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전집

전집은 OCR 스캔 잡업으로 진행되어 오탈자가 있습니다.
오탈자를 발견하면 다음과 같이 등록해 주시면 관리자가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1. 수정 요청을 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2. 본문을 읽는 중에 오탈자가 있는 곳을 발견하면 앞뒤 텍스트와 함께 마우스로 선택합니다.
3. 그 상태에서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하여 나타나는 창에서 수정 후 [수정요청]을 클릭합니다.
4. 각주의 경우에는 각주 번호를 마우스오버하여 나타난 창을 클릭하면 수정요청 창이 열립니다.

※ 컴퓨터 브라우저에서만 가능합니다.
| 안병무전집2 |
민중신학을 말한다
(한길사)
'오클로스'와 '마제타이'

이렇게 볼 때, 우리는 여기에 커다란 긴장이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됩니다. 그것은 제자들과 이름도 없는 자들 사이의 긴장입니다. 그들은 누구일까요? 2장에서는 1절부터 6절에 걸쳐서 많은 사람들과 군중이 예수의 주변에 있었다는 사실을 몇 번이나 말하는데, 그때 사용 된 단어는 '오클로스'입니다. 이 말은 지금은 일반화되어 널리 알려졌습니다만, 그리스어로는 경멸적인 뜻을 담은 말입니다. '라오스'라면 '국민'이라고도, '백성'이라고도 번역할 수 있겠습니다만, '오클로스'라고 하는 것은 가장 경멸받는 '천민' 또는 '불가촉천민'(신체적 접촉을 하면 안 되는 천민) 등의 사람을 말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예수 주변에 있었던 사람은 대개가 다 '오클로스'였습니다. 마르코복음에는 '오클로스'라는 말이 36회나 나옵니다. 라오스도 2회 나옵니다만, 이것은 구약성서를 인용한 문장에서만 나옵니다. '오클로스', 이것이 '마제타이'(제자들)와 대칭을 이루는 자들로 등장하는 것입니다.

이에 대한 예를 한두 개 들어보지요. 마르코복음 4장 34절에 보면 예수가 오클로스와 함께 있을 때에, 그들이 예수의 어머니와 형제들 이 오고 있다고 예수에게 알립니다. 그러자 예수는 오클로스를 보면서 이렇게 말합니다. "누가 나의 어머니고 나의 형제인가?" "바로 이 오클로스다"라고, '마제타이'가 아니라 '오클로스'라고 말하는 것입니다.

또 하나의 예는 14장 3절 이하입니다. 이름도 없는 한 여인이 예수에게 기름을 붓는 장면입니다. 여기에는 예수가 다른 누구를 향해서도 말한 것이 없는 상찬(賞讚)의 말이 있습니다. "이 세상 어디에서나 복음이 전파되는 곳마다 이 여자의 행한 일도 전해져서 이 여인을 기억하게 될 것이다"라고 말입니다. 이러한 칭찬의 말을 예수는 오직 이 여인에게만 했을 뿐, 베드로나 누구에게도 한 적이 없습니다. 뿐만 아니라, 마지막에 가서 예수의 케리그마의 중심 사건인 수난의 현장에는 여자들밖에는 아무도 없었습니다. 남자들, 곧 제자들은 전부 도망쳐버리고 단 한 사람도 남아 있지 않았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빈 무덤을 발견하는 권리도 여자들에게만 있었습니다. 제자들에게는 그러한 권리가 없었습니다. 제자들과 긴장관계에 있는, 이름도 없는 사람들이 바로 여자들이었다는 것이 여기서 밝혀집니다. 이것이 나 혼자만의 생각이 아니라는 점은 마르코복음을 마태오나 루가와 비교해보면 쉽게 알 수 있습니다.


| 안병무전집2 |
민중신학을 말한다
(한길사)
List of Articles
표지
나의 체험 민중의 신학
변명
   
‘민중’을 발견하기까지
    간도에서 보낸 어린 시절 一민족과 그리스도의 발견
    민중신학의 뿌리
    독일 신학과 ‘역사적 예수’
    민중현실에 바탕을 둔 신학
    ‘사건의 신학’과 신학을 위한 신학
    예수는 민중이고, 민중은 예수다
    ‘성문 밖’에 현존하는 예수
    민중의 염원과 민족통일의 길
    한국 그리스도인의 과제
민중의 책 성서
    한국 교회의 재래의 성서이해
    성서의 통일성 一그 민중신학적 의미
    예수一‘야훼만’을 지켜온 예언자 전통의 절정
    전통적 성서해석 방법의 이데올로기적 성격
    ‘컨텍스트’와 ‘텍스트’의 긴장
    민중신학의 컨텍스트는?
    성서는 우리에게 결단을 요구할 뿐
    민중신학이 본 성서의 맥
민중 예수
    극복되어야 할 서구 신학의 그리스도론
    고난의 종 그리스도
    구원은 민중을 통해서 온다
    예수는 오늘의 민중현장에 계신다
    제도적 교회는 민중현장에 계신 그리스도를 포기
    민중사건은 예수사건이다
    ‘구원’은 물질적 언어로 표현되어야
    성령의 역할은 인류해방에 있다
민중의 하느님
    신이 죽었다?
    서구 신학의 신관(神觀)
    동양인의 신관
    성서는 신을 어떻게 말하나
    해방의 신
    성전종교의 포로가 된 신
    예수 이후의 하느님
    민중의 하느님
    하느님 사건의 전거
민중의 공동체 一 교회
    교회의 주인공은 민중이다
    예수공동체는 밥을 나누어 먹는 공동체였다
    생활공동체에서 예배공동체로 전락
    교회의 본래 모습을 되찾아야
    민중신학이 꿈꾸는 교회상
    제도적 교회론을 넘어서자
    해방공동체 구현과 교회의 계층성 극복
    교회의 이상一하느님 백성의 평등공동체
죄와 체제
    죄의 뿌리
    기존의 죄이해는 교권을 강화시킨다
    유다교는 죄를 어떻게 보았나
    바울로는?
    요한과 루가는?
    사탄은 구조악이다
    죄의 뿌리 一 공(公)의 사유화
민중해방과 성령사건
    이단으로 박해받은 성령운동
    이원론에 빠진 전통적인 성령 이해
    성서의 성령론의 성격
    성령은 민중사건이다
    한국 교회의 성령운동, 과연 성서적인가
하느님 나라一민중의 나라
    하느님 나라 一 민중의 갈망과 한
    예수는 하느님 나라를 규정할 필요가 없었다
    민중이 주인 되는 새 나라
    요한의 저항一물(物)이 되신 하느님
    주의 기도一하느님 나라 운동의 노래
    하느님 나라 신앙은 민중해방운동 속에 성육신해야
민중에 의한 전승
    민중신학의 출발점
    역사의 예수와 케리그마의 그리스도
    마르코복음서의 제자 비판
    ‘오클로스’와 ‘마제타이’
    교회의 제도화와 사제계급의 승리
    제도적 교권주의자
    민중과 민중언어
예수의 민중전기
    마르코와 예수
    한으로부터의 해방
    예수의 말과 행태
    마르코복음서의 과제
    민중의 현장에서 본 예수상
    예수의 수난과 죽음의 의미
    요한이 잡힌 후에
    야훼신앙의 정점
    예루살렘으로
밥상공동체의 실현
    공동체
    밥상공동체
    밥상공동체를 파괴한 자들
    내 살을 먹으라
민중의 부활사건
    어떤 부활을?
    사건으로서의 부활
    현존하는 부활사건
   
판권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
위로
텍스트를 수정한 후 아래 [수정요청] 버튼을 클릭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