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전집

전집은 OCR 스캔 잡업으로 진행되어 오탈자가 있습니다.
오탈자를 발견하면 다음과 같이 등록해 주시면 관리자가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1. 수정 요청을 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2. 본문을 읽는 중에 오탈자가 있는 곳을 발견하면 앞뒤 텍스트와 함께 마우스로 선택합니다.
3. 그 상태에서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하여 나타나는 창에서 수정 후 [수정요청]을 클릭합니다.
4. 각주의 경우에는 각주 번호를 마우스오버하여 나타난 창을 클릭하면 수정요청 창이 열립니다.

※ 컴퓨터 브라우저에서만 가능합니다.
동양인의 신관

동양적 사고는 신을 말하지 않거나, 말해도 신을 절대타자 또는 절대초월자로 말하지 않음으로써 신과 인간이 영원한 평행선이 되는 이분법에 빠지지 않아요. 불교는 신을 말하지 않아요. 그렇다고 무신론으로 규정해버리면 잘못입니다. 유교는 신으로서의 천(天) 또는 상제(上帝)라는 말을 써요. 그러나 서구의 신처럼 페르조나론(persona論, 품성론)으로 발전되지 않아요. 그러므로 유신론이 아닙니다. 이런 점에서 그리스도인들의 외형적 판단이 크게 고쳐져야만 할 것입니다.

그리스도교는 서구의 유신론적 사고방식에서 종교를 규정하는 큰 잘못을 범했어요. 가령 불교에서 신이라는 말이 없어요. 그러나 불(佛)이 그 자리에 있지요. 유교는 천 또는 상제가 있으며 도가(道家)에는 도(道)가 그 자리에 있어요. 그런데 저들은 유신론도 무신론도 전개하지 않아요. 가령 공자가 '귀신'(鬼神)에 대해서 질문 받았을 때 "사람도 능히 섬기지 못하면서 어찌 능히 귀(鬼)를 섬기리오"(未能事人, 焉能事鬼: 先進 편)라고 한 것과 또 그가 "신을 괴(怪), 역(力), 난(亂)과 더불어 말하지 않았다"(述而 편)는 등의 발언에서 그는 비종교적이었다고 하는데 그것들은 무신론 범주에 넣고 판정하는 것일 뿐입니다. 오히려 그렇게 말하는 그는 산에게 제사드릴 때 신이 실재하는 것처럼했다는 말을 듣고는 "내가 그것에 참여하지 않으면 그것은 참제사라고 할 수 없다"(祭神如神在子曲 吾不興祭不祭: 八佾 편)라고 하며 그가 제(祭)에 대해 정성을 다한 것으로 전하고 있습니다.

예(禮)도 위에서 아래로, 아래에서 위로 향하는 상형글자인데 이 예는 바로 종교행위이며 유교의 중심 가운데 하나입니다. 이보다 중요한 것은 그의 천(天) 또는 천명사상(天命思想)입니다. 그는 그의 가장 사랑하는 제자 안연(顔淵)이 죽었을 때, "아, 하늘이 나를 버렸다, 하늘이 나를 버렸다"(噫 天喪予, 天喪予: 先進 편)라고 통곡했는가 하면, 세상이 자기 마음을 모른다고 하면서 자신을 말하여 "하늘을 원망하지 않고 사람을 탓하지 않았습니다. 나는 삶의 주변에서부터 배워 위에 도달하고 있습니다. 나를 아는 이는 하늘뿐입니다"(不怨天, 不尤人, 下學而上達, 知我者其天平 : 憲問 편)라고 하고, 50에 천명(天命)을 알았다고 하며 천명을 운명처럼 받아들였습니다.

이러한 유교에 대해서 종교임을 거부하는 간단한 기준은 신앙에 해당되는 것이 없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적어도 다음 두 시각에서 그런 판정을 자성(自省)할 필요가 있습니다. 하나는 이른바 '신앙'이란 것을 그리스도론적인 의미에 국한함으로써 성서의 신앙을 너무 좁힘과 동시에 다른 종교를 보는 눈이 흐려진다는 것이며, 또 하나는 신앙의 강조는 서방 교회의 전통인데 반하여 동방 교회에서는 그것 대신에 하느님의 찬양이라든가 체험 등이 강조되는데 성서에도 이런 면이 엄연히 강조되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성서의 '피스티스'(pistis, 믿음)는 결코 그리스도론적인 협의의 것만이 아니라 자기를 어떤 절대의 품에 맡기는 신뢰 같은 것입니다. 그런 점에서 볼 때 가령 불교의 무의식 세계로까지 탈아(脫我)하려는 것은 자신을 아주 내맡기는 행위이며, 노장(老莊)의 무(無)나 무위(無爲)의 강조도 인간의 어떤 기능이나 기교에 의존하려는 온갖 자기방어 장치를 해체해버리자는 것으로, 그것은 보다 큰 믿음을 말하는 것일 수도 있어요. 나는 동양적 '신앙' 자세에서 주객도식이 없는 것을 더 높이 평가해야 한다고 봐요. 'OO을 믿는다'나 'OO에 내맡긴다'보다는 그저 '믿는다', '내맡긴다'가 더 옳아요. 딴 말로 하면 불교나 노장은 객체로서의 신을 말하지 않으니까! 무신론적이라는 판단은 너무 피상적입니다.


List of Articles
    1) 피리를 불어도 춤추지 않고
    2) 이 때를 모르는 세대
    3) 악마가 악마라는 죄목으로 박해하는 세상
    4) 어둠에서 썩어가는 세대
2. 잃어버린 자를 찾아서
    1) 목동과 잃어버린 한 마리의 양
    2) 잃은 돈 찾은 여인
    3) 돌아온 아들의 아버지
3. 가치의 전도
    1) 누가 ‘그’의 이웃이냐?
    2) 오! 하느님!
    3) 부자의 돈과 과부의 돈
    4) 말만 하는 자와 실천하는 자
    5) 자신을 철저히 비운(空) 자
4. 집요한 투쟁(간구)
    1) 참는 데도 한계가 있다
    2) 닫힌 문
    3) 빚진 자의 엉뚱한 마무리
    4) 한 과부의 투쟁
    5) 친구를 위한 투쟁
5. 심판
    1) 공존의 때와 심판의 때
    2) 그물 안에 든 고기
    3) 심판과 맡은 분깃
    4) 심판과 대비
    5) 너무도 어리석은 부자
    6) 한 부자와 거지
    7) 뜻밖의 심판의 기준
    8) 심판은 바로 관용의 한계
    9) 이미 문이 영원히 닫혔을 때
6. 하느님 나라에 관한 이야기
    1) 제 손으로 심은 씨가 어떻게 자라는지 알지 못하는 농
    2) 겨자씨 이야기
    3) 조용한 혁명(누룩의 이야기)
    4) 그만이 아는 숨겨진 보화
    5) 한 장사꾼의 모험
    6) 해방의 기쁨
    7) 밥상공동체
    8) 손익계산이 없는 세계
    9) 절망과 희망(씨 뿌리는 농부)
   
제3부 성서해석권은 민중에게
   
1. 한 책에 대한 두 가지 이름
2. 성서의 열쇠는 주머니 속에
3. 성서의 전승을 위한 노력들
4. 종교개혁시대와 성서해석
5. 다시 빼앗긴 성서해석의 권리
6. 성서해석권을 되찾으려는 평신도운동
7. 성서의 전승모체
8. 신약성서 성립
    1) 민중과 '지도층'의 상충
    2) 마르코복음의 성립
9. 제 것을 지키지 못하는 주인
   
제4부 역사의 예수
   
1. 역사의 예수
    1) 역사의 예수 추구
    2) 자료
2. 예수의 시대상
    1) 정치적 상황
    2) 유다 사회상
3. 공생애의 출발
    1) 세례자 요한
    2) 세례자 요한이 잡힌 후
    3) 갈릴래아로
4. 갈릴래아의 예수
    1) 민중과 더불어
    2) 제자 선택
    3) 예수의 시선이 머문 대상
    4) 자유를 위한 투쟁
    5) 하느님 나라의 선포
5. 예루살렘의 예수
    1) 예루살렘
    2) 예루살렘행
    3) 예루살렘 입성
    4) 죽음의 전야
    5) 심문과 처형
6. 그는 누구인가?
   
판권
표지
예수를 예수로 만든 힘의 담지자
머리말
   
첫째 마당 一 예수의 수수께끼
    예수를 향한 추구
    너무도 평범한 사람
    예수의 수수께끼
    전권을 이양받은 자
둘째 마당 一 예수의 시대상
    마카베오의 봉기와 하스몬왕권
    로마·헤로데 왕조시대
    헤로데왕가
    총독정치
    경제적 상황
셋째 마당 一 세례자 요한과 예수
    세례자 요한은 누구인가
    세례자 요한과 예수의 관계
넷째 마당 一 갈릴래아로:예수의 소명
    석가와 공자와 예수
    갈릴래아로!
다섯째 마당 一 하느님 나라
    하느님의 나라
    하느님 나라 도래를 위한 투쟁
여섯째 마당 一 예수와 민중
    유다 사회의 민중
    예수가 만난 사람들
    오클로스
    하느님 나라와 민중
일곱째 마당 一 사탄과의 투쟁
    치유
    민중사건으로서의 기적
    반로마 민중운동의 한 예
여덟째 마당 一 예수와 여인
    유다 사회에서 여성의 위상
    여인에 대한 예수의 관심
    예수를 움직인 여인들
아홉째 마당 一 하느님의 것은 하느님에게(公) : 회개
    땅은 하느님의 것
    물(物)의 사유화에서 해방
    권력의 사유화로부터 해방
    카이사르의 것과 하느님의 것
    예수를 따라서
열째 마당 一 체제와의 충돌
    예수운동의 적대자들
    예루살렘세력
    예루살렘세력과의 대결
    정치권력과의 충돌
열한째 마당 一 수난사
    그리스도교와 십자가
    복음서와 예수의 수난
    예수의 수난의 맥락
    예수의 민중운동
    처형
열두째 마당 一 민중은 일어나다:부활이야기
    죽은 자 가운데서 살아난 예수
    부활이야기 분석
    부활의 의미
    예수의 고난에서 찾은 부활의 현실
    우리의 수난, 우리의 부활
   
판권
표지
나의 체험 민중의 신학
변명
   
‘민중’을 발견하기까지
    간도에서 보낸 어린 시절 一민족과 그리스도의 발견
    민중신학의 뿌리
    독일 신학과 ‘역사적 예수’
    민중현실에 바탕을 둔 신학
    ‘사건의 신학’과 신학을 위한 신학
    예수는 민중이고, 민중은 예수다
    ‘성문 밖’에 현존하는 예수
    민중의 염원과 민족통일의 길
    한국 그리스도인의 과제
민중의 책 성서
    한국 교회의 재래의 성서이해
    성서의 통일성 一그 민중신학적 의미
    예수一‘야훼만’을 지켜온 예언자 전통의 절정
    전통적 성서해석 방법의 이데올로기적 성격
    ‘컨텍스트’와 ‘텍스트’의 긴장
    민중신학의 컨텍스트는?
    성서는 우리에게 결단을 요구할 뿐
    민중신학이 본 성서의 맥
민중 예수
    극복되어야 할 서구 신학의 그리스도론
    고난의 종 그리스도
    구원은 민중을 통해서 온다
    예수는 오늘의 민중현장에 계신다
    제도적 교회는 민중현장에 계신 그리스도를 포기
    민중사건은 예수사건이다
    ‘구원’은 물질적 언어로 표현되어야
    성령의 역할은 인류해방에 있다
민중의 하느님
    신이 죽었다?
    서구 신학의 신관(神觀)
    동양인의 신관
    성서는 신을 어떻게 말하나
    해방의 신
    성전종교의 포로가 된 신
    예수 이후의 하느님
    민중의 하느님
    하느님 사건의 전거
민중의 공동체 一 교회
    교회의 주인공은 민중이다
    예수공동체는 밥을 나누어 먹는 공동체였다
    생활공동체에서 예배공동체로 전락
    교회의 본래 모습을 되찾아야
    민중신학이 꿈꾸는 교회상
    제도적 교회론을 넘어서자
    해방공동체 구현과 교회의 계층성 극복
    교회의 이상一하느님 백성의 평등공동체
죄와 체제
    죄의 뿌리
    기존의 죄이해는 교권을 강화시킨다
    유다교는 죄를 어떻게 보았나
    바울로는?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
위로
텍스트를 수정한 후 아래 [수정요청] 버튼을 클릭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