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전집

전집은 OCR 스캔 잡업으로 진행되어 오탈자가 있습니다.
오탈자를 발견하면 다음과 같이 등록해 주시면 관리자가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1. 수정 요청을 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2. 본문을 읽는 중에 오탈자가 있는 곳을 발견하면 앞뒤 텍스트와 함께 마우스로 선택합니다.
3. 그 상태에서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하여 나타나는 창에서 수정 후 [수정요청]을 클릭합니다.
4. 각주의 경우에는 각주 번호를 마우스오버하여 나타난 창을 클릭하면 수정요청 창이 열립니다.

※ 컴퓨터 브라우저에서만 가능합니다.
| 안병무전집2 |
민중신학을 말한다
(한길사)
교회의 제도화와 사제계급의 승리

대표적인 경우를 들면 마르코 8장에 있는 "너는 사탄이다. 물러가라"고 한 예수의 말을 마태오는 완전히 바꾸어 "시몬 바르요나, 너는 복이 있다. 네게 이것을 알게 한 이는 혈육이 아니라 하늘에 계신 내 아버지시다. 나도 네게 말한다. 너는 베드로다. 내가 내 교회를 이 반석 위에 세울 터인데 죽음의 권세가 그것을 이기지 못할 것이다"(마태 16, 17~18)라고 말한 것으로 해놓았습니다. 마태오는 예수가 제자들을 공격한 말을 거의 전부 삭제해버렸습니다. 루가도 마찬가지입니다. 마태오에서는, 예수는 최후로 갈릴래아에서 제자들과 만나 유명한 명령을 합니다. 루가는 베드로를 빈 무덤을 목격한 증인으로 기록하고 있습니다. 또한 엠마오로 가는 두 사람의 이름은 말하지 않으면서 제자들의 일은 기록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열두 제자에게 나타났다고 하는 것도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런 것이 전부 마르코에는 없는 내용입니다. 그런데 마르코보다 약 20년 후에 기록된 마태오, 루가에서는 이처럼 교회의 사도계급이 승리하고 있는 것입니다. 제자들이 점점 미화되어가는 현상인 것입니다.

이로써 결론은 분명합니다. 고린토전서 15장 3절 이하에는 놀랍게도 예수의 십자가사건이 그처럼 추상적으로 기술되어 있고, 더구나 부활한 예수의 증인 가운데 여자의 이름은 나오지도 않아요. 아와는 대조적으로 마르코에서는 증인이 증인아 여자들밖에는 없습니다. 이것을 보고 저는 두 개의 확실한 전승모체(傳承母體)가 있었다는 증거가 아닌가 생각하게 되는 것입니다. 하나는 교회를 보존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생각한 자들이고, 다른 하나는 교회의 보존 같은 것에는 관심도 없고 어떻게든지 생생한 예수사건을 말하지 않으면 안 된다, 증언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하는 정열에 찬 민중입니다. 어느 의미에서 보면 비현실적인, 유약한, 비합리적인, 비계산적인 민중이 있었다고 하는 것입니다. 그들에게는 '지도자'라고 하는 생각을 염두에도 없습니다. 다만, 예수의 사건을 전하지 않으면 안 되는, 보고 둘은 것을 그대로 전하지 않고는 못 배기는 민중, 그렇게 함으로써 세상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어떤 일이 일어날지 알지 못하나 다만 침묵할 수 없는, 전하지 않고는 견딜 수 없는 민중입니다.


| 안병무전집2 |
민중신학을 말한다
(한길사)
List of Articles
표지
나의 체험 민중의 신학
변명
   
‘민중’을 발견하기까지
    간도에서 보낸 어린 시절 一민족과 그리스도의 발견
    민중신학의 뿌리
    독일 신학과 ‘역사적 예수’
    민중현실에 바탕을 둔 신학
    ‘사건의 신학’과 신학을 위한 신학
    예수는 민중이고, 민중은 예수다
    ‘성문 밖’에 현존하는 예수
    민중의 염원과 민족통일의 길
    한국 그리스도인의 과제
민중의 책 성서
    한국 교회의 재래의 성서이해
    성서의 통일성 一그 민중신학적 의미
    예수一‘야훼만’을 지켜온 예언자 전통의 절정
    전통적 성서해석 방법의 이데올로기적 성격
    ‘컨텍스트’와 ‘텍스트’의 긴장
    민중신학의 컨텍스트는?
    성서는 우리에게 결단을 요구할 뿐
    민중신학이 본 성서의 맥
민중 예수
    극복되어야 할 서구 신학의 그리스도론
    고난의 종 그리스도
    구원은 민중을 통해서 온다
    예수는 오늘의 민중현장에 계신다
    제도적 교회는 민중현장에 계신 그리스도를 포기
    민중사건은 예수사건이다
    ‘구원’은 물질적 언어로 표현되어야
    성령의 역할은 인류해방에 있다
민중의 하느님
    신이 죽었다?
    서구 신학의 신관(神觀)
    동양인의 신관
    성서는 신을 어떻게 말하나
    해방의 신
    성전종교의 포로가 된 신
    예수 이후의 하느님
    민중의 하느님
    하느님 사건의 전거
민중의 공동체 一 교회
    교회의 주인공은 민중이다
    예수공동체는 밥을 나누어 먹는 공동체였다
    생활공동체에서 예배공동체로 전락
    교회의 본래 모습을 되찾아야
    민중신학이 꿈꾸는 교회상
    제도적 교회론을 넘어서자
    해방공동체 구현과 교회의 계층성 극복
    교회의 이상一하느님 백성의 평등공동체
죄와 체제
    죄의 뿌리
    기존의 죄이해는 교권을 강화시킨다
    유다교는 죄를 어떻게 보았나
    바울로는?
    요한과 루가는?
    사탄은 구조악이다
    죄의 뿌리 一 공(公)의 사유화
민중해방과 성령사건
    이단으로 박해받은 성령운동
    이원론에 빠진 전통적인 성령 이해
    성서의 성령론의 성격
    성령은 민중사건이다
    한국 교회의 성령운동, 과연 성서적인가
하느님 나라一민중의 나라
    하느님 나라 一 민중의 갈망과 한
    예수는 하느님 나라를 규정할 필요가 없었다
    민중이 주인 되는 새 나라
    요한의 저항一물(物)이 되신 하느님
    주의 기도一하느님 나라 운동의 노래
    하느님 나라 신앙은 민중해방운동 속에 성육신해야
민중에 의한 전승
    민중신학의 출발점
    역사의 예수와 케리그마의 그리스도
    마르코복음서의 제자 비판
    ‘오클로스’와 ‘마제타이’
    교회의 제도화와 사제계급의 승리
    제도적 교권주의자
    민중과 민중언어
예수의 민중전기
    마르코와 예수
    한으로부터의 해방
    예수의 말과 행태
    마르코복음서의 과제
    민중의 현장에서 본 예수상
    예수의 수난과 죽음의 의미
    요한이 잡힌 후에
    야훼신앙의 정점
    예루살렘으로
밥상공동체의 실현
    공동체
    밥상공동체
    밥상공동체를 파괴한 자들
    내 살을 먹으라
민중의 부활사건
    어떤 부활을?
    사건으로서의 부활
    현존하는 부활사건
   
판권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
위로
텍스트를 수정한 후 아래 [수정요청] 버튼을 클릭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