두째 마당 一 민중은 일어나다:부활이야기
    죽은 자 가운데서 살아난 예수
    부활이야기 분석
    부활의 의미
    예수의 고난에서 찾은 부활의 현실
    우리의 수난, 우리의 부활
   
판권
표지
나의 체험 민중의 신학
변명
   
‘민중’을 발견하기까지
    간도에서 보낸 어린 시절 一민족과 그리스도의 발견
    민중신학의 뿌리
    독일 신학과 ‘역사적 예수’
    민중현실에 바탕을 둔 신학
    ‘사건의 신학’과 신학을 위한 신학
    예수는 민중이고, 민중은 예수다
    ‘성문 밖’에 현존하는 예수
    민중의 염원과 민족통일의 길
    한국 그리스도인의 과제
민중의 책 성서
    한국 교회의 재래의 성서이해
    성서의 통일성 一그 민중신학적 의미
    예수一‘야훼만’을 지켜온 예언자 전통의 절정
    전통적 성서해석 방법의 이데올로기적 성격
    ‘컨텍스트’와 ‘텍스트’의 긴장
    민중신학의 컨텍스트는?
    성서는 우리에게 결단을 요구할 뿐
    민중신학이 본 성서의 맥
민중 예수
    극복되어야 할 서구 신학의 그리스도론
    고난의 종 그리스도
    구원은 민중을 통해서 온다
    예수는 오늘의 민중현장에 계신다
    제도적 교회는 민중현장에 계신 그리스도를 포기
    민중사건은 예수사건이다
    ‘구원’은 물질적 언어로 표현되어야
    성령의 역할은 인류해방에 있다
민중의 하느님
    신이 죽었다?
    서구 신학의 신관(神觀)
    동양인의 신관
    성서는 신을 어떻게 말하나
    해방의 신
    성전종교의 포로가 된 신
    예수 이후의 하느님
    민중의 하느님
    하느님 사건의 전거
민중의 공동체 一 교회
    교회의 주인공은 민중이다
    예수공동체는 밥을 나누어 먹는 공동체였다
    생활공동체에서 예배공동체로 전락
    교회의 본래 모습을 되찾아야
    민중신학이 꿈꾸는 교회상
    제도적 교회론을 넘어서자
    해방공동체 구현과 교회의 계층성 극복
    교회의 이상一하느님 백성의 평등공동체
죄와 체제
    죄의 뿌리
    기존의 죄이해는 교권을 강화시킨다
    유다교는 죄를 어떻게 보았나
    바울로는?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
위로
텍스트를 수정한 후 아래 [수정요청] 버튼을 클릭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