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전집

전집은 OCR 스캔 잡업으로 진행되어 오탈자가 있습니다.
오탈자를 발견하면 다음과 같이 등록해 주시면 관리자가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1. 수정 요청을 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2. 본문을 읽는 중에 오탈자가 있는 곳을 발견하면 앞뒤 텍스트와 함께 마우스로 선택합니다.
3. 그 상태에서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하여 나타나는 창에서 수정 후 [수정요청]을 클릭합니다.
4. 각주의 경우에는 각주 번호를 마우스오버하여 나타난 창을 클릭하면 수정요청 창이 열립니다.

※ 컴퓨터 브라우저에서만 가능합니다.
예수 이후의 하느님

예수 이후의 하느님은 확실히 달라졌습니다. 하느님 자신이 달라졌다기보다 하느님에 대한 이해가 달라졌다는 것이 정확한 말입니다. 그렇게 된 데는 무엇보다 역사적 조건들이 달라졌기 때문입니다. 그중 몇 가지를 예거해봅시다.

우선 한 나라를 구성하는 요소인 조건들을 박탈당했습니다. A.D. 66년에 로마의 침공을 받아 A.D. 70년에 예루살렘이 함락됨으로써 비록 어용성을 띠긴했으나 그래도 민족을 대표하던 지도체제가 붕괴되고, 이스라엘의 이념적 중심이 되고 있던 성전이 완전히 파괴되어 버렸습니다. 그리고 이스라엘 민족을 이스라엘과 유다 땅에서 추방해버린 것입니다. 이것은 안전하거나 수난당해도, 심지어 포로로 잡혀가도 이스라엘 민족이 야훼를 이스라엘의 신이라고 믿을 수 있었던 근거를 흔들어놓은 것입니다.

둘째, 이와 더불어 이스라엘민은 대부분 유랑민으로서 이방 정치와 문화권에서 방황하면서 이방에서 제 살 길을 개척해야 했습니다. 이 마당에 배타적 민족주의적 신론을 고집하기 어렵게 됐습니다. 저들은 이미 헬레니즘의 공세를 받아왔고 그 동안은 견디어갔었는데, 지금은 헬레니즘의 언어, 즉 세계관의 틀에서 하느님을 설명해야 했습니다. 성전종교가 없어지고 배타적 율법의 아성이 무너짐으로써 새로운 종교로서의 그리스도교를 변증하기 위해서도 새로운 언어가 필요했습니다.

야훼는 더 이상 한 민족인 이스라엘의 신으로 머물 수 없었습니다. 그는 세계, 아니 우주의 신이어야 합니다. 어떻게 하면 구약의 야훼가 인류역사의 신이라는 것을 설명할 수 있을까? 이 물음에 바울로는 그의 목적론적 구속사관으로 설명했습니다. 그 자신은 "이방인의 사도로서 부름받았다"는 의식이 투철했습니다. 그러나 이스라엘과 야훼의 특수관계를 포기하지 않았습니다. 그는 한편으로 이스라엘 민족의 개념을 정신화했습니다. '혈연적' 이스라엘에서 '정신적' 이스라엘로서의 그리스도인이 참이스라엘이라고 하는가 하면, 그리스도인을 아브라함의 후예라고 했습니다.

그러나 반면에 그는 민족으로서 이스라엘의 우위성을 버릴 수 없었습니다. 이스라엘민이 비록 야훼를 배반했어도 하느님은 그와의 약속을 버리지 않으리라는 것입니다. 이 확신(소원)이 이방인에게 먼저 설교됨으로써 이스라엘민에게 질투를 일으켜 저들도 마침내 회개함으로 구원될 때가 오리라는 것이며, 그것이 바로 종말의 때라는 것입니다(로마 11, 25).

하여간 첫 그리스도인들에게는 신을 탈(脫)이스라엘화하는 것이 큰 과제였습니다. 그것이 바로 야훼가 세계(우주)의 신임을 입증하는 첫 과제이기 때문이었습니다. 그러나 저들은 야훼를 결코 헬라화하지는 않았습니다 : 신은 결코 이데아(Idea)나 원리 같은 것으로 기존질서를 존속케 하는 보장이 아니었습니다. 아니! 그 신은 인간을 잘못된 세상에서 해방(구원)하기 위해 사건을 일으키는 실재입니다. 그러한 목적론적 행위가 그리스도 사건으로 구체화됐다고 보았습니다. 그러므로 신론의 전개에 대신하여 그리스도론에 총집중한 것입니다.

또 하나 특이한 것이 있습니다. 그것은 신은 '보편', '합리'여야 함에 반해 '편애적'이라는 사실입니다. 이 점은 구약의 야훼와 같습니다. 그러나 구약의 야훼는 민족으로서의 이스라엘을 편애한 데 대해서 예수를 통해 나타난 하느님은 눌린 자, 가난한 자, 불우한 자 즉 민중을 편애하는 신으로 나타납니다. 예수의 출신, 행위, 그의 운명 모두가 이 점을 가장 극적으로 드러냈습니다.

그러면 이것은 아주 새로운 신인가? 두 가지 면에서 대답해야 할 것 같습니다. 그 신은 바로 히브리의 야훼와같습니다. 야훼는 이스라엘의 민(民)을 선택함으로써 갈등을 가져왔습니다. 그리고 신약의 신은 무조건 민중 편에 섬으로써 갈등을 가져왔습니다. 여기서 약자의 편에 섰다는 측면에서는 같습니다. 그러나 다른 점은 구약의 신은 사랑을 해도 포물선을 긋는 데 비해, 예수의 신은 사랑의 일직선을 긋습니다.

▶ 구약의 신과 예수에게서 나타난 신은 포물선을 긋는 신과 일직선을 긋는 신이라 함으로써 그 차이를 말씀하셨는데, 우리가 상식적으로 아는 대로는 구약의 신이 예수에게서 최종적으로 자기를 완전 계시한 분이기 때문에 그 신은 결국 동일한 분이라고 보는데요. 그 모습이 다르게 나타난 것은 계약공동체(이스라엘)에서 왕조시대로 넘어오는가운데 왕조사가들이 지배계층의 이해관계에서 투영한 왜곡의 탓일 따름이 아니겠습니까?


List of Articles
    1) 피리를 불어도 춤추지 않고
    2) 이 때를 모르는 세대
    3) 악마가 악마라는 죄목으로 박해하는 세상
    4) 어둠에서 썩어가는 세대
2. 잃어버린 자를 찾아서
    1) 목동과 잃어버린 한 마리의 양
    2) 잃은 돈 찾은 여인
    3) 돌아온 아들의 아버지
3. 가치의 전도
    1) 누가 ‘그’의 이웃이냐?
    2) 오! 하느님!
    3) 부자의 돈과 과부의 돈
    4) 말만 하는 자와 실천하는 자
    5) 자신을 철저히 비운(空) 자
4. 집요한 투쟁(간구)
    1) 참는 데도 한계가 있다
    2) 닫힌 문
    3) 빚진 자의 엉뚱한 마무리
    4) 한 과부의 투쟁
    5) 친구를 위한 투쟁
5. 심판
    1) 공존의 때와 심판의 때
    2) 그물 안에 든 고기
    3) 심판과 맡은 분깃
    4) 심판과 대비
    5) 너무도 어리석은 부자
    6) 한 부자와 거지
    7) 뜻밖의 심판의 기준
    8) 심판은 바로 관용의 한계
    9) 이미 문이 영원히 닫혔을 때
6. 하느님 나라에 관한 이야기
    1) 제 손으로 심은 씨가 어떻게 자라는지 알지 못하는 농
    2) 겨자씨 이야기
    3) 조용한 혁명(누룩의 이야기)
    4) 그만이 아는 숨겨진 보화
    5) 한 장사꾼의 모험
    6) 해방의 기쁨
    7) 밥상공동체
    8) 손익계산이 없는 세계
    9) 절망과 희망(씨 뿌리는 농부)
   
제3부 성서해석권은 민중에게
   
1. 한 책에 대한 두 가지 이름
2. 성서의 열쇠는 주머니 속에
3. 성서의 전승을 위한 노력들
4. 종교개혁시대와 성서해석
5. 다시 빼앗긴 성서해석의 권리
6. 성서해석권을 되찾으려는 평신도운동
7. 성서의 전승모체
8. 신약성서 성립
    1) 민중과 '지도층'의 상충
    2) 마르코복음의 성립
9. 제 것을 지키지 못하는 주인
   
제4부 역사의 예수
   
1. 역사의 예수
    1) 역사의 예수 추구
    2) 자료
2. 예수의 시대상
    1) 정치적 상황
    2) 유다 사회상
3. 공생애의 출발
    1) 세례자 요한
    2) 세례자 요한이 잡힌 후
    3) 갈릴래아로
4. 갈릴래아의 예수
    1) 민중과 더불어
    2) 제자 선택
    3) 예수의 시선이 머문 대상
    4) 자유를 위한 투쟁
    5) 하느님 나라의 선포
5. 예루살렘의 예수
    1) 예루살렘
    2) 예루살렘행
    3) 예루살렘 입성
    4) 죽음의 전야
    5) 심문과 처형
6. 그는 누구인가?
   
판권
표지
예수를 예수로 만든 힘의 담지자
머리말
   
첫째 마당 一 예수의 수수께끼
    예수를 향한 추구
    너무도 평범한 사람
    예수의 수수께끼
    전권을 이양받은 자
둘째 마당 一 예수의 시대상
    마카베오의 봉기와 하스몬왕권
    로마·헤로데 왕조시대
    헤로데왕가
    총독정치
    경제적 상황
셋째 마당 一 세례자 요한과 예수
    세례자 요한은 누구인가
    세례자 요한과 예수의 관계
넷째 마당 一 갈릴래아로:예수의 소명
    석가와 공자와 예수
    갈릴래아로!
다섯째 마당 一 하느님 나라
    하느님의 나라
    하느님 나라 도래를 위한 투쟁
여섯째 마당 一 예수와 민중
    유다 사회의 민중
    예수가 만난 사람들
    오클로스
    하느님 나라와 민중
일곱째 마당 一 사탄과의 투쟁
    치유
    민중사건으로서의 기적
    반로마 민중운동의 한 예
여덟째 마당 一 예수와 여인
    유다 사회에서 여성의 위상
    여인에 대한 예수의 관심
    예수를 움직인 여인들
아홉째 마당 一 하느님의 것은 하느님에게(公) : 회개
    땅은 하느님의 것
    물(物)의 사유화에서 해방
    권력의 사유화로부터 해방
    카이사르의 것과 하느님의 것
    예수를 따라서
열째 마당 一 체제와의 충돌
    예수운동의 적대자들
    예루살렘세력
    예루살렘세력과의 대결
    정치권력과의 충돌
열한째 마당 一 수난사
    그리스도교와 십자가
    복음서와 예수의 수난
    예수의 수난의 맥락
    예수의 민중운동
    처형
열두째 마당 一 민중은 일어나다:부활이야기
    죽은 자 가운데서 살아난 예수
    부활이야기 분석
    부활의 의미
    예수의 고난에서 찾은 부활의 현실
    우리의 수난, 우리의 부활
   
판권
표지
나의 체험 민중의 신학
변명
   
‘민중’을 발견하기까지
    간도에서 보낸 어린 시절 一민족과 그리스도의 발견
    민중신학의 뿌리
    독일 신학과 ‘역사적 예수’
    민중현실에 바탕을 둔 신학
    ‘사건의 신학’과 신학을 위한 신학
    예수는 민중이고, 민중은 예수다
    ‘성문 밖’에 현존하는 예수
    민중의 염원과 민족통일의 길
    한국 그리스도인의 과제
민중의 책 성서
    한국 교회의 재래의 성서이해
    성서의 통일성 一그 민중신학적 의미
    예수一‘야훼만’을 지켜온 예언자 전통의 절정
    전통적 성서해석 방법의 이데올로기적 성격
    ‘컨텍스트’와 ‘텍스트’의 긴장
    민중신학의 컨텍스트는?
    성서는 우리에게 결단을 요구할 뿐
    민중신학이 본 성서의 맥
민중 예수
    극복되어야 할 서구 신학의 그리스도론
    고난의 종 그리스도
    구원은 민중을 통해서 온다
    예수는 오늘의 민중현장에 계신다
    제도적 교회는 민중현장에 계신 그리스도를 포기
    민중사건은 예수사건이다
    ‘구원’은 물질적 언어로 표현되어야
    성령의 역할은 인류해방에 있다
민중의 하느님
    신이 죽었다?
    서구 신학의 신관(神觀)
    동양인의 신관
    성서는 신을 어떻게 말하나
    해방의 신
    성전종교의 포로가 된 신
    예수 이후의 하느님
    민중의 하느님
    하느님 사건의 전거
민중의 공동체 一 교회
    교회의 주인공은 민중이다
    예수공동체는 밥을 나누어 먹는 공동체였다
    생활공동체에서 예배공동체로 전락
    교회의 본래 모습을 되찾아야
    민중신학이 꿈꾸는 교회상
    제도적 교회론을 넘어서자
    해방공동체 구현과 교회의 계층성 극복
    교회의 이상一하느님 백성의 평등공동체
죄와 체제
    죄의 뿌리
    기존의 죄이해는 교권을 강화시킨다
    유다교는 죄를 어떻게 보았나
    바울로는?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
위로
텍스트를 수정한 후 아래 [수정요청] 버튼을 클릭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