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전집

전집은 OCR 스캔 잡업으로 진행되어 오탈자가 있습니다.
오탈자를 발견하면 다음과 같이 등록해 주시면 관리자가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1. 수정 요청을 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2. 본문을 읽는 중에 오탈자가 있는 곳을 발견하면 앞뒤 텍스트(전체 10~30글자)와 함께 마우스로 선택합니다.
3. 그 상태에서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하여 나타나는 창에서 수정 후 [수정요청]을 클릭합니다.
4. 각주의 경우에는 각주 번호를 마우스오버하여 나타난 창을 클릭하면 수정요청 창이 열립니다.

※ 컴퓨터 브라우저에서만 가능합니다.
| 안병무전집5 |
민중과 성서
(한길사)
2) 오클로스와 암 하 아레츠

여기서 일별할 것은 '암 하 아레츠'의 구약 전체의 용법이 아니라 A.D. 1세기초에서의 의미이다.

'암 하 아레츠'는 포로 이전까지는 유다 민족의 상류층으로서 지주, 귀족 따위 등을 지칭했다. 그런데 포로시대와 더불어 이 말의 뜻은 변질되었다. 포로된 계층은 지주들과 지배층이었는데, 저들이 포로로 끌려간 후 사마리아인을 위시해 잔류한 사람들에게 그 땅의 소유권이 넘어갔고 저들을 '암 하 아레츠'라고 그대로 불렀다. 그러나 이때부터 '암 하 아레츠'는 이미 부정적 의미로 사용되었다(E.Würthwein). 이러한 현상은 이 사회학적 용어가 민족 내지 종교적 관심에서 부정적인 개념이 된 것을 보여준다(R. Meyer). 그리고 에즈라시대에서부터 예수 당시 사이에 이것은 종교사회적인 개념으로 바뀌었는데, 역시 부정적인 뜻으로 사용되었다. 이때 '암 하 아레츠'는 배우지 못하고 경건하지 못한 반율법적 계층을 지칭했다. 한편 이것은 라삐적 유다교가 형성되는 것과 때를 같이한다. 라삐 유다교란 바로 율법이 체제화된 사회이다.

이상의 고찰을 통해서 볼 때 예수시대의 '암 하 아레츠'란 체제에서 멸시받고 밀려났기 때문에 가난하고 힘없는 계층을 의미한다. 라삐적 유다교가 그들을 배제한 것은 다음 몇 가지 사실을 지적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① '암 하 아레츠'의 딸들과의 결혼을 금한다.

② '암 하 아레츠'와 식탁을 함께함을 금한다.

이러한 '암 하 아레츠'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는 예수시대에는 이미 자명화된 관습이 되었다. 한편 Babyl. Pesachim에서 '암 하 아레츠'에 대한 다음 금령은 오클로스와의 관계에서 볼 때 주목된다.

① 저들을 증인으로 불러서는 안 된다.

② 저들의 증거를 상대해서는 안 된다.

③ 저들에게 어떤 비밀은 알리지 마라.

④ 저들을 고아의 후견인으로 삼지 마라.

⑤ 저들에게 가난한 자를 위한 성금을 관리하게 마라.

⑥ 저들과 여행길에 오르지 마라.

이상에서 적어도 예수 이후 마르코시대에 '암 하 아레츠'는 사회 계층적 개념으로 멸시의 대상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라오스보다는 오클로스에서 나타난 민중과 가까운 것임을 부정할 수 없다. 이 암 하 아레츠가 오클로스를 지정학적으로 상징한 것이 바로 갈릴래아이다. "이방인의 갈릴래아" 또는 "갈릴래아, 갈릴래아, 너는 율법을 미워하고" 운운은 장(章)을 따로해서 밝힐 또 하나의 중요한 항목인데, 여기서는 마르코가 당시의 부정적 의미로만 사용된 오클로스라는 말을 골라서 사용하고 또, 그것의 장(場)을 갈릴래아로 한 것은 분명하게 사회적으로 본 피해계층을 나타내려는 의도에서였다는 사실만 지적하고 넘어가기로 하겠다.


| 안병무전집5 |
민중과 성서
(한길사)
List of Articles
표지
예수의 민중사건 : 『민중과 성서』를 내면서
   
제1부 복음서와 민중
   
예수와 민중 : 마르코복음을 중심으로
    1. 전제
    2. 마르코복음 안의 오클로스
    3. 마르코복음에 나타난 오클로스의 성격
        1) 오클로스의 성격
        2) 오클로스에 대한 예수의 행태
        3) 종합
    4. 예수를 따른 자들
    5. 마르코복음 안에 있는 어록
    6. 오클로스의 언어학적 의미
        1) 라오스와 오클로스
        2) 오클로스와 암 하 아레츠
    7. 종합
마르코복음에서 본 역사의 주체
    1. 전제
    2. 마르코의 삶의 자리
    3. 마르코의 민중신학의 기조
        1) 세례자 요한이 잡힌 후(14a절)
        2) 갈릴래아로 가다
        3) 하느님 나라의 도래 선포
    4. 민중의 행태
예수사건의 전승 모체
    1. 문제 제기
    2. 케리그마의 성격
        1) 고린토전서 15장 3~8절
        2) 필립비서 2장 6~11절
        3) 사도행전에 나타난 케리그마
    3. 민중언어의 성격
    4. 수난사
    5. 예수의 행태 일반
        1) 기적 이야기와 예수의 행태
        2) 아포프테그마와 예수의 행태
        3) 로기온(Logion, 어록)과 예수의 행태
    6. 결론
가난한 자 : 루가의 민중 이해
    1. 가난한 자
        1) 통계적 고찰
        2) 루가의 특수자료
        3) 예수의 탄생설화와 나자렛 선언
        4) 마르코와 Q자료
    2. 루가복음서의 청중
    3. 결론
마태오의 민중적 민족주의
    1. 문제 제기
        1) 마태오의 신학적 주제에 대한 논의들
        2) 문제 제기
    2. 마태오가 처한 현실
        1) 마태오와 그의 시기
        2) 민족적 와해 위기
    3. 마태오의 현실인식
        1) 이스라엘 : 길 잃은 양들
        2) 길 잃은 양이 놓여 있는 현실
    4. 민족동일성 재확립
        1) 뿌리 찾기
        2) 바리사이파가 주도하는 라삐 유다교와의 대결
    5. 마태오의 민중 이해
        1) 언어적 성격
        2) 의식화된 민중
    6. 맺는 말
민중신학의 성서적 근거 : 마르코복음을 중심으로
    1. 예수사건의 재발견
    2. 마르코복음과 민중
    3. 민중은 수단이 아니다
    4. 민중은 객체일 수 없다
    5. 십자가는 민중수난의 극치다
민중신학의 어제와 오늘
    1. 독재와 대항하므로
    2. 민중을 만나므로
    3. 민중과 더불어
   
제2부 민중운동사
   
민중사건과 언어사건
    1. 성서에서 본 말의 성격
        1) 그 말의 현장은 어떤 것이었나
        2) 예수의 경우
        3) 예수사건에 관한 전승
        4) 오순절의 말 사건
    2. 무엇으로 말하는 것인가
    3. 해야 할 말은 무엇인가
    4. 우리가 해야 할 말
미래는 가난한 자의 것 : 루가 6장 20~26절
    1. 축복과 저주
    2. 가난한 자와 부요한 자
    3. ‘지금’과 ‘장차’
    4. 우리의 선택
나라가 임하옵소서
    1. 예수의 기도
    2. 그의 기도를 전달받은 자들
    3. 하느님의 나라
고향 잃은 민중
    1. 피난민
    2. 성서에서 본 피난민문제
    3. 게르(GER) 문제 해결의 시도
    4. 이방인에 대한 관용의 한계
    5. 당면한 과제
        1 ) 새로운 인식을 위한 운동
        2) 실천에 대한 몇 가지 제언
이스라엘 민중사
    1. 머리말
    2. 출애굽
    3. 고대 이스라엘 종족동맹
    4. 민중을 배반하고 세워진 왕권
    5. 분단시대의 고난
    6. 민중운동의 여러 계열
    7. 예수의 민중운동
    8. 맺는 말
   
제3부 민중과 체제
   
민중사실의 증언
    1. 민중신학의 전제들
    2. 민중사실의 증언
고난과 고백
    1. 수난자와의 일치
    2. 마르코의 민중
    3. 수난사와 고난
    4. 더불어의 고난
    5. 맺는 말
갈릴래아 민중에 항복한 바울로
    1. 바울로의 위치
    2. 사울은 어떤 사람인가
    3. 그리스도교 박해
    4. 예수를 만남
    5. 전향
    6. 맺는 말
소명(召命)
    1. 바울로의 소명
    2. 사도 됨과 소명
    3. 이방인에게로
바울로와 역사의 예수 I
    1. 머리말
    2. 예수에 대한 바울로의 말
    3. 예수냐 바울로냐
    4. 왜 예수가 아니고 케리그마인가
선택받은 민중: 고린토전서 1장 26~31절
    1. 고린토교회 구성원의 사회계층
    2. 공동체원의 가치 판단 기준
    3. 민중을 보는 눈
    4. 택함을 받은 민중
   
제4부 예수의 희망
   
하늘도 땅도 공(公)이다
    1. 낙원 이야기
    2. 아담一인간
    3. 실락원은 공을 사유화함으로
갈릴래아에서 만나자: 마르코 16장 1~8절
    1. 제3의 자리
    2. 갈릴래아
    3. 갈릴래아에서 만나자
예수의 희망
    1. 새 세계에의 희망
    2. 희망과 세계혁명
    3. 바른 인간공동체의 희망
    4. 맺는 말
   
판권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
위로
원본 텍스트 ▼
수정 텍스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