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전집

전집은 OCR 스캔 잡업으로 진행되어 오탈자가 있습니다.
오탈자를 발견하면 다음과 같이 등록해 주시면 관리자가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1. 수정 요청을 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2. 본문을 읽는 중에 오탈자가 있는 곳을 발견하면 앞뒤 텍스트와 함께 마우스로 선택합니다.
3. 그 상태에서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하여 나타나는 창에서 수정 후 [수정요청]을 클릭합니다.
4. 각주의 경우에는 각주 번호를 마우스오버하여 나타난 창을 클릭하면 수정요청 창이 열립니다.

※ 컴퓨터 브라우저에서만 가능합니다.
| 안병무전집2 |
민중신학을 말한다
(한길사)
'성문 밖'에 현존하는 예수

▶ 구체적으로 성서구절을 예로 들면서 민중신학적 조명을 가하니까 선생님의 신학 하시는 독특한 방법이 더욱 선명해지는군요. 한 가지만 더 말씀해주시지요. 선생님께서 늘 말씀하시는 '성문 밖' 얘기가 있죠?

성서를 보는 나의 시각은 예수, 그리스도, 메시아 등을 종교적인 것으로만 보지 않아요. 예수사건, 메시아 사건은 그리스도교의 독점물이 아닙니다. 그러나 내가 성서학을 하는 사람이기 때문에 나는 정치하는 사람, 경제학하는 사람과는 달리 어떤 사건을 성서에 근거 해서 보는 것뿐입니다.

나는 민중의 사건을 거대한 하나의 화산맥(火山脈)에 비유하지요. 하나의 화산맥이 여러 시대를 두고 흘러오면서 각각의 역사적 상황에서 분출하는 것으로 보고 있어요. '그 화산맥이 예수시대에 거대한 활화산으로 터진 사건이 바로 예수사건이다.' 이렇게 보고 있고, 그 화산맥이 지금 이 시대에도 면면히 역사의 지각 밑을 흘러가고 있다고 봐요. 그래서 오늘 한국에서 일어나는 민중사건들도 단절된 독립적 사건들이 아니라, 2천 년 전의 예수사건과 맥을 같이하는 사건들이라고 보고 있어요. 이것이 중요한 건데, 내가 추구하는 건 현존(現存)의 그리스도, 즉 '그가 오늘 이 시대에 어떻게 나타나는가?' 하는 데 있어요. "그가 오늘 여기에 민중사건을 통해서 나타나고 있다! 그러니까 2천년 전의 예수를 추구하는 것이나 교리상의 그리스도를 추구하는 것은 난센스다. 중요한 것은 오늘의 그리스도가—나의 언어로는 오늘의 예수사건이—어디서, 어떻게 일어나느냐 하는 것이다. 그것은 기존체제 안에서 일어나는 것도 아니고 기존교회 안에서 일어나는 것도 아니다. 오히려 거기로부터 소외당하고 버림받고 쫓겨난 '성문 밖'—예수는 예루살렘의 성문 밖에서 처형당해 죽었지요—에서 일어난다!" 이렇게 보는 것입니다.

히브리서 기자가 "주님이 성문 밖에서 고난을 당하셨으니 우리도 성문 밖에 계신 그분께 나아가서 그분이 겪으신 치욕을 함께 겪읍시다"(히브 13, 12~13)라고 했는데, 이 말은 참으로 심오하고 아름다워요. 거기에서 이름을 따와서 '성문밖교회'라는 노동자 교회가 섰지요. 나의 영향을 받은 것인지는 모르나 그 얘기는 내가 일찍부터 했던 것이지요. '성문 밖'이란 소외당한 사람들의 거주지역인데 거기에서 그리스도 사건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지금도 우리 한국에서 예수의 이름을 부르거나 안 부르거나 간에 민중이 주인 되는 사회를 건설하기 위한 싸움이 성서학을 하는 내 눈에는, 정치학자나 경제학자의 눈과는 달리, 예수사건이 줄기차게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똑똑히 보여요.

▶ 선생님, 사실 저는 '성문밖교회'라는 이름에서 '성문 밖'이라는 말과 '교회'라는 말은 서로 부딪치는 것이 아닌가 하는 느낌이 들어요. '성문 밖'이 소외된 지역, 이른바 주변부라 한다면 '교회'는 그렇지 않거든요. 대부분의 교회는 실제로 성문 안에 위치하고 있지 않습니까? 도시교회든 시골교회든 그 주소가 어디이든간에 교회는 본질에서 체제내적인 것, 즉 성문 안에 속한 것으로 보이거든요. 그런 의미에서 '성문밖교회'라는 것은 역시 썩 잘 어울리는 명칭은 아닌 것 같아요. 물론 현실적으로 문밖 교회가 존재하고 또 '성문 밖'을 지향하려고 무척이나 애쓰고 있는 작은 공동체들이 많이 있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교회는 지금 명백하게 거대한 성(城)이 아닙니까?

나는 언젠가 독일에 가면 서구신학자들에게 '당신들이 신학을 왜 하오?' 이것부터 물으려고 해요. '지금 있는 기존의 것(status quo)을 보존하자는 것이지, 그 밖에 뭐 있소?' 하고요. 기존교회가 있고 재산이 있기 때문에 그들의 그리스도교가 유지되지, 그것 없으면 유지될 이유가 없어요. 교회의 체제가 굳어져서, 거기에 들어갈 수 없는 사람들(=민중들)이 많으면 많을수록 그 교회는 기득권을 지키려하고, 그래서 '성문 밖'으로부터 '성문 안'으로 들어가려고 해요. 한국의 교회들을 예로 들어도, 이 교회에 창기가 들어갈 수 있소, 거지가 들어갈 수 있소? 예수를 따르던 무리들, 즉 '오클로스'를 구성했던 사람들의 신분은 하나도 이 교회에 들어갈 수 없게 구조가 되어 있지 않습니까? 그것이 체제로 굳어서 하나의 질서를 만들어놓지 않았소? 그래서 교회가 철저한 이기주의 집단이고, 현대의 사교장이 되어버리지 않았소? 이웃을 위한 장소이기보다는 자기보존과 확대를 위한 장소로 되어버렸어요.

그러나 '교회'(ecclesia)란 언어는 본래 아주 소박한 것이었어요. '에클레시아'란 단순히 회중이 모인 것을 뜻하는 그리스말입니다. 성역화된 교회와는 전혀 다른 이미지예요. 요즘 한국에도 소위 민중현장교회—우린 '바닥공동체'라는 말을 쓰고 있습니다만—가 노동자 거주지역, 도시빈민 지역에 생기고 있지요. 교회란 이름은 빌렸으되 이곳에는 아무 형식 없이, 전제조건 없이 문자 그대로 '아무나 나와도 좋소!' 하는 원리가 살아 있어요. 그야말로 '에클레시아'가 민중현장에, 성문 밖에 세워지고 있습니다. 이렇게 민중의 고뇌를 같이 하고, 민중과 함께 살고, 함께 싸우고, 함께 기도하고 예배하는 공동체, 그것이 참된 의미의 예수 그리스도의 교회이지요. 그것이 민중의 교회이구요. 기존의 교회들은 이 민중의 교회를 지향해야 하고, 우선 당장은 그렇게 체질개선은 못하더라도 적어도 민중교회를 지원하는 일부터라도 시작해야 해요.


| 안병무전집2 |
민중신학을 말한다
(한길사)
List of Articles
표지
나의 체험 민중의 신학
변명
   
‘민중’을 발견하기까지
    간도에서 보낸 어린 시절 一민족과 그리스도의 발견
    민중신학의 뿌리
    독일 신학과 ‘역사적 예수’
    민중현실에 바탕을 둔 신학
    ‘사건의 신학’과 신학을 위한 신학
    예수는 민중이고, 민중은 예수다
    ‘성문 밖’에 현존하는 예수
    민중의 염원과 민족통일의 길
    한국 그리스도인의 과제
민중의 책 성서
    한국 교회의 재래의 성서이해
    성서의 통일성 一그 민중신학적 의미
    예수一‘야훼만’을 지켜온 예언자 전통의 절정
    전통적 성서해석 방법의 이데올로기적 성격
    ‘컨텍스트’와 ‘텍스트’의 긴장
    민중신학의 컨텍스트는?
    성서는 우리에게 결단을 요구할 뿐
    민중신학이 본 성서의 맥
민중 예수
    극복되어야 할 서구 신학의 그리스도론
    고난의 종 그리스도
    구원은 민중을 통해서 온다
    예수는 오늘의 민중현장에 계신다
    제도적 교회는 민중현장에 계신 그리스도를 포기
    민중사건은 예수사건이다
    ‘구원’은 물질적 언어로 표현되어야
    성령의 역할은 인류해방에 있다
민중의 하느님
    신이 죽었다?
    서구 신학의 신관(神觀)
    동양인의 신관
    성서는 신을 어떻게 말하나
    해방의 신
    성전종교의 포로가 된 신
    예수 이후의 하느님
    민중의 하느님
    하느님 사건의 전거
민중의 공동체 一 교회
    교회의 주인공은 민중이다
    예수공동체는 밥을 나누어 먹는 공동체였다
    생활공동체에서 예배공동체로 전락
    교회의 본래 모습을 되찾아야
    민중신학이 꿈꾸는 교회상
    제도적 교회론을 넘어서자
    해방공동체 구현과 교회의 계층성 극복
    교회의 이상一하느님 백성의 평등공동체
죄와 체제
    죄의 뿌리
    기존의 죄이해는 교권을 강화시킨다
    유다교는 죄를 어떻게 보았나
    바울로는?
    요한과 루가는?
    사탄은 구조악이다
    죄의 뿌리 一 공(公)의 사유화
민중해방과 성령사건
    이단으로 박해받은 성령운동
    이원론에 빠진 전통적인 성령 이해
    성서의 성령론의 성격
    성령은 민중사건이다
    한국 교회의 성령운동, 과연 성서적인가
하느님 나라一민중의 나라
    하느님 나라 一 민중의 갈망과 한
    예수는 하느님 나라를 규정할 필요가 없었다
    민중이 주인 되는 새 나라
    요한의 저항一물(物)이 되신 하느님
    주의 기도一하느님 나라 운동의 노래
    하느님 나라 신앙은 민중해방운동 속에 성육신해야
민중에 의한 전승
    민중신학의 출발점
    역사의 예수와 케리그마의 그리스도
    마르코복음서의 제자 비판
    ‘오클로스’와 ‘마제타이’
    교회의 제도화와 사제계급의 승리
    제도적 교권주의자
    민중과 민중언어
예수의 민중전기
    마르코와 예수
    한으로부터의 해방
    예수의 말과 행태
    마르코복음서의 과제
    민중의 현장에서 본 예수상
    예수의 수난과 죽음의 의미
    요한이 잡힌 후에
    야훼신앙의 정점
    예루살렘으로
밥상공동체의 실현
    공동체
    밥상공동체
    밥상공동체를 파괴한 자들
    내 살을 먹으라
민중의 부활사건
    어떤 부활을?
    사건으로서의 부활
    현존하는 부활사건
   
판권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
위로
텍스트를 수정한 후 아래 [수정요청] 버튼을 클릭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