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전집

전집은 OCR 스캔 잡업으로 진행되어 오탈자가 있습니다.
오탈자를 발견하면 다음과 같이 등록해 주시면 관리자가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1. 수정 요청을 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2. 본문을 읽는 중에 오탈자가 있는 곳을 발견하면 앞뒤 텍스트와 함께 마우스로 선택합니다.
3. 그 상태에서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하여 나타나는 창에서 수정 후 [수정요청]을 클릭합니다.
4. 각주의 경우에는 각주 번호를 마우스오버하여 나타난 창을 클릭하면 수정요청 창이 열립니다.

※ 컴퓨터 브라우저에서만 가능합니다.
| 안병무전집2 |
민중신학을 말한다
(한길사)
교회의 이상―하느님 백성의 평등공동체

이렇게 계속적인 명암의 반복이 있어왔지요. 그러는 동안에 끊임없이 예수운동으로의 회귀를 목표로 한 운동이 있었습니다. 그리고 그것이 정통적 주류에 의해 이단으로 단죄되곤 했습니다. 그들은 포괄적이 아니고 어느 부분을 크게 부각시키므로 편향적이기는 했으나, 그 방향성만은 적극적인 데가 있었어요. 무엇보다도 종말론적 성령론이 거의 공통적인 것이었으니까요.

기존교회가 어떻게 자체를 개혁하느냐 하는 것은 교회사를 통해서 거듭 논의됐고, 현금에는 W.C.C를 통해 많이 제시됐습니다. 또 교회 자체도 무엇이 병폐인가를 모르는 바 아닙니다. 그러나 바로 그런 '병폐'를 제시하면 기존교회는 무너져요. 그래서 못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민중신학의 시각이 새롭게 세부적인 개혁을 운위할 필요는 없어요. 단지 재강조할 것은 기성교회가 민중이 발붙일 수 있는 현장인가 하는 물음을 시금석으로 하면 대답은 자명하리라고 생각합니다. 가난한 자, 실권을 박탈당한 자, 여러 측면에서 수난당하는 자와 자신을 일치시킬 수 없는 교회라면, 그것은 사회적 조건이 비슷한 계층의 취미집단 이상이 아니라는 것을 언명하고 싶을 따름입니다.

또 하나 강조하고 싶은 것은 기존교회는 하느님도, 예수도 독점했다는 허구적인 생각을 버려야 한다는 것입니다. 왜 하느님이 제도교회의 도구가 돼야 해요? 하느님은 자유 합니다. 어떤 형태로 어디에서 그의 일을 성취하는지는 하느님 자신만의 일입니다. 그러므로 기존교회는 바로 하느님의 선교(missio Dei)가 역사의 이 구석 저 구석에서 일어난다는 확신에서 하느님 나라 도래의 전위대(아방가르드)임을 의식하고, 그같은 의식을 행동으로 실현하는 것이 최선의 길이라고 봅니다.

끝으로 또 하나 강조하고 싶은 것은 교회내의 계층성 제거입니다. 지금까지 사제 중심, 목사 중심 체제가 '기능'으로서의 구별을 넘어서 권위화됐는데 그것은 날이 갈수록 심화됩니다. 교회가 하느님의 백성의 집단이라면 평등공동체여야 합니다. 목사는 사제의 후예가 아닙니다. 그는 기능상 가르치는 자일 뿐입니다. 가령 새크러먼트를 시행하는 권한을 목사의 특권으로 삼는 것은 성서적으로 아무 근거가 없습니다. 교회의 가장 중요한 성격이 '나눔'인데, 그 나누는 일이 왜 목사의 특권이어야 합니까!

나는 평신도들이 이끄는 밑바닥 공동체가 많이 생겨나기를 바랍니다. 평신도들이 직장을 갖고 공동체를 형성해서, 가르칠 능력이 있는 이들이 생활에서 성서 그리고 현실을 증거하는 것이 설교가 됐으면 합니다. 어떤 교단이든 이 길을 터놓고 그런 공동체를 수용하는 제도적 장치를 한다면 그로부터 기존교회의 개혁에 큰 활기를 얻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그 이상의 구체적 제안은 할 것이 없고 또 해서도 안 될 것입니다. 그것은 교회를 이끄는 실세가 결정해야 할 것입니다.


| 안병무전집2 |
민중신학을 말한다
(한길사)
List of Articles
표지
나의 체험 민중의 신학
변명
   
‘민중’을 발견하기까지
    간도에서 보낸 어린 시절 一민족과 그리스도의 발견
    민중신학의 뿌리
    독일 신학과 ‘역사적 예수’
    민중현실에 바탕을 둔 신학
    ‘사건의 신학’과 신학을 위한 신학
    예수는 민중이고, 민중은 예수다
    ‘성문 밖’에 현존하는 예수
    민중의 염원과 민족통일의 길
    한국 그리스도인의 과제
민중의 책 성서
    한국 교회의 재래의 성서이해
    성서의 통일성 一그 민중신학적 의미
    예수一‘야훼만’을 지켜온 예언자 전통의 절정
    전통적 성서해석 방법의 이데올로기적 성격
    ‘컨텍스트’와 ‘텍스트’의 긴장
    민중신학의 컨텍스트는?
    성서는 우리에게 결단을 요구할 뿐
    민중신학이 본 성서의 맥
민중 예수
    극복되어야 할 서구 신학의 그리스도론
    고난의 종 그리스도
    구원은 민중을 통해서 온다
    예수는 오늘의 민중현장에 계신다
    제도적 교회는 민중현장에 계신 그리스도를 포기
    민중사건은 예수사건이다
    ‘구원’은 물질적 언어로 표현되어야
    성령의 역할은 인류해방에 있다
민중의 하느님
    신이 죽었다?
    서구 신학의 신관(神觀)
    동양인의 신관
    성서는 신을 어떻게 말하나
    해방의 신
    성전종교의 포로가 된 신
    예수 이후의 하느님
    민중의 하느님
    하느님 사건의 전거
민중의 공동체 一 교회
    교회의 주인공은 민중이다
    예수공동체는 밥을 나누어 먹는 공동체였다
    생활공동체에서 예배공동체로 전락
    교회의 본래 모습을 되찾아야
    민중신학이 꿈꾸는 교회상
    제도적 교회론을 넘어서자
    해방공동체 구현과 교회의 계층성 극복
    교회의 이상一하느님 백성의 평등공동체
죄와 체제
    죄의 뿌리
    기존의 죄이해는 교권을 강화시킨다
    유다교는 죄를 어떻게 보았나
    바울로는?
    요한과 루가는?
    사탄은 구조악이다
    죄의 뿌리 一 공(公)의 사유화
민중해방과 성령사건
    이단으로 박해받은 성령운동
    이원론에 빠진 전통적인 성령 이해
    성서의 성령론의 성격
    성령은 민중사건이다
    한국 교회의 성령운동, 과연 성서적인가
하느님 나라一민중의 나라
    하느님 나라 一 민중의 갈망과 한
    예수는 하느님 나라를 규정할 필요가 없었다
    민중이 주인 되는 새 나라
    요한의 저항一물(物)이 되신 하느님
    주의 기도一하느님 나라 운동의 노래
    하느님 나라 신앙은 민중해방운동 속에 성육신해야
민중에 의한 전승
    민중신학의 출발점
    역사의 예수와 케리그마의 그리스도
    마르코복음서의 제자 비판
    ‘오클로스’와 ‘마제타이’
    교회의 제도화와 사제계급의 승리
    제도적 교권주의자
    민중과 민중언어
예수의 민중전기
    마르코와 예수
    한으로부터의 해방
    예수의 말과 행태
    마르코복음서의 과제
    민중의 현장에서 본 예수상
    예수의 수난과 죽음의 의미
    요한이 잡힌 후에
    야훼신앙의 정점
    예루살렘으로
밥상공동체의 실현
    공동체
    밥상공동체
    밥상공동체를 파괴한 자들
    내 살을 먹으라
민중의 부활사건
    어떤 부활을?
    사건으로서의 부활
    현존하는 부활사건
   
판권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
위로
텍스트를 수정한 후 아래 [수정요청] 버튼을 클릭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