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전집

전집은 OCR 스캔 잡업으로 진행되어 오탈자가 있습니다.
오탈자를 발견하면 다음과 같이 등록해 주시면 관리자가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1. 수정 요청을 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2. 본문을 읽는 중에 오탈자가 있는 곳을 발견하면 앞뒤 텍스트와 함께 마우스로 선택합니다.
3. 그 상태에서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하여 나타나는 창에서 수정 후 [수정요청]을 클릭합니다.
4. 각주의 경우에는 각주 번호를 마우스오버하여 나타난 창을 클릭하면 수정요청 창이 열립니다.

※ 컴퓨터 브라우저에서만 가능합니다.
| 안병무전집2 |
민중신학을 말한다
(한길사)
주의 기도—하느님 나라 운동의 노래

▶ 선생님의그 말씀을 들으니까 생각나는데, 하느님 나라의 도래라고 하는 것은 어떻게 보면 성육신사상의 또 다른 표현이 아니겠습니까.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하느님이 육이 됐다, 육이 된 그 하느님이 하느님 나라를 간절히 대망하는 사람들 가운데서 그 하느님 나라 실현을 위해 현존한다, 그러므로 육이 된 하느님은 하느님 나라 운동이라는 형태로 끊임없이 고백된다, 이런 생각이…….

그렇게 해석할 수 있고말고요. 바로 그 고백이 주의 기도에서 "하느님 나라가 임하옵소서!"라고 한 바로 그 절규가 아니겠습니까? 그래서 나는 주의 기도를 하느님 나라 운동의 노래다, 행진가다 그랬던 거지요. "뜻이 하늘에서 이루어진 것같이 땅에서도 이루어지 십시오." 이것이 마태오학파의 주석이었다면, '육이 되신 하느님! 당신은 우리들의 하느님 나라 운동 안에 오늘 인카네이션하십니다', 이것은 우리들의 해석일 수 있습니다. 우리가 하느님을 자꾸 어떤 정신적 존재로만 생각하는 데 길들여져서 그렇지, 하느님은 역사현장에서 오늘도 일어나고 있는 민중사건 속에 계속 화육(化肉)하시고 물적(物的)인 형태로 계속 재현되는 것입니다. 아까도 말했지만 '물'이라는 언어를 쓰면 도리어 리얼(real)하지 못하고 고답적으로 되는 흠이 있지만 하느님, 예수 그리스도, 하느님 나라를 관념화하는 데 저항하고 그것을 복음서의 원래의 생각으로 환원시키기 위해서는 불가피하게 그 언어를 쓰지 않을 수 없는 것이 안타까운 오늘날 우리 그리스도교의 현실이지요.

▶ '물'이라는 것은 독일어로 'Materie'인데 이 단어가 자꾸 관념적으로 들리는 것은 거기서 한걸음 더 나아가서 사회적 제관계라든지, 사회구조 또는 경제제도라든지, 민중의 생활상의 이런저런 요구라든지, 이렇게 현실문제로 오지 못하고 저 멀리 철학적인 카테고리에 머무르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됩니다. 우리는 오늘 하느님의 인카네이션을 눈물도 아픔도 죽음도 없는 새 나라의 실현이라는 언어로 재해석했는데, 그새 나라의 실현은 우리 사회의 정확한 분석과 그러한 분석결과에 입각한 전략의 수립과 결코 분리될 수 없을 것 같습니다. 제가 여기 한 구절을 읽어보겠습니다. 픽슬레이의 『하느님 나라』에 나오는 글입니다.

"예수와 젤롯당은 A.D. 1세기 팔레스틴을 각기 다르게 이해했기 때문에 서로 다른 해방전략을 수립했었다. 예수의 전략이 젤롯당의 것보다 성공가능성이 더욱 높았는지는 알 수 없다. 중요한 것은 그 점이 아니다. 어느 것도 우리의 예속자본주의에 적용될 수 없다. 우리에게 적절한 해방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우리는 우리의 상황을 분석해야만한다. 그렇게할 때 우리는 성서 속에 나타난 해방전승으로부터 귀중한 도움을 받을 수 있다. 그러나 성서가 우리의 상황을 분석해주거나 우리의 전략을 수립해주지는 않았다. 그 일은 각기 특수한 상황에 놓여 있는 그리스도인 공동체가 맡아야 할 과제이다."

나도 평소에 그렇게 강조하지요. 예수는 프로그래머(programer)는 아니었습니다. 우리가 '그리스도를 본받는다'('이미타티오 크리스티')고 해서 예수에게서 어떤 행동의 모델을 구한다는 건 잘못입니다. 현장이 다른데 그건 말도 안 되는 얘기지요. 우리의 삶은 우리의 삶인데, 하물며 운동의 전략까지를 성서에 요구한다는 건 있을 수 없는 일입니다.


| 안병무전집2 |
민중신학을 말한다
(한길사)
List of Articles
표지
나의 체험 민중의 신학
변명
   
‘민중’을 발견하기까지
    간도에서 보낸 어린 시절 一민족과 그리스도의 발견
    민중신학의 뿌리
    독일 신학과 ‘역사적 예수’
    민중현실에 바탕을 둔 신학
    ‘사건의 신학’과 신학을 위한 신학
    예수는 민중이고, 민중은 예수다
    ‘성문 밖’에 현존하는 예수
    민중의 염원과 민족통일의 길
    한국 그리스도인의 과제
민중의 책 성서
    한국 교회의 재래의 성서이해
    성서의 통일성 一그 민중신학적 의미
    예수一‘야훼만’을 지켜온 예언자 전통의 절정
    전통적 성서해석 방법의 이데올로기적 성격
    ‘컨텍스트’와 ‘텍스트’의 긴장
    민중신학의 컨텍스트는?
    성서는 우리에게 결단을 요구할 뿐
    민중신학이 본 성서의 맥
민중 예수
    극복되어야 할 서구 신학의 그리스도론
    고난의 종 그리스도
    구원은 민중을 통해서 온다
    예수는 오늘의 민중현장에 계신다
    제도적 교회는 민중현장에 계신 그리스도를 포기
    민중사건은 예수사건이다
    ‘구원’은 물질적 언어로 표현되어야
    성령의 역할은 인류해방에 있다
민중의 하느님
    신이 죽었다?
    서구 신학의 신관(神觀)
    동양인의 신관
    성서는 신을 어떻게 말하나
    해방의 신
    성전종교의 포로가 된 신
    예수 이후의 하느님
    민중의 하느님
    하느님 사건의 전거
민중의 공동체 一 교회
    교회의 주인공은 민중이다
    예수공동체는 밥을 나누어 먹는 공동체였다
    생활공동체에서 예배공동체로 전락
    교회의 본래 모습을 되찾아야
    민중신학이 꿈꾸는 교회상
    제도적 교회론을 넘어서자
    해방공동체 구현과 교회의 계층성 극복
    교회의 이상一하느님 백성의 평등공동체
죄와 체제
    죄의 뿌리
    기존의 죄이해는 교권을 강화시킨다
    유다교는 죄를 어떻게 보았나
    바울로는?
    요한과 루가는?
    사탄은 구조악이다
    죄의 뿌리 一 공(公)의 사유화
민중해방과 성령사건
    이단으로 박해받은 성령운동
    이원론에 빠진 전통적인 성령 이해
    성서의 성령론의 성격
    성령은 민중사건이다
    한국 교회의 성령운동, 과연 성서적인가
하느님 나라一민중의 나라
    하느님 나라 一 민중의 갈망과 한
    예수는 하느님 나라를 규정할 필요가 없었다
    민중이 주인 되는 새 나라
    요한의 저항一물(物)이 되신 하느님
    주의 기도一하느님 나라 운동의 노래
    하느님 나라 신앙은 민중해방운동 속에 성육신해야
민중에 의한 전승
    민중신학의 출발점
    역사의 예수와 케리그마의 그리스도
    마르코복음서의 제자 비판
    ‘오클로스’와 ‘마제타이’
    교회의 제도화와 사제계급의 승리
    제도적 교권주의자
    민중과 민중언어
예수의 민중전기
    마르코와 예수
    한으로부터의 해방
    예수의 말과 행태
    마르코복음서의 과제
    민중의 현장에서 본 예수상
    예수의 수난과 죽음의 의미
    요한이 잡힌 후에
    야훼신앙의 정점
    예루살렘으로
밥상공동체의 실현
    공동체
    밥상공동체
    밥상공동체를 파괴한 자들
    내 살을 먹으라
민중의 부활사건
    어떤 부활을?
    사건으로서의 부활
    현존하는 부활사건
   
판권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
위로
텍스트를 수정한 후 아래 [수정요청] 버튼을 클릭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