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전집

전집은 OCR 스캔 잡업으로 진행되어 오탈자가 있습니다.
오탈자를 발견하면 다음과 같이 등록해 주시면 관리자가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1. 수정 요청을 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2. 본문을 읽는 중에 오탈자가 있는 곳을 발견하면 앞뒤 텍스트와 함께 마우스로 선택합니다.
3. 그 상태에서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하여 나타나는 창에서 수정 후 [수정요청]을 클릭합니다.
4. 각주의 경우에는 각주 번호를 마우스오버하여 나타난 창을 클릭하면 수정요청 창이 열립니다.

※ 컴퓨터 브라우저에서만 가능합니다.
| 안병무전집2 |
민중신학을 말한다
(한길사)
유다교는 죄를 어떻게 보았나

구약성서를 위시해서 유다교의 죄이해를 살펴봅시다. 창세기에 나타난 죄이해는 역사적으로 훨씬 후대에 형성된 것이고 출애굽 사건이야말로 구약신앙의 출발점이므로 거기서부터 살펴봐야 할 것입니다. 출애굽 사건에서 출발하면 놀랍게도 이스라엘 사람들의 죄관(罪觀)은 개인적인 죄가 아니라 군주체제의 집단적이고 구조적인 죄를 문제삼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군주체제(에집트)라는 구조악에 의해 착취당하고 노예화되는 현실을 죄로 보고, 이 죄에서 히브리를 해방시키는 데서 구약의 죄관은 출발하고 있습니다.

나아가 구약에서 죄는 하느님과 이스라엘의 계약이라는 대전제 아래서 이해됩니다. 이 계약을 이행하지 않는 것이 죄라는 말입니다. 이 계약은 율법이라는 형태로 응결되었는데, 그것에 대해서 두 가지 성격을 지적할 수 있습니다. 우선 그것은 하느님과 이스라엘 공동체가 맺은 집단적인 계약입니다. 그리고 그 내용은 구약의 여러 법전들에 여실히 드러나 있듯이 가진 자 혹은 지배계층이 약한 자들을 착취하거나 괴롭혀서는 안 되고 모든 사람이 평등하게 가진 것을 나누라는 것입니다. 이 내용을 어긴 것이 구약에서 말하는 근본적인 죄이지요. 대표적인 율법이라고 할 수 있는 십계명도 집단적인 성격을 지녔습니다.

여기에서 개인적인 죄는 아주 부수적으로 나타나고 있어요. 예를 들어 죄 없는 사람의 피를 흘리게 한 사람, 남의 여자를 범한 사람이 죄인으로 취급되는 것은 분명하지만 그런 사실이 중심에 있지도 않고 부각되어 있지도 않습니다. 게다가 그런 죄를 범한 사람들에게 도피성(逃避城)을 마련해줌으로써 도망할 구멍을 만들어주고 있어요. 카인과 아벨의 이야기에도 이 점이 반영되어 있어요. 동생을 죽인 카인에게 누구도 저주할 수 없도록 하고 그가 용서받을 수 있는 길을 마련해주고 있습니다. 이렇게 볼 때 가진 자가 못 가진 자를 구조적으로 억압하는 것이 구약에서의 근본적인 죄였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전통은 다윗왕조가 성립되면서부터 달라집니다. 다윗왕조 성립 후에 야훼종교가 소위 제사종교화되면서 그같은 제도적인 종교에 부합되느냐, 않느냐에 따라 죄가 규정되었기 때문에 죄에 관한 견해에 질적인 변화가 생긴 것입니다. 거기서 가장 중요하게 부각된 것이 '정결법'과 '안식일법'입니다. 안식일 규정을 예로 들어봅시다. 원래 안식일 규정은 가난한 사람들과 노예들과 피고용자들에게 7일마다 하루를 쉬게 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었습니다. 따라서 그들을 쉬지 못하게 하는 것이 바로 죄가 되어야 합니다. 그런데 성전종교가 되면서부터 안식일 자체를 거룩한 날로 정하여 안식일 자체가 목적이 되고 말았습니다. 결국 죄는 성전의 모든 규율과 제도에 의해 규정되게 되었지요. 그렇게 되자 가난한 자를 위한다는 것도 아주 형식적이고 간접적인 것이 되고 말았어요. 이를테면 우리가 모든 것을 성전에 바치면 성전에서 가난한 자들에게 자선을 베풀어주니까 우리도 가난한 자를 돕게 되는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리고 가난한 자들에게 적선을 베풀라는 말이 계속 있었지만, 푼돈을 주는 것으로 자기 구원의 확률을 보다 더 높일 수 있다는 잘못된 생각에 빠졌습니다.

라삐 종교, 즉 후기 유다교에 이르러서는 바리사이파가 중심을 차지하게 됩니다. 그전에는 토라(오경)와 예언서가 엄격히 구분되었고 토라만이 경전으로 여겨졌는데, 바리사이파 중심의 후기 유다교에서는 예언서뿐 아니라 유명한 라삐들의 해석까지 포함하여 생활규율을 만들었습니다. 온 국민이 그 생활규율을 실천하는 운동을 일으켰던 것입니다. 처음에는 이방인 치하에 살고 있던 이스라엘 민족의 주체성을 보존하기 위한 국민운동으로 시작되었으나 얀내우스 왕 이후 알렉산드라 여왕 때 그런 내용이 국가정책에 수용됨으로써, 다시 말해 바리사이파가 지배체제에 편입되면서부터 국민운동의 규정이 사람들에게 강요되는 법률적 규정으로 바뀌었습니다. 그때부터 바리사이파는 국민운동의 주도단체가 아니라 죄인을 색출하는 단체로 둔갑한 것이지요. 그래서 바리사이 체제의 의무규정을 지키면 의인이 되고, 반대로 지키지 못하면 죄인이 되었습니다. 다시 말해 지배체제에 의해 의인과 죄인이 구별되고, 죄라는 말은 반율법이라는 말과 동의어가 되었습니다. 거기서 안식일법과 정결법을 지키지 못했기 때문에 대표적인 죄인 취급을 받았던 창기, 세리, 병자들과 같은 특정한 사회계층의 사람들이 등장하게 된 것이지요. 바리사이 체제에서는 과정은 어찌 되었든, 결과만을 가지고 사람들을 죄인으로 취급했던 것입니다. 대체로 이제까지 얘기한 것이 예수시대 직전까지의 죄에 대한 이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 그러면 율법을 지키지 않는 것이 죄라는 후기 유다교의 사상은 율법이 있기에 죄가 있고 죄가 있기에 은혜가 있다는 바울로의 사상과 어떤 관계에 있을까요?


| 안병무전집2 |
민중신학을 말한다
(한길사)
List of Articles
표지
나의 체험 민중의 신학
변명
   
‘민중’을 발견하기까지
    간도에서 보낸 어린 시절 一민족과 그리스도의 발견
    민중신학의 뿌리
    독일 신학과 ‘역사적 예수’
    민중현실에 바탕을 둔 신학
    ‘사건의 신학’과 신학을 위한 신학
    예수는 민중이고, 민중은 예수다
    ‘성문 밖’에 현존하는 예수
    민중의 염원과 민족통일의 길
    한국 그리스도인의 과제
민중의 책 성서
    한국 교회의 재래의 성서이해
    성서의 통일성 一그 민중신학적 의미
    예수一‘야훼만’을 지켜온 예언자 전통의 절정
    전통적 성서해석 방법의 이데올로기적 성격
    ‘컨텍스트’와 ‘텍스트’의 긴장
    민중신학의 컨텍스트는?
    성서는 우리에게 결단을 요구할 뿐
    민중신학이 본 성서의 맥
민중 예수
    극복되어야 할 서구 신학의 그리스도론
    고난의 종 그리스도
    구원은 민중을 통해서 온다
    예수는 오늘의 민중현장에 계신다
    제도적 교회는 민중현장에 계신 그리스도를 포기
    민중사건은 예수사건이다
    ‘구원’은 물질적 언어로 표현되어야
    성령의 역할은 인류해방에 있다
민중의 하느님
    신이 죽었다?
    서구 신학의 신관(神觀)
    동양인의 신관
    성서는 신을 어떻게 말하나
    해방의 신
    성전종교의 포로가 된 신
    예수 이후의 하느님
    민중의 하느님
    하느님 사건의 전거
민중의 공동체 一 교회
    교회의 주인공은 민중이다
    예수공동체는 밥을 나누어 먹는 공동체였다
    생활공동체에서 예배공동체로 전락
    교회의 본래 모습을 되찾아야
    민중신학이 꿈꾸는 교회상
    제도적 교회론을 넘어서자
    해방공동체 구현과 교회의 계층성 극복
    교회의 이상一하느님 백성의 평등공동체
죄와 체제
    죄의 뿌리
    기존의 죄이해는 교권을 강화시킨다
    유다교는 죄를 어떻게 보았나
    바울로는?
    요한과 루가는?
    사탄은 구조악이다
    죄의 뿌리 一 공(公)의 사유화
민중해방과 성령사건
    이단으로 박해받은 성령운동
    이원론에 빠진 전통적인 성령 이해
    성서의 성령론의 성격
    성령은 민중사건이다
    한국 교회의 성령운동, 과연 성서적인가
하느님 나라一민중의 나라
    하느님 나라 一 민중의 갈망과 한
    예수는 하느님 나라를 규정할 필요가 없었다
    민중이 주인 되는 새 나라
    요한의 저항一물(物)이 되신 하느님
    주의 기도一하느님 나라 운동의 노래
    하느님 나라 신앙은 민중해방운동 속에 성육신해야
민중에 의한 전승
    민중신학의 출발점
    역사의 예수와 케리그마의 그리스도
    마르코복음서의 제자 비판
    ‘오클로스’와 ‘마제타이’
    교회의 제도화와 사제계급의 승리
    제도적 교권주의자
    민중과 민중언어
예수의 민중전기
    마르코와 예수
    한으로부터의 해방
    예수의 말과 행태
    마르코복음서의 과제
    민중의 현장에서 본 예수상
    예수의 수난과 죽음의 의미
    요한이 잡힌 후에
    야훼신앙의 정점
    예루살렘으로
밥상공동체의 실현
    공동체
    밥상공동체
    밥상공동체를 파괴한 자들
    내 살을 먹으라
민중의 부활사건
    어떤 부활을?
    사건으로서의 부활
    현존하는 부활사건
   
판권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
위로
텍스트를 수정한 후 아래 [수정요청] 버튼을 클릭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