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지
|
증보판에 부치는 말
|
머리말
|
|
제1부 고전(古典)으로서의 성서
|
|
제1장 고전의 의미
|
1. 인류와 고전
|
2. 현대인과 고전
|
제2장 성서의 특성
|
제3장 성서를 보는 눈
|
제4장 성서에서 보여주는 역사의 주체
|
제5장 성서의 자료와 편집
|
|
제2부 약속을 믿고 산 민족사 : 구약
|
|
제1장 한 책의 민족 이스라엘
|
제2장 인간사 서장
|
1. 창조된 세계와 인간(아담)
|
2. 잘못 출발된 역사
|
제3장 도상의 나그네
|
1. 족장들
|
2. 탈출의 족장 : 아브라함
|
3. 하느님과 겨룬 사나이一야곱
|
제4장 엑소더스
|
1. 히브리
|
2. 모세
|
3. 하느님과의 계약
|
4. 십계명
|
제5장 종족공동체의 형성
|
1. 가나안 정착
|
2. 이스라엘 종족동맹
|
3. 판관들
|
1) 판관 삼손(판관 13~16장)
|
2) 판관 기드온(판관 6~8장)
|
제6장 왕국시대
|
1. 왕권과 국가
|
2. 다윗왕조
|
3. 왕국시대
|
1) 솔로몬 왕
|
2) 분단 200년
|
제7장 예언자
|
1. 예언자의 현장
|
2. 찬양과 저주一나단
|
3. 왕권과의 대결자一엘리야
|
4. 종교보다 정의를一아모스
|
5. 남은 무리 一이사야
|
6. 심판과 새 가능성 一예레미야
|
7. 해골의 부활一에제키엘
|
8. 너 위한 수난一이름없는 예언자
|
9. 예언자의 말의 성격
|
10. 과거, 현재, 미래
|
|
제3부 새로운 개벽 : 신약
|
|
제1장 예수의 사건
|
1. 예수의 시대상
|
2. 역사와 해석자
|
3. 예수의 선포
|
1 ) 하느님 나라의 초대
|
2) 낡은 질서와의 대결
|
4. 예수의 행태
|
1) 무슨 권위로
|
2) 예수와 민중
|
5. 십자가 처형
|
6. 갈릴래아에서 만나자一부활사건
|
제2장 예수운동의 전진(사도행전)
|
1. 예루살렘에서의 예수의 민중운동
|
2. 이스라엘 민중운동의 목표와 사상
|
3. 민중사실
|
제3장 바울로의 삶과 증언
|
1. 그의 삶
|
1) 바울로의 위치
|
2) 민중사건에 항복한 사울
|
3) 바울로의 연대기
|
2. 바울로의 증언
|
1) 인간세계 심판
|
2) 사람됨의 조건
|
3) 죽음에서의 탈출
|
3. 그리스도와 역사
|
4. 자유인의 길
|
1) 앞을 향해 달리는 삶(필립 13,1~14)
|
2) 하느님 앞에 선 존재 (갈라 4, 1~10)
|
3) 이웃과 더불어의 존재
|
5. 바울로의 민중론
|
1) 고린토교회의 사회계층
|
2) 민중을 보는 바울로의 눈
|
3) 택함을 받은 민중
|
6. 바울로의 수난기
|
1) 예루살렘으로 가는 길
|
2) 예루살렘에서
|
3) 문제점들
|
4) 바울로는 ‘정치범’이 아닌가
|
5) 예수의 수난사와 바울로의 수난기
|
제4장 요한의 증언
|
1. 요한복음의 특이성
|
1) 공관서와의 관계
|
2) 요한의 정신적 풍토
|
3) 예수의 새 해석
|
2. 개벽의 선언
|
3. 갈림길
|
제5장 박해와 희망(계시록의 신앙)
|
1. 묵시문학의 성격
|
2. 로마제국과의 대결
|
3. 결단할 때
|
4. 영원의 노크
|
5. 마라나타
|
한국어로 된 성서 연구 참고문헌
|
전집간행에 부치는 말
|
판권
|